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Macrobenthos species-area relationship was investigated and empirical models were estimated to enable comparisons among species numbers of different sample size. The study aims to choose a way to predict cumulative relative species number (CRSN) in a given sample size Saemangeum, located in the west coast of South Korea, were visited in Apr., May and Aug.,2002 and a total of 261 biological samples from 87 stations were obtained by employing a quantitative sediment sampler, Smith-McIntyre grab and design of 3 replicates at each station. Relative species numbers (%) were baselined at sample size of 1000 $\textrm{cm}^2$ and the patterns of CRSN along the axis of sample size were measured and observed. In correlation analysis performed on a set of abiotic and biotic variables, log-transformed CRSN showed the on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log-transformed density. Based on the result, three models, Log CRSN 2000, Log CRSN 3000 and Log CRSN were produced. The former two were devised to predict CRSN at 2000 and 3000 $\textrm{cm}^2$ respectively, and the latter at various sample sizes and samplers (all p-values were <0.001). Database from other studies (intertidal or subtidal macrofaunal samples from Kyonggi Bay and Saemangeum) were used to evaluate validity of the models. Observed CRSN below sample size of 3000 $\textrm{cm}^2$ fell under the range of 95% prediction interval and this was appeared to provide reliability of the models below that sample size.
채집 면적이 다른 연구 결과 간 출현 종수의 비교를 가능토록 하기 위하여 대형 저서동물 군집 출현 종수와 채집면적에 따른 관계를 파악하고 경험적 모형을 추정하였다 이 연구는 주어진 채집 면적에서의 누적 상대종수(cumulative relative species number. CRSN)를 예측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재료로는 2002년 4월과 5월 그리고 8월에 방문한 전라북도 새만금 해역의 총 87개 정점에서 매 정점마다 정량 채니기인 Smith-McIntyre 그랩 채집기로 3회 반복 채집하여 구한 총 261개의 표본을 사용하였다. 상대적 출현 종수(%)는 1000 $ extrm{cm}^2$ 채집 면적의 것을 기준하였으며 누적 상대종수-채집 면적 간 패턴을 측정하고 관찰하였다. 환경 요인과 생물학적 변수간 상관관계 분석에서 대수 변환된 누적 상대종수는 유일하게 대수 변환된 평균 밀도와 유의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3개 모형, Log CRSN 2000, Log CRSN 3000 그리고 Log CRSN을 제시하였다. 이들 중 앞의 2개는 각각 채집면적 2000과 3000 $\textrm{cm}^2$의 누적 상대종수를 추정하며, 후자는 다양한 채집기와 채집 면적으로부터의 것을 추정하기 위한 것이다(모형의 유의수준은 모두 <0.001).타 연구의 데이터베이스(과거 경기만과 새만금의 조간대나 조하대 대형저서동물 군집 자료)를 활용하여 모형의 타당성을 평가하였다. 채집 면적 3000 $\textrm{cm}^2$이내에서는 실측된 누적 상대종수가 모형의 95% 예측 구간에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채집 면적 내에서의 예측치는 신뢰 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