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Type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Bomun

보문의 유형과 조형성 연구

  • 이주영 (부경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 장현주 (제주대학교 의류학과) ;
  • 도주연 (영산대학교 패션디자인학부) ;
  • 장정아 (밀양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Published : 2004.03.01

Abstract

Bomun(Treasure Pattern), by its formative beauty and its symbol of good-luck, is mixed well with other patterns and produces another luxurious and gorgeous pattern with them. This study is to sort out Bomun patterned materials in the relics of Chosun dynasty, to classify the types of patterns according to its elements and to its arrangement, and to analyze their aesthetic characteristics in terms of fabrics, methods of putting patterns on fabrics, their usage, and symbols and aesthetics. The types of Bomun, in terms of their composition elements, are classified as Individual type, Compound Type Ⅰ, which is made with another Bomun, and Compound Type Ⅱ, which is compounded with plant patterns or with animal patterns. In terms of its arrangement, it is classified as Dense type, Sparse type, and Picturesque type, and the most popular type is the pattern of the dense type. Bomun was depicted in the fabric through a technique called Jimunbeop. It was used on both men's and women's clothing. It was mostly used in Po of men's clothing and in Jeogori(jacket) of women's clothing. Bomun connotes the meaning of good-luck, beating off evil spirits, Yin and Yang ideology, noble tastes, etc.

Keywords

References

  1. 임재영 (1978), 우리나라 七寶紋樣에 관한 硏究-현존유물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河美子(1997). 寶紋에 관한 연구 -조선시대 직물에 나타난 七寶, 八寶紋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고부자 (2002). 조선시대 피륙[織物]의 무늬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소장 出土유물을 중심으로-. 朝鮮時代 피륙[織物]의 무늬. 단국대학교 출판부.
  4. 노자키 셰이킨 지음, 변영섭.안영길 옮김 (1992) 중국 길상도안. 예경
  5. 한국디자인포장센터 (1989), 傳統工藝技法의 産業化를 爲한 調査硏究 -紋樣을 중심으로-
  6. 吳勤在 (1987). 韓國紋樣의 展開(菱花篇). 미진사
  7. 林永周(1986). 傳統紋樣 資料集. 미진사
  8. 한국디자인포장센터 (1989), 傳統工藝技法의 産業化를 爲한 調査硏究 -紋樣을 중심으로-, p.12
  9. 임영주 (1991), 전통문양자료집. 미진사. pp. 13-14
  10. 河美子(1997). 寶紋에 관한 연구 -조선시대 직물에 나타난 七寶, 八寶紋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31-33
  11. 심연옥 (2002). 한국직물오천년. 고대직물연구소. p. 227
  12. 河美子(1997). 寶紋에 관한 연구 -조선시대 직물에 나타난 七寶, 八寶紋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13
  13. 심연옥 (2002). 한국직물오천년. 고대직물연구소. p. 145
  14. 河美子(1997). 寶紋에 관한 연구 -조선시대 직물에 나타난 七寶, 八寶紋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20
  15. 조풍 (1999). 織繡珍. 藝紗堂. 服節出版. p. 238
  16. 河美子(1997). 寶紋에 관한 연구 -조선시대 직물에 나타난 七寶, 八寶紋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14-16
  17. 조풍 (1999). 織繡珍. 藝紗堂. 服飾出版. p. 238
  18. 허균 (2002). 전통문양. 대원사. p. 117
  19. 河美子(1997). 寶紋에 관한 연구 -조선시대 직물에 나타난 七寶, 八寶紋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17-20
  20. 한국복식 1호-20호 (1983-2002), 석주선기념민속박물관
  21. 조선시대 피륙[織物]의 무늬 (2002). 석주선기념민속박물관.
  22. 경기도박물관 (2002), 조선의 옷매무새. 민속원
  23. 경기도박물관 (2001), 전주이씨 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24. 경기도박물관 (2001). 전주이씨 묘 출토복식 문양집
  25. 이순원. 유효선. 조우현 (2000). 이석명(李碩明) 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서울대학교 박물관
  26. 김영자 . 김명숙 . 장인우 . 이수봉 (1999). 朝蘇時代服飾硏究. 학연문화사
  27. 榮州市 (1998), 判決事 金欽祖先生 合葬墓 發掘調査 報告書
  28. 金英淑 (1997). 朝鮮前期 佛服藏織物의 理解. 미술문화
  29. 장인우 (1995). 우리나라 16.17세기 출토복식, 학연문화사
  30. 朴聖實 (1992). 朝蘇前期 出土服飾硏究 -壬辰倭亂 以前 時期를 中心으로-,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1. 온양민속박물관 (1989). 安東金氏 墳墓發掘調査 報告書
  32. 권영숙. 이주영 (1995). 조선 초.중기 여자 장의(長衣)제도 -임란전후 출토유물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가정대학연구보고, 21, p.122
  33. 임영주 (1991), 전통문양자료집. 미진사. p. 24
  34. 김명숙 (1999). 洪禹協 遺衣를 통해 본 朝蘇時代 17世紀 服飾과 織物. 학연문화사. pp 105-106
  35. 경기도박물관 (2002) 조선의 옷매무새. p 48. 57. 60. 76
  36. 周汛. 高春明(1996). 中國衣冠服飾大辭典. 上海蘇書出版社. pp. 590-591
  37. 허균 (2002). 전통문양. 대원사. p. 122
  38. 이주영. 권영숙 (2000), 조선시대 직령(直領)연구 -조선왕조실록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8(2). pp. 254-255
  39. 韓國文化財保護財團 (1995), 한국의 무늬, 예맥출판사. p. 92
  40. 林永周(1986). 傳統紋樣 資料集. 미진사. p. 13
  41. 韓國文化財保護財團 (1995), 한국의 무늬, 예맥출판사, p. 96
  42. 한국철학회 (1987). 한국 철학사(上), 동명사. p. 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