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포틀랜드시멘트 원료로서 회중석 광미의 활용

Utilization of Scheelite Mine Tailing as Raw Material of Ordinary Portland Cement

  • 김형석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자원활용소재연구부) ;
  • 정수복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자원활용소재연구) ;
  • 김완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자원활용소재연구) ;
  • 안지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자원활용소재연구) ;
  • 채영배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자원활용소재연구부)
  • 발행 : 2004.06.01

초록

회중석 광석의 부유선별 공정에서 발생된 폐광미를 보통포틀랜드시멘트의 원료로 이용하기 위하여 폐광미의 사용량에 따른 조합원료 및 시멘트 클링커의 특성을 연구하였다. 폐광미에는 68.8%의 $_2$, 8.6%의 $Al_2$$O_3$, 10.8%의 Fe$_2$$O_3$, 5.0%의 CaO가 함유되어 있고, 주로 $\alpha$-quartz, muscovite, clinochlore 등으로 존재하며, 88$mu extrm{m}$ 잔사가 약 8.0% 정도 이다. 석회석, 전로슬래그, 플라이애쉬, 폐광미 등의 조합원료를 LSF: 91.0, SM: 2.60, IM: 1.60의 modulus로 혼합하여 클링커를 합성한 결과, 조합원료의 소성지수는 50.7정도이고, 클링커에 함유된 $C_3$S 및 $\beta$-C$_2$S의 결정크기는 15∼35$\mu\textrm{m}$로, 폐광미를 조합원료에 약 3.8%까지 사용할 수 있었다.

In order to use the mine tailing which was generated in the flotation process of scheelite ore into the raw material of ordinary portland cem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pared cement clinker was investigated. Scheelite mine tailing is composed of 68.8% of $SiO_2$, 8.6% of $Al_2$$O_3$, 10.8% of $Fe_2$$O_3$, 5.0% of CaO, respectively. It exists as $\alpha$-quartz, muscovite, clinochlore and has 8.0% of 88 $\mu\textrm{m}$ residue. When LSF, SM, and IM of the raw materials (such as limestone, convertor slag, fly ash, and mine tailing) are 91.0, 2.60, and 1.60, respectively, the burnability index of the raw materials is 50.7, the crystal size of $C_3$S and $\beta$-C$_2$S in the prepared clinker is 15∼35$\mu\textrm{m}$, and about 3.8% of scheelite mine tailing can be used as raw material.

키워드

참고문헌

  1. 민정식 등, 1997: 광산지역 광해조사 및 대책연구, 한국자원연구소, pp. 113-117
  2. 정영욱, 민정식, 2003: 폐금속광산 폐기물의 특성과 복구사업 사례, 한국지질자원연구원논문집, 7(2), pp. 3-9
  3. 정문영, 최연왕, 2002: 상동광산 광미의 특성과 재활용방안, 제6회 폐기물 처리 및 재활용 워크샵,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p. 112-127
  4. 오재현, 1967: 부유선광에 관하여, 화학공학, 5(2), p. 72
  5. Helming, B., 'Die Zernent Herstellung', Polysius Review
  6. Indach, J.A., 1976: 'Non-Isothermal Investigation of the Kinetics of Reactions Occurring During the Clinker Formation', Cern. Concr. Res., 6(6), pp.747-756 https://doi.org/10.1016/0008-8846(76)9000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