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Environmental Hazard by the Leachate from Disposal Waste

매립장 침출수 환경 재해에 관한 연구

  • 김준경 (세명대학교 자원환경공학과) ;
  • 배효준 (세명대학교 자원환경공학과 대학원) ;
  • 최오순 (제천 중학교 청풍분교)
  • Published : 2003.12.31

Abstract

The domestic and the industry wastes which mainly come out of human life activities have been usually processed mainly by the incineration method and/or the method of reclamation. The method of reclamation, specially open dumping, has caused significant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s on the local or regional soil and groundwater system by leachate. Therefore, to investigate the 3-D structure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pollution area is one of the hot subjects. We applied dipole-dipole method of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to investigate 3-D environmental contamination characteristics of the Noeun landfill area. For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the line for measurements was established parallel to the main boundary of the Noeun landfill, for effective investigation of the whole landfill area. The result shows that the uppermost layer of the Noeun landfill is believed to be stabilized completely, based on the result of electrical resistivity values. However, the lowest layer of the Noeun landfill was partially polluted by leachate. Therefore, the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method is believed to be the one of the most effective methods to investigate three-dimensional distribution of leachate occurred in the lower part of landfill area.

생활폐기물 및 산업폐기물은 인간의 활동으로부터 배출되며 소각법 혹은 매립법 또는 2가지 방법을 동시에 이용하여 처리되고 있다. 특히 매립법은 침출수로 인하여 매립지가 있는 지역의 지하수계를 심각하게 오염시켜 환경재해를 발생시키고 있다. 따라서 오염지역의 침출수 오염특성을 3차원적으로 조사하여 환경재해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비위생 매립지인 충주시 노은 매립장의 3차원적 침출수 오염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를 위한 1개 측선의 방향은 주된 매립지 경계와 평행하도록 설치하였다. 노은 매립장을 탐사한 결과 가장 상부층은 안정화가 완전하게 진행되었으나 가장 하부층은 부분적으로 침출수가 일부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지수, 한수형, 최상훈, 이경주, 이인경, 이평구(2002), 장풍 페광산의 산성광산폐수의 의한 침출수 유동에 대한 지구물리 및 지화학탐사자료의 상관해석, 지구물리, 제5권 , p19-28
  2. 권병두, 김차섭, 정호준, 오석훈 (1995), 난지도 매립지 및 그 주변의 지질환경 연구, 자원환경지질, 제28권 , p 469-480
  3. 권병두, 서정희, 오석훈(1998), 부산시 석대 매립지 에석의 중력, 자력, VLF탐사, 자원환경지질, 제31권, 59-68
  4. 문윤섭, 이태종, 이채영, 윤준기(2003), 물리탐사 기법을 이용한 건축 폐기물 매립지의 규모 파악, 지구물리, 제6권, p 13-24
  5. 민경덕, 서정희, 권병두(1987), 응용지구불리학, 우성문화사
  6. 손호웅, 김지수, 손영수, 윤왕중, 김인수, 서만철, 김기영, 조언기, 김학수(2000), 지반환경물리탐사, 시그마프레스
  7. 송성호, 용환호, 안중기, 김기표(2003), 제주도 쓰레기매립장 침출수 조사를 위한 전기 및 소형루프 전자탐사의 적용, 물리탐사 제 6권 , p 1-10
  8. 윤왕중, (1991), 대수적 영상재구성법에 의한 탄성파 지오코모그래피의 연구, 공학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9. 이기화, 권병두, 정호준, (1996a), 난지도 매립장 전기 . 전자탐사, 대한지하수환경학회지, 제3권 , p 95-10
  10. 이기화, 권병두, 오석훈, 김차섭, (1996b), 난지도에 인접한 한강변에서의 쌍극자-쌍극자 전기탐사, 자원환경지질, 제29, p 335-343
  11. 이기화, 윤종렬, (1998), 포항 옥명 폐기뭉 매립장에서의 전기탐사, 지구물리, 제 1권 , p 41-50
  12. 이기와, 권병두, 임형래, 양준모(2000), 난지도 매립장의 안정화에 따른 지질환경 변화 조사를 위한 지구물리 탐사, 지구물리, 제 3권, p 113- 126
  13. 이재영, 김학수, (1996) , 불량쓰레기 매립지에 대한 물리탐사 적용사례 연구(I), 한국토양환경학회지, 제 1권 , p 29-38
  14. 임해룡, (1992), Fermat 원리 및 수정된 파선경로를 이용한 비선형파선 토모그래피 연구, 공학박사 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5. 장연수, 이광열(1994), 난지도 매립장 지반을 통한 오염이동 특성과 제어,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Groundwater Environment, 제 1 권, p 1-5
  16. 조창수(2001), 시추공 탄성파 탐사 자료 영상화에서 분해는 향상, 공학박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17. 최오순, (1997), 물리탐사를 통한 매립장 주변의 지하수분포에 관한 연구, 교육학석사학위논문, 세명대학교
  18.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2), 토목 . 환경 분야 적용을 위한 물리탐사 실무 지침, p 1-311
  19. 환경백서 (2003), 환경부, p 485-5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