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al-Time Flash Flood Evaluation by GIS Module at Mountainous Area

산악에서 돌발홍수예측을 위한 지리정보시스템의 적용

  • Nam, Kwang-Woo (Department of Urban Design and Development, Kyung Sung University) ;
  • Choi, Hyun (Research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Pusan National University)
  • 남광우 (경성대학교 도시공학과) ;
  • 최현 (부산대학교 생산기술연구소)
  • Published : 2005.08.01

Abstract

The flood is the most general and frequently occurs among natural disasters. Generally flood by the rainfall which extends superexcellently for the occurrence but flash flood from severe rain storm gets up an absurd drowsiness at grade hour. This paper aims to 1 hour real-time flash flood and predict possibility at the area where is the possible flood will occur from the rainfall hour mountain after acquiring data in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base by GcIUH(Geomorphoclimatic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 The flash flood occurrence is set up at 0.5m, 0.7m and 1.0m in standard depth. And this study suggests standard flood alarm which designed by probable flood according to duration time. The research result shows real-time flash flood evaluation has the suitable standard in the basin when comparing with the existing official warning announcement system considering topographical information.

홍수는 자연재해 중 가장 일반적이며 빈번하게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홍수는 수일간에 걸친 강우에 의하여 발생하지만 집중호우에 의한 돌발홍수는 단 시간에 발생하는 특징이 있다. 본 논문은 지리정보시스템으로 지형자료를 취득한 후 지형기후학적 순간단위유량도로 산악에서 돌발홍수예측을 위한 지리정보시스템의 적용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의 돌발홍수 발생 범위는 수심이 0.5m, 0.7m, 1.0m 로 설정하였다. 또한, 지속시간별-강우량별 홍수량 조견표를 작성하여 홍수대피 기준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획일된 경보 발령시스템에 비하여 유역에 적합한 기준을 제시하여 지형정보를 고려한 경보발령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준, 최 현,이병걸,2001. 수치지도를 이용한 유역 특성분석,한국측지학회지,19(3): 229-237
  2. 김성준,박근애,정인균,권형중,2003. WMS HEC-1을 이용한 안성천 평택수위관측소 상류유역의 수문 경년변화 분석,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36(4): 609-621
  3. 박영일,1995. 수치모형으로부터 유역의 하천형태학적 특성인자 추출에 관한 연구,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성동권,조기성,2002. BurnDEM을 이용한 유역 및 하 천망 추출에 관한 연구,대한토목학회논문집, 22(2-D), 293-301
  5. 안상진,김영호, 2003. WMS를 이용한 강우-유출해석,대한토목학회지,23(4-B): 261-270
  6. 양인태,김연준,1997. 수문해석을 위한 DEM에 의한 의 경사도 분석에서 격자크기의 영향,한국측지 학회지,15(2): 221-230
  7. 윤용남, 1997. 공업수문학, 청문각
  8. 정인균,김성준,2003. 효과적인 하도망 추출을 위한 DEM전처리 방법 비교,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3(3-D): 393-400
  9. 차상화,이순탁,2002. GIS-SUS 모형을 이용한 강우유출해석,대한토목학회논문집, 22(5-B): 689-700
  10. 최 현,2004. 원격탐사자료에 의한 하천 소유역의 수문 학적 해석,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최 현,강인준,홍순헌,2004 지형학적순간단위유랑도 분석을 위한 EOC 스테레오 영상 활용,대한원격탐사학회지, 20(2): 91-102
  12. 함창학,1996. 지형정보시스템(GIS)를 이용한 수문정보 추출에 관한 기초적 연구,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행정자치부,1998, 위성자료를 이용한 미계측 특정지역의 하천재해분석을 위한 기초연구,행정자치부
  14. Cowan, W. L.,1956. Estimating hydraulic roughness coefficients. Agricultural Eηgineering, 37(7) 473-475
  15. Horton, R.,1945. Erosional Development of Streams and Their Drainage Basins - hydrological Approach to Quantiative Morphology, Geol. Soc. of Amer., 56: 275-370 https://doi.org/10.1130/0016-7606(1945)56[275:EDOSAT]2.0.CO;2
  16. Ignacio Rodrfguez-Iturbe and Marcelo GonzalezSanabria, 1982. A Geomorphoclimatic Theory of the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 Water Resources Research, 18: 977-886 https://doi.org/10.1029/WR018i004p00977
  17. Jenson, S. and J. Dominque, 1988. Extracting topographic structure from digital elevation data for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alysis,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54(11): 1593-1600
  18. O'Callaghan, J. F. and Mark, D. M., 1984. The Extraction of Drainage Networks from Digital Elevation Data, Computer Vision, Graphics, and Image Processing, 28: 323-344 https://doi.org/10.1016/S0734-189X(84)80011-0
  19. Peucker, T. K., 1978. Data structures for digital terrain modules: discussion and comparison. In Dutton, G. (Ed.) Harvard Papers 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5. Addison-Wesley: Reading MA
  20. Smart, J. S., 1973, The random model indicial geomorphology, in Fluvial Geomorphology, M. Morisawa
  21. Soil Conservation Service, 1972. Hydrology. National Engineering Handbook, Notice 4-102.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Maryland: Beltsville
  22. Strahler, A. N., 1950. Equilibrium Theory of Erosional Slopes Approached by Frequency Distribution Analysis, Am. J. sci, 248: 673-695 https://doi.org/10.2475/ajs.248.10.673
  23. USDA Soil Conservation Service, 1986. Urban Hydrology for Small Watersheds. Technical Release 55, 2nd ed., NTIS PB87-101580. Springfield, Virgi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