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ter Ouantity/Quality Analysis and Pollutants Load Estimation in Sillicheon River, Jumunjin, Gangneung

강릉 신리천의 수량 수질 분석 및 오염부하량 추정

  • 조홍연 (한국해양연구원 연안·항만공학연구본부) ;
  • 김창일 (건국대학교 토목공학과) ;
  • 이달수 (한국해양연구원 연안·항만공학연구본부)
  • Published : 2004.12.01

Abstract

Water qualities (WQ) were measured biweekly from April 2nd to October 29th, 2003 in Sillicheon flowing into the entrance of Jumunjin Harbour and daily water quantities (river discharges) were estimated by the TANK model which has been widely used to compute the runoff discharges in the ungauged watersheds. The spatial and temporal change patterns of the measured WQs were analysed in detail and the correlation between rainfall - WQ and river discharge - WQ were also analysed. From this results, it is found tha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BOD concentration and rainfall is 0.75 and between the SS concentration and 2-days river discharge is 0.36.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D, TN, TP in the station of Silli Lower Bridge and rainfall runoff quantity was analysed as un-correlated items. As a consequence, the estimated BOD and SS pollutants loads are reliable and show good change patterns even though the accuracy of SS pollutants load is slightly low. The estimated COD, TN and TP pollutants loads, however, can be used only as the reference or averaged values. In order to analyse more accurately the temporal change patterns of these items, more-detailed researches considering the artificial effects and landuse patterns are highly required.

강릉 주문진항 입구로 유입되는 신리천 유역의 수질을 2003년 4월 2일부터 10월 29일까지 2주 간격으로 관측하였으며, 미계측 유역의 유량추정에 이용되는 TANK 모형을 이용하여 신리천의 하천수량을 일별로 산정하였다. 관측된 수질자료의 지점별$.$시기별 변화양상을 분석하였으며, 유역의 강수량과 하천수량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신리하교 지점의 BOD 농도와 강우량과는 상관계수 0.75로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며, SS농도와 2일 선행강우량과는 상관계수 0.36으로 약한 상관성을 보였다. COD, TN, TP 항목의 농도는 강수량, 하천유량과는 전혀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BOD 항목의 유역 오염부하량은 신뢰할 만한 수준이며, SS 항목의 오염부하량도 정확도가 다소 감소하지만 전체적인 오염부하량 변화양상은 반영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반면, COD, TN, TP 항목의 유역 오염부하량 추정결과는 평균 오염부하량 수치정도로 활용 할 수 있으나, 시기적인 변화양상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인위적인 요소 및 토지이용 양상 등을 고려한 연구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한국수자원공사 (2002). 우리  길라잡이. 동해지방해양수산청 (2004). 주문진항 해수교환시설 설치공사 사전 모니터링 최종보고서. 3장, 한국해양연구원
  2. 조흥연, 채장원 (1998). 진해.마산만 오염부하량의 특성분석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0(3), 132-140
  3. 조홍연, 채장원 (1999). 진해.마산만 일반수질항목 및 영양염류의 장기추이분석. Ocean research, 21(1), 13-25
  4. 한국해양연구소 (1997). 진해.마산만 수질환경 관리모델 개발(I). 제1차년도 연차보고서, BSPE 97607-00-1040-2, 해양수산부
  5. 한국해양연구소 (1999). 진해.마산만 수질환경 관리모델 개발(II). 제2차년도 연차보고서, BSPE 98703-01-1147-2, 해양수산부
  6. 한국해양연구소 (1999). 진해.마산만 수질환경 관리모델 개발(III). 제3차년도 최종보고서, 해양수산부
  7. 한국해양연구소 (2000) 연안역에서의 육지와 해양상호작용 연구. 남해 동부연안역의 영양물질 유입과 생물생산력 환경조성 기반기술, 제1차년도 연차보고서, BSPE 00784-00-1294-4
  8. 한국해양연구원 (2002). 연안역에서의 육지와 해양상호작용 연구. 남해 동부연안역의 영양물질 유입과 생물생산력 환경조성 기반기술, 제2차년도 연차보고서, BSPE 819-00-1392-4
  9. 한국해양연구원 (2003). 연안역에서의 육지와 해양상호작용 연구. 남해 동부연안역의 영양물질 유입과 생물생산력 환경조성 기반기술, 제3차년도 최종보고서, BSPE 827-01-1493-4
  10. Chapman, D. (1992). Water quality assessment: A guide to the use of biota, sediments and water in environmental monitoring. Chaps. 3, 6-7, UNESCO/WHO/UNEP, Chapman & Hall, 239-369
  11. Novotny, V.N. and Chesters, G. (1981). Handbook of nonpoint pollution: Sources and Management. Van Nostrand Reinhold Company
  12. NRC (1993). Managing wastewater in coastal urban areas Committee on Wastewater Management for Coastal Urban Areas,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Board, Commission on Engineering and Technical Systems, National Research Council, National Academic Press
  13. Thomann, R.V. and Mueller, J.A. (1987). Principles of surface water quality modeling and control. Chap. 1 and 6, Haper Collins Publishers
  14. Wheater, H.S., Jakeman, A.J. and Beven, K.J. (1993). Progress and directions in rainfall-runoff modeliing. In Modelling Change in Environmental Systems (Edited by A.J. Jakeman, M.B. Beck and M.J. McAleer), John Wiley & S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