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Feasibility Study on Small-sized Rental Residential Building Project through Risk Management

리스크 관리를 통한 프로젝트 타당성 검토방안에 대한 연구 -소규모 임대주택을 대상으로-

  • Published : 2004.06.01

Abstract

Planning phase became very important because the construction market in Korea is often unpredictable. The existing feasibility analysis cannot fulfill its purpose in development projects because they are based on intuitive approach rather than systematic approa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prototype of feasibility model to be a good investment. To build the model, first, risk factors which can be occurred in project had to be selected. Risk factors were divided into several groups in basis of characteristical risk. Economical risk factors were input on financial analysis. Then, to catch the relevance and influence of all risk factors, influence diagram and decision tree were made. Finally, sensitivity analysis was activated, then what the critical factors were, and how those factors could be solved. Through these procedures, the feasibility model that was made in this study could include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factors. This model is expected to be used as a guide of feasibility analysis including all risk factors and is to serve systematic frame in planning and feasibility stage.

사업기획 및 타당성분석단계는 사업을 추진하는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단계로써, 정확한 프로젝트 타당성 검토 수행은 프로젝트를 추진하는데 결정적인 기회를 제공해주므로 직관적인 접근방식보다는 객관적이고 정확한 방법의 제시가 요구되는 바이다. 사업타당성을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프로젝트 진행에 영향을 주는 리스크 인자를 식별하고 이 인자들을 성격별로 그룹화한다. 소규모 임대주택의 사례를 바탕으로 기존 방식인 금융부분의 프로젝트 타당성 분석을 실시한다. 위에서 식별된 리스크 인자들 중 금융부분을 포함하여 인자들간의 상관관계를 Influence Diagram으로 파악하여 리스크를 분석하고, 각 인자별의 중요도를 판별하기 위한 민감도 분석을 실시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기존의 프로젝트 타당성분석에서 사용하는 금융부분의 타당성분석 뿐만 아니라, 프로젝트 진행시에 나타나는 비정형적이고 주관적인 요소들을 리스크 인자로써 포함하여 분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출된 모든 리스크 인자를 정량화하여 객관적인 분석 및 의사결정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 방법보다 발전된 프로젝트 타당성 분석 방안을 본 논문에서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Crystall Ball 2000 Standard Edition, CSIA, 2000
  2. Diekmann & Sewester & Taher, Risk Management in Capital Projects, CII, 1988
  3. DPL 5.0 tutorials, ADA, 2000
  4. Flanagan & Norman, Risk Management and Construction, Blackwell Scientific pub, 1993
  5. Kneale T. Marshall & Robert M. Oliver, Decision Marking and Forecasting, 1995
  6. Robert T. Cleman, Making Hard Decisions 2nd Edition, Duxbury Press, 1995 1
  7. 강미선 (2000), 건축기획단계의 Feasibility 분석방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건축공학과 박사논문
  8. 김광춘, 현창택, 김문한 (1996), 건설투자사업의 기획 프로세스에 대한 체계화,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16권 제2호
  9. 김수정, 서석원, 김재준, 김경래 (2002), 민간투자건설프로젝트에서 위험예측모델을 반영한 사업타당성분석방법 개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18권 제4호
  10. 백준홍 (1995), 퍼지이론을 이용한 건축공사 리스크 산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11권 제1호
  11. 송병록, 손창백, 김용수 (1999), SOC 민자사업 시행자의 효과적 리스크 완화방안,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15권, 제6호
  12. 윤영식 (1992), 부동산개발사업의 타당성분석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한승헌, 이 영, 김형진, 옥종호 (2001), 대형건설업체의 해외건설공사 포트폴리오 리스크 관리에 관한 연구, 대한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2권, 제2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