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titutional Milieu of High-Tech Venture Business Cluster in a Metropolitan Area: the Case of Daegu City in Korea

지방대도시 벤처생태계의 제도적 및 문화적 환경: 대구지역을 사례로

  • 이철우 (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
  • 이종호 (대구가톨릭대학교사범대학 지리교육학과)
  • Published : 2004.04.01

Abstract

In this paper we attempt to explore the institutional and clutural milieu of high-tech venture business cluster in Daegu City and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creating sustainable high-tech venture businesses cluster. Although since 1998 the Korean government has made explicitly a great deal of efforts to help attract and create high-tech new start-ups in non-capital cities such as the support of business incubating centers and the establishment of real service centres, it reveals that such policies are not so successful in creating a sustainable venture ecology. One of the most critical resions is that such policies are centred simply on building physical infrastructure such as incubating space and service centre with less concern with promoting venture business cluster reflecting cultural and institutional specificities in a given region. In this respect we argue that the focus of industrial policies to support promoting high-tech venture business clusters in non-capital cities urgently need to move towards to make it for firms to encourage entrepreneurship driving innovation and to create social capital incucing trust and networks amongst firms, universities, public &privite supporting agencies, together with the building up of physical infrastructure the existing policies have done.

본 연구는 수도권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벤처기업의 자생적 발전기반이 취약한 지방대도시의 벤처생태계 실태를 대구지역을 사례로 분석하고, 이에 대한 정책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현재 정부는 대구를 비롯한 전국 24개 도시에 벤처기업육성촉진지구를 지정하고 벤처기업의 집적화 및 각종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구지역 벤처기업들은 이에 전반적으로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역 벤처기업들의 실수요와 촉진지구로 선정된 지역의 산업 및 제도적 특성을 반영한 사업이 아닌 단순한 물리적 환경의 조성에 정책의 초점이 맞추어진 결과이다. 벤처생태계가 제대로 성숙하기 위해서는 물리적 환경 조성 및 관련기업과 지원기관의 집적화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벤처생태계를 구성하는 관련기업과 지원기관, 그리고 매개기관들 간의 신뢰에 기반한 협력적 네트워크 관계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앞으로 벤처생태계가 제대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제도적 주체들간의 관계구조를 명확하게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주체간의 관계구조가 지역에 뿌리내릴 수 있도록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사업이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