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On-line Discussion Based on Social Constructivist Learning Theory

사회적 구성주의 학습이론에 기초한 예비 교사의 온라인 토론 분석

  • Received : 2004.08.30
  • Accepted : 2004.11.06
  • Published : 2005.01.30

Abstract

In this study, messages from on-line discussions of 28 preservice teachers were analyzed based on social constructivist learning theory. After preliminary discussion session for a week, small group discussions were conducted every single week with different topics during 4 weeks. One transcript with most frequent messages in each topic was selected, and a total of 72 messages were analyzed. Discussion topics were the issues related to the nature of science. The Interaction Analysis Model for Examing Social Construction of Knowledge in Computer Conferencing was used for the analysis. Analysis of the messages indicated that 'sharing information' was the most frequent, and that 'discovering/exploring dissonance' and 'negotiation of meaning/co-construction of knowledge' were the nex. However, messages of 'testing and modification of proposed synthesis' and 'testing and application of newly constructed meaning' were found to be rare. This result indicated that students' interaction through on-line discussion did not reach to the social construction of knowledge.

이 연구에서는 예비 과학 교사 28명의 온라인 토론 내용을 사회적 구성주의 학습이론에 기초하여 분석하였다. 1주일 동안의 예비 토론 후에 4주 동안 매주 다른 주제에 대한 조별 토론을 진행하였다. 각 주제별로 메시지가 가장 빈번하게 올라온 토론 원고를 선정하여 총 72개의 메시지를 분석하였다. 토론 주제는 과학의 본성과 관련된 논제였다. 분석 모델로는 '컴퓨터 컨퍼런스에서의 사회적 지식 구성을 조사하기 위한 상호작용 분석 모델'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정보 공유' 차원의 메시지들이 가장 많았고, '불일치의 발견 및 탐색'과 '의미 절충 및 지식의 공동 구성'에 대한 메시지가 다음으로 많았다. 그러나 '새로운 종합 의견의 평가와 수정'이나 '새롭게 구성된 지식에의 동의 및 응용'에 해당하는 메시지는 매우 적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들의 온라인 토론을 통한 상호작용이 사회적 지식 구성에 이르지 못했음을 나타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