The Types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Seon Represented of Costume in Amitabha of the late Koryo Dynasty

고려후기 아미타여래도 복식에 표현된 선의 유형과 조형특성

  • Ok Myung-Sun (Dept. of Fashion Design and Merchandising, Kyung Sung University) ;
  • Park Ok-Lyun (Dept. of Fashion Design and Merchandising, Kyung Sung University) ;
  • Lee Joo-Young (Dept. of Fashion Design and Merchandising, Kyung Sung University)
  • Published : 2005.03.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ypes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Seon' represented of costume in Amitabha of the late Koryo Dynast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type of 'Seon' is classified into Standard, Decoration and Application types. According to three types, the types of the standard are subdivided into same rotor and no pattern and different color and no pattern, the types of the decoration are subdivided into same color and pattern and different color and pattern, And the types of the application are subdivided into wrinkle and beads-decorated wrinkle according to whether decorative beads exist or not. In the Standard type of Seon, same color and no pattern in the Decoration type of Seon, different color and pattern was most often used as its type while, in the applied type of Seon had its main type of beads-decorated wrinkle. Patterns used for Seon were complex in its composition type and filing in its arrangement style. Seon was used mainly for guneui(裙衣) and daeeui(大衣). The color arrangement of Seon, in most cases, used complementary colors, followed by same ones. Regarding costumes aesthetic characteristics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Seon, those costumes appeared natural and plain when their Seon was same color and no pattern in type, artificial and plain when their Seon was different color and no pattern in type, natural and brilliant when same color and pattern in type and artificial and brilliant when different color and pattern. In regard to the applied type of Seon, such costumes looked sophisticated and delicate when their Seon was wrinkle in type and dynamic and decorative when beads-decorated wrinkle.

Keywords

References

  1. 옥명선, 박옥련, 이주영 (2003). 조선시대 복식에 표현된 襈의 유형과 조형특성. 복식, 53(8). pp. 39-52
  2. 정우택 (1994). 고려시대의 불교회화, 한국불교미술대전(2). 서울: 한국색채문화사, p. 230
  3. 고승희 (2000). 高麗佛畵의 紋樣 硏究. 동국대 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林明子 (1984). 高麗佛畵에 나타나는 衣裳紋樣 硏究. 숙명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임영주 (1981). 高麗佛畵의 紋樣, 韓國의 美 7 - 高麗佛畵-. 서울 : 中央日報社, pp. 217-229
  6. 김부귀 (2000). 高麗佛畵 法衣文樣 硏究 - 花圓文을 중심으로. 동아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이미경 (2001). 고려불화에 나타난 연화문양 연구. 동아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박옥련 (1988). 高麗仏敎美術に現われた文樣の硏究. 日本: de arte. 九州藝術學會. 4, pp. 35-48
  9. 박옥련 (1992). 高麗時代 水月觀音圖의 衣裳에 나타난 文樣硏究. 한국의류학회지, 16(1), pp. 111-122
  10. 金奎源 (1997). 高麗佛畵에 나타난 阿彌陀信仰에 관한 硏究. 東國大 大學院 석사학위논문
  11. 金淳美 (1997). 고려 아미타불화의 관음보살도 고찰. 東國大 佛敎大學院 석사학위논문
  12. 安靜子 (1990). 高麗阿彌陀佛畵의 造形性 연구. 東亞大 敎育大學院 석사학위논문
  13. 鄭干澤 (1988). 高麗時代 阿彌陀三尊圖, 泉屋博古館紀 要 5, 京都: 泉屋博古館
  14. 유마리 (1981). 高麗 阿彌陀佛畵의 硏究. -佛敎美術 6-. 東國大學校 博物館, pp. 26-52
  15. 林 進 (1988). 高麗時代の阿彌陀三尊圖, 泉屋博古館紀 要, 5. 京都: 泉屋博古館
  16. 井手誠之輔 (1995). 高麗の阿彌陀畵像と普賢行願品. 美術究究 362號
  17. 文明大 (1991). 高薦佛畵. 서울: 悅話堂, pp. 29-32
  18. 정우택 (1997). 高薦佛畵의 圖像과 그 아름다움, -高麗時代의 佛畵- 해설편 서울: 시공사. p. 23
  19. 崔完秀 (1973). 간다라 佛衣攷, -佛敎美術 1-. 東國大學校 博物館. pp. 84-116
  20. 고승희 (2000). 高麗佛畵의 紋樣 硏究. 동국대 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80-82
  21. 문명대(1999). 한국불교미술의 형식. 한국언론자료간행회, p. 142
  22. 조선시대 선의 유형은 크게 기본형, 장식형, 응용형으로 분류하였다. 기본형은 구성법에 따라 제물 선과 이색선으로 분류하고, 장식형은 장식기법에 따라 상침형, 선치기형, 금박형, 자수형 등으로 분류하고. 응용형은 사용된 재료에 따라 파이핑형, 獸毛형, 브레이드 형, 금속제형 등으로 분류하였다(옥명선, 박옥련, 이주영 (2003). 조선시대 복식에 표현된 襈의 유형과 조형특성. 복식, 53(8), pp. 40-41)
  23. 고승희 (2000). 高麗佛畵의 紋樣 硏究. 동국대 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7
  24. 林明子 (1984). 高麗佛畵에 나타나는 衣裳紋樣 硏究. 숙명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2-23
  25. 임영주 (1981). 高麗佛畵의 紋樣, 韓國의 美 7 - 高麗佛畵-. 서울 : 中央日報社, pp. 217-229
  26. 총 183점 중 문양이 나타나지 않은 동색무문형과 이색무문형, 주름형, 구슬장식주름형 등의 40점과 정확한 문양을 알 수 없는 1점은 제외하였다
  27. 박옥련 (2000). 한국전통복식문양사. 서울: 형설출판사,p. 50
  28. 林永周 (1991). 傳統紋樣資料集. 서울: 미진사, p. 40
  29. 林良- (1978). 仏敎美術における裝節文樣(12) - 宝相華(1). 佛敎藝術 121호, 佛敎藝術學會,pp. 70-85
  30. 박옥련 (2000). 한국전통복식문양사. 서울: 형설출판 사,p. 60
  31. 林良 - (1977), 仏敎美術における裝節文樣(10) - バルメツト(3). 佛敎藝術, 114호, 佛敎藝術學會, pp. 66-94
  32. 고승희 (2000). 高麗佛畵의 紋樣 硏究. 동국대 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8-9
  33. 林永周 (1991). 傳統紋樣資料集. 서울: 미진사, p. 46
  34. 曺主和 (1992). 服節美學. 서울: 수학사, pp. 155-161
  35. 琴基淑 (1998). 朝蘇服節美術. 서울: 열화당, pp. 104-112
  36. 김재임 (1999). 한.중.일 모란문앙의 비교 연구 - 질적.앙적 비교 분석.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p. 99
  37. 이선화, 권영숙 (2002). Baroque직물에 나타난 floral 패턴의 조형성. 복식, 52(7), pp. 6-7
  38. 이주영, 장현주, 도주연, 장정아 (2004). 보문(寶救)의 유형과 조형성 연구. 복식, 54(2), pp. 17-18
  39. 총 183점 중 문양이 나타나지 않은 동색무문형과 이색무문형, 주름형, 구슬장식주름형 등의 40점은 제외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