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new meaning of the concept, 'Sijo-samjang(시조삼장)'

'시조삼장'의 새로운 이해

  • 권순회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 Published : 2004.01.01

Abstract

In this paper, I reexamined the word 'Sijo-samjang(시조삼강)' and gave a new meaning of it. In addition, I proposed the new concept of 'Sijo-samjang' which meant the characteristic of a Pyon'ga(편가) in Sijo-chang(시조창). For a long time, 'Sijo-samjang' was regarded as a word which indicated the three sections of a Sijo. It was because of the fixed idea that a Sijo was always composed of a form separated by three parts. Unlike the fixed idea, I found the fact that 'Sijo-samjang' meant singing successively three different Sijos which adapted three different music by reexamining the actual uses of the word in the texts of the days. Thus, I could come to a conclusion that 'Sijo-samjang' was the word indicating a specific music system of a Sijo-chang(singing a Sijo) corresponding to a Pyon'ga of a Gagok(가곡). 'Sijo-samjang' seemed to be molded up while the music of Sijo-chang developed. Usually, a successive singing of the three different Sijos, such as Pyong-sijo(평시조), Chirum-sijo(지름시조), and Sasol-sijo(사설시조), was called 'Sijo-samjang'. However, some of the three could be omitted, and some of it could be substituted by a derived song. This kind of a usual and a derived form seemed to be settled as an important custom of singing a Silo after the 19 century. The main point of the development of music in Sijo-chang was having the characteristic of compilation which meant singing Pyong-sijo, Chirum-sijo, and Sasol-sijo successively. 'Sijo-samjang' was the concept which explained this kind of characteristic and was one of the key words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of Sijo-chang.

본고에서는 기존에 우리가 이해하던 '시조삼장'에 대해 전면적인 재검토를 수행하고, 그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였다. 그리고 시조창의 편가적 특성을 지칭하는 개념어로 '시조삼장'을 제안하였다. 우리는 그 동안 '시조삼장'의 문헌 기록에 대해 아무런 의심 없이 당연히 시조 한 수의 초$\cdot$$\cdot$종장으로 이해하였다. 여기에는 시조창은 삼장 형식으로 부른다는 고정 관념이 자리하고 있다. 하지만 문헌에서 발견되는 용례를 재검토한 결과 ‘시조삼장'은 각기 다른 악곡의 시조 세수를 연달아 부르는 것으로, 언제나 가곡 한바탕, 가사와 같이 언급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는 '시조삼장'이 가곡의 편가에 대응되는 시조창 나름의 악곡 체계를 지칭하는 것이라는 사실도 파악할 수 있었다. '시조삼장'은 19세기 시조창의 악곡 분화 과정에서 형성된 것으로 연창환경에 따라 이 가운데 일부를 생략하기도 하고, 파생곡으로 대체하기도 하지만. '평시조'. '지름시조', '사설시조' 세 수를 연이어 부르는 것을 '시조삼장'이라 하며, 이는 19세기 이래 시조의 중요한 연창 관행으로 자리 잡은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시조창의 악곡 분화의 핵심적 방향은 '평시조', '지름시조', '사설시조' 삼장을 연이어 부르는 편가적 특성을 갖추는 것이었다. '시조삼장'은 이러한 편가적 특성을 요약적으로 설명해주는 핵심적 개념어이자, 시조창의 전개 양상을 파악하는 키워드 가운데 하나라 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