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loratory Study on determinants of the Performance of 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 in Infants with High Risk

고위험집단의 Bayley영아발달 검사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 민동옥 (울산대학교 아동.가정복지학과)
  • Received : 2005.12.10
  • Accepted : 2005.12.21
  • Published : 2005.12.31

Abstract

The present study applied 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 to Infants with High Risk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eterminants such as variables related to demographic variable, prenatal and perinatal and postpartal environments, and developmental indices in infancy. First, mental and motor development index were high in infants whose mothers had high in education, mothers had not had a disease during the pregnancy, mothers had not taken medicine during the pregnancy. Second, mental and motor development index were high in infants who had used an oxygen inhaler, incubator, and in infants who had been given a timely birth. Third, mental and motor development index were higher in infants whose mumbling and the initial speaking was normal than in infants whose development was late.

조산 및 발달지연 등으로 발달장애의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집단으로 진단된 132명의 영아를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산전, 출산시 변인 및 산후 발달지표 등이 Bayley영아발달검사(BSID)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인구통계학적, 출생전후의 관련정보 및 영아기의 발달특성을 알기 위해 영아발달 질문지와 병원 의무기록지를 사용하였고, Bayley영아발달검사를 개별적으로 실시하였다.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BSID의 인지발달지수(MDI), 동작발달지수(PDI)간의 상관 및 평균비교분석결과 산모의 학력이 높을수록 MDI 및 PDI가 높게 나타났다. 산전(prenatal) 관련변인과 발달간의 관계분석시 산전 산모의 질환과 임신중 약물복용여부는 각각 MDI 및 PDI와 부적 상관을 보였다. 출산시(perinatal) 관련변인에서는 저체중 출산, 인큐베이터, 산소호흡기의 사용 및 조산여부가 MDI 및 PDI와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출산시 질환은 PDI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산후 발달지표 중 옹알이, 첫말의 발달은 BSID의 MDI 및 PDI와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질환은 PDI와 부적 상관을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