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pulation Movement of Korean Chinese and Its Impacts on Their Communities: A Case Study

중국 조선족 대이동과 공동체의 변화- 현지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 Published : 2004.12.01

Abstract

1990년 이후 중국 조선족 사회는 급격한 변화의 소용돌이에 휩싸여있다. 그 핵심에는 조선족 공동체의 총체적인 재구조화가 자리하고 있다. 조선족 집거지로부터 대규모의 이촌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동북3성에 집중되어 있던 조선족은 전 중국으로 흩어지고 있다. 이러한 조선족의 이동은 조선족 공동체의 해체현상으로 이해되는 경향이 있다. 이 연구는 바로 인구이동이 조선족 사회와 공동체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물음에서 출발한다. 그리고 영향은 이동의 기원지인 농촌과 다양한 목표지의 현황과 조건, 이를 둘러싼 사회경제적 상황을 중심으로 다룬다. 이를 위해 사례연구를 실시하였으며, 필요한 자료는 선택된 마을의 방문과 현지에서의 심층면접을 통해 수집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조선족의 대규모, 원거리 이동이 조선족 공동체의 해체를 뜻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명백히 보여준다. 인구유출로 도시 또는 조선족 중심지에서 떨어진 농촌 마을에서 공동체의 해체는 빠른 속도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조선족은 새로운 목표지에서는 새로운 유형의 집중현상을 보인다. 한마디로 조선족의 이동은 조선족 사회의 도시화의 경향과 함께, 보다 넓은 지역으로의 공동체의 분산과 공동체내에서의 높은 민족 집중성을 특징으로 전개되고 있다. 또한 조선족 도시 공동체는 거주지역의 격리보다는 민족성을 기초로 한 문화적 정체성에 대한 강조를 특징으로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무원 인구보사판공실과 국가통계국 인구와 사회과기통계사(중국)(2003), <중국 2000년 인구보사자료> , 북경: 중국통계출판사. (중문)
  2. 국무원 인구보사판공실과 국가통계국 인구통계사(중국)(1993), <중국 1990년 인구보사자료> , 북경: 중국통계출판사. (중문)
  3. 김두섭(2003), '연변조선족 사회의 최근변화: 사회인구학적 접근', <한국인구학> 26-2
  4. 김현동 . 주인형(편)(1999), <재중동포사회 기초자료집> , I, II, III. 서울: 재외동포재단
  5. 박광성(2003), '한국의 조선족노동자들의 유입과 정착. 적응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석사학위논문
  6.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편)(2003), <중국 조선족 사회의 변화: 1990년 이후를 중심으로> , 연구보고서
  7. 심혜숙(1994), <중국 조선족 취락지명과 인구분포> , 연길: 연변대학출판사 및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8. 양옥금(2001), '연변조선족의 사회문제: 인구감소 현황과 그 과제', 이화여자대학교, 인간생활환경연구소, 연변연구센터, <한민족의 공동체 시각에서 본 연변 조선족의 현실> (심포지엄 논문집)
  9. 연길시 통계국.해당연도, <연길 통계연감> , 북경: 중국통계출판사
  10. 이동춘(2002), '21세기 중국 조선족 집중촌 건설과 록색 민족문화경제 기반 구축', 제9회 조선족 발전 학술 심포지엄과 워크숍 / 제1회 중한 록색 경제기술 합작 교류회. 북경
  11. 중앙민족대학 한국문화연구소 외(2002), <제9회 조선족 발전 학술심포지엄과 워크숍> , 북경: 중앙민족대학 한국문화연구소
  12. 한상복 . 권태환(1993), <중국연변의 조선족> ,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