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Agro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 paddy fields irrigated with the water of Nagdong river were analyzed along the river watershed for two years from 1999. The sites monitored from upper reaches of the river were Andong, Sangju, Gumi, Goryeong, Changnyeong, Milyang and Pusan. In paddy soils, the contents of heavy metals such as Cd, Cr, Cu, Pb, Ni, Zn and As were around natural values showing the highest values in Pusan followed by Goryeong. In brown rice, the contents of heavy metals were lower than natural values. Soil chemical properties appeared higher values in the lower reaches including Goryeong than the upper ones. The highest parameters in Goryeong were pH ($5.9{\sim}6.1$), EC ($0.8{\sim}0.9\;dS/m$), $Av.P_2O_5$ ($155{\sim}201\;mg/kg$), exchangeable Ca ($6.7{\sim}7.4\;cmol^+/kg$), Mg ($1.92{\sim}2.50\;cmol^+/kg$), K ($0.18{\sim}0.21\;cmol^+/kg$) and those in Pusan were organic matter ($23.0{\sim}29.1\;g/kg$) and T-N ($1.6{\sim}1.8\;mg/kg$). In conclusion, the recommended rates of N fertilizer for rice cropping were 21.4%, 11.8% and 8.8% high for Andong, Sangju and Gumi, respectively and 14.9%, 4.6%, 4.5% and 11.5% low for Goryeong, Changnyeong, Milyang and Pusan, respectively reflecting the chemical properties of soils and the quality of irrigation water on the basis of 110 kgN/ha. In the case of phosphorous, the rates were 18.9% and 33.3% low for Changnyeong and others,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45\;kgP_2O_5/ha$. The populations of bacteria, fungi, actinomycetes, Bacillus, fluorescent Pseudomonas and Biomass C were high at the lower reaches including Goryeong, which showed relatively much nutrient contents of organic matter, total N and phosphorous etc.
낙동강 물을 관개하여 벼를 재배하는 강 상류의 안동 풍산에서부터 하류의 부산 구포까지 7개 지역 논토양의 농업환경 특성을 1999년부터 2년간 비교 분석하였다. 토양의 중금속함량은 자연함량 안팎이었으며 가장 높았던 곳은 부산 강서 지역이었고 다음으로는 고령 성산 지역이었다. 그러나 현미중의 중금속은 자연함량 이하를 보였다. 토양의 화학성은 고령 성산지역과 부산 강서지역에서 높았는데, $1999{\sim}2000$년도의 영농 후 토양에서 고령은 pH ($5.9{\sim}6.1$), EC($0.8{\sim}0.9\;dS/m$), 유효인산($155{\sim}201\;mg/kg$), 치환성 칼슘($6.7{\sim}7.4\;cmol^+/kg$), 치환성 마그네슘($1.92{\sim}2.50\;cmol^+/kg)$, 치환성 칼리($0.18{\sim}0.21\;cmol^+/kg$)가 가장 높았고 부산에서는 유기물($23.0{\sim}29.1\;g/kg$), 총질소($1.6{\sim}1.8\;mg/kg$)가 가장 높았다. 낙동강 물의 관개수질과 토양화학성을 고려한 벼의 진단시비량은 질소의 경우 110 kg/ha를 기준으로 안동 21.4%, 상주 11.85, 구미지역에서 8.8% 정도 증시할 필요가 있었으나, 고령에서는 14.9%, 창녕은 4.6%, 밀양 하남은 4.55, 부산 강서지역은 11.5% 내외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인산질 비료는 45 kg/ha 기준으로 창녕 도천에서만 18.9% 줄여 주고 다른 지역에서는 기본시비량인 30 kg/ha만 시용하여도 무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논토양에 분포하는 세균과 사상균, 방선균, 중온성 Bacillus, 형광성 Pseudomonas, Biomass C는 유기물과 총 질소, 인산 등의 양분함유량이 많았던 고령 성산과 그 하류지역에서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