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Qualities of Infant Day-Care Centers and Caregiver′s Interactions with Infants

영아보육의 실태 및 질적 특성 평가에 기초한 보육의 질 제고

  • Published : 2004.06.01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qualities of infant day-care centers and the caregivers' interactions with infants. Forty-six day-care centers from Seoul, Daejeon, and Daegu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wo kinds of methods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one was the Assessment Scale for Infant/Toddler Care Center developed by Choi and the other was the Qualitative Rating Scale for Caregiver used in the NICHD Early Child Care Project. Frequency, percentile, Crollbach's, one-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were calculated for data analysis. Qualities on 5 factors of infant day-care centers were ranged from 3.44∼4.35, the highest with health managing and the lowest with support system in the Likert 5-point scales. Sensitivity, developmental stimulation and positive regard to child, which are the caregiver's positive interactions with infants were rated minimally or usually characteristic. In addition, intrusiveness, detachment, negative regard to child and flatness, which are negative interactions with infants were rated never or minimally characteristic. Finally, some suggestions for good quality and facilitation of infant care were made.

Keywords

References

  1. 김신영(1998).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직업적인 문제 측정도구 타당성 분석. 교육학연구, 37(4), 225-253
  2. 김승권(2000). 영유아 보육서비스 실태분석과 종합대책 수립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 김애자, 최경희(2003). 영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직업적 어려움에 관한 연구. 영유아보육학. 35. 77-100
  4. 박혜원(2000). 영아 보육시설의 현황과 과제. 한국아동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자료집
  5. 백경숙, 변미희(2002). 보육관련 변인이 유아의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31, 135-152
  6. 보건복지부(2001, 2002). 보육사업 활성화 방안. 보도자료
  7. 양옥승(2000). 유아교육.보육기관 평가인정제 개발 연구. 아동학회지, 21(4), 177-196
  8. 양연숙, 조복희(2001). 타인양육 영아의 어머니에 대한 애착. 아동학회지, 22(1), 51-66
  9. 이명조(2001). 영유아 보육프로그램 실태 분석 연구. 아동학회지, 22(3), 287-308
  10. 이순형(1998). 보육시설의 환경 및 운영 평가와 정책대안. 한국영유아보육학회 '98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282-300
  11. 이순형, 이옥경(2000). 한국 보육시설의 영아기 프로그램 운영 평가. 아동학회지, 21(1), 121-140
  12. 이 옥(2000). 보육시설 인증제 도입에 따른 평가항목 개발 연구의 성과와 과제. 한국영유아보육학, 21, 11-37
  13. 조복희, 이 옥, 이진숙, 한유미(2003). 지역사회 공공보육시설 설치를 위한 학부모 인식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35, 259-282
  14. 지성애, 김영옥(2003). 논어촌 보육시설 현황과 활성화 방안. 한국영유아보육학, 32, 247-273
  15. 지성애, 박희숙(2000). 도시와 농어촌 보육시설의 부모만족도 비교. 한국영유아보육학, 23, 25-42
  16. 최경애(2002). 영아보육시설 평가기준 타당화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박사학위청구논문
  17. 최보가, 문영경(2004). 가정보육시설과 기관보육시설의 질적 특성과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 대한가정학회지, 42(1), 39-51
  18. 최일섭(1998). 이용자(부모)의 보육서비스 만족도 평가. 한국영유아보육학회 '98 추계학술대회자료집. 282-300
  19. 충청남도(1997). 충청남도 취업모의 보육요구 및 보육사업의 개선방안
  20. 표갑수, 이재양(2003). 한국영유아보육사업의 실태와 개선방안. 한국영유아보육학, 31, 383-420
  21.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2). 개인 탁아모 파견업체 이용실태 조사연구
  22. 허송연(2001). 보육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대처방법에 관한 연구 조사. 경남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Hatch, J. A. (1995). Qualitative Research in Early Childhood Settings. Westport, CT: Praeger
  24. Howes, C. (1987). Social competency with peers: Contributions from child car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 155-167 https://doi.org/10.1016/0885-2006(87)90041-X
  25. Howes, C. (1990). Can age of entry into child care and the quality of child care predict adjustment in kindergarten? Developmental Psychology, 26, 292-303 https://doi.org/10.1037/0012-1649.26.2.2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