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licability of A Stream Evaluation Method for Stream Restoration

하천복원을 위한 하천평가기법의 적용성 연구

  • 이준호 (국립방재연구소) ;
  • 강태호 (삼안건설기술공사 수력부) ;
  • 성영두 (한국수자원공사 조사기획처) ;
  • 윤세의 (경기대학교 토목.환경공학부)
  • Published : 2003.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new method for evaluation of stream naturalness in order to promote stream managers' understanding on importance of improving stream naturalness, and in order to appraise and prescribe for streams effectively in the process of ecological restoration of stream corridors. In order to analyze the evaluation method of stream naturalness and its applicability to streams, stream naturalness index(SNI) which has seven factors such as channel development, longitudinal profile, lateral section, stream bed structure, low flow channel structure, stream surroundings and water quality was suggested in this paper. For case studies, Bokha stream was selected for the evaluation of stream naturalness. At the Bokha stream, the scores of SNI factors were in range of $2.2{\sim}3.8$, and the average of SNI was 3.1, and the most frequent grade of SNI factors was grade 3. Among the 7 factors, the best was lateral section, and the worst was channel development. In this study, SNI grade can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stream naturalness well and select the streams which will be restored, and can also decide the segment and the method of restoration for deteriorated streams.

본 연구의 목적은 하천 관리자들에게 하천의 자연성 증진의 중요성을 이해시키고, 하천을 자연스러운 상태로 되돌리는 과정에서 하천이 처한 상황에 대한 진단과 처방을 위한 하천자연도 평가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의 자연도평가와 그 적용성의 확인을 위해 수로의 발달, 종방향, 횡방향, 하상구조, 저수로변 구조, 하천주변, 수질 등 7가지 자연도 평가기법의 항목을 제안하였다. 자연도평가를 위해 복하천을 대상하천으로 선정하였다. 복하천에서 자연도지수는 $2.2{\sim}3.8$정도였고, 평균지수는 3.1로 대부분이 3등급을 나타내었다. 7개 지수 중에서 횡단면이 가장 높은 등급이었고, 수로의 발달이 가장 낮은 등급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의 자연도 등급을 통해 하천의 자연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복원해야 할 하천의 선택과 훼손된 하천의 복원구간 및 방법을 결정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2000) 한국하찬일람
  2. 건설교통부(2001) 자연 친화적 하천정지기법 개발보고서
  3. 김동찬, 박익수(1999) 생태환경복원을 위한 하천자연도 평가기준에 관한연구. 한국정원학회 학회지, 한국정원학회, 제17권, 제3호, pp. 123-134
  4. 김동찬, 이정, 박익수(2000) 자연형하천복원을 위한 하천자연도 평가. 한국조경학회 학회지, 한국조경학회, 제27권, 제5호, pp. 138-149
  5. 김윤종, 조용현, 김경민(2000) 자연환경관리 GIS를 이용한 서울시 생태 . 자연도 작성 연구. 한국GIS협회 협회지, 한국GIS협회, 제8권, 제1호, pp.56-67
  6. 김현 외 (1992) 서울, 인천 및 경기도의 녹지자연도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학회 학회지, 한국환경학회, 제10권, 제2호, pp.110-122
  7. 이상호(2000) 안양천의 자연형하천 설치 구간 선점을 위한 하천평가 기법 적용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산업과학연구소
  8. 정경진(1996) GIS를 활용한 하천 자연도 평가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석사학위논문
  9. 조용현(1997). 생태적 복원을 위한 중소하천 자연도 평가방법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전공 박사학위논문
  10. 조용현(1997). 우리나라 중소하천 코리도의 지연성 평가기법 연구, 한국조경학회 학회지, 한국조경학회, 제25권, 제2호, pp.73-82
  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0). 국내 여건에 맞는 자연형 하천공법의 개발. 환경부
  12. 한국수자원공사(2001). 하천환경조사체계 구축방안 조사 보고서
  13. 周太郞, 萱原正者(1994) 都市水環境新展閒, 東京:技報堂出版
  14. 建設省 東北地方建設局(1994). 東北の自然豊 かな川づくり- 近 自然化河道改修計劃檢討 二マ二 ュアル
  15. 建設省 河川局 治水科(1993). 河道計劃策定의 案內指針(案)
  16. 國松孝男, 菅原正孝(1992). 都市の水環境の創造, 技報堂出版
  17. 社團法人 河川環境管理財團(2001). 多摩川水系河川整備計劃
  18. Fry, Jana, Steinerm Frederick R. and Green, Douglas M. (1994). Riparian evaluation and site assessment in Arizona.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28:179-199
  19. Leopold, L.B. and Wolman, M.G. (1957). River channel pattrns - braided, meandering and straight, Professional Paper.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82B, pp. 39-85
  20. Leopold, Luna B, Landscape Aesthetics, In G. Bell and J. Tyrwhitt (ed). (1972). Human Identity in the Urban Environment, Harmondsworth, England Penguin Books, pp.89-105
  21. Naiman, R. J. et al. (1992). General Principes of Classification and the Assessment of Conservation Potential in Rivers. In P. J. Boon et al (eds), Rive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New York: John Wiley, pp.115-116
  22. National River Authority (1993). Landscape Assessment, Conservation Technical Handbook 2, NRA
  23. National River Authority (1992). River Corridor Surveys, Bristol: NRA
  24. Otto, Alvercht (1994). Gew$w\ddot{a}s$sserstrukturg$g\ddot{u}t$- tekartierung in der Bundersrpublik Deutschland, teil 1, Verfhernsentwurf f$f\ddot{u}r$r kleine und mittelgro$\theta$e Flie$\theta$gew$\ddot{a}$sser der freien Land-schaft im Bereich der Mittelgebirge, des H$\ddot{u}$gellandes und des Flachlandes, Lanesamt f$\ddot{u}$r Wasserwirtschaft Rheinland-Pfalz
  25. Otto, Albrecht (1995). Rheinland-Pfalz Aktion Blau: Gew$\ddot{a}$sserentwicklung in Rheinland-Pfalz, Ministerium f$\ddot{u}$ur Umwelt and forsten
  26. P. J. Boon. (1992). Essential Elements in the Case for River Conservation, In Boon er al. (ed), River Conservation Management, New York: John Wiley & Sons pp.11-34.
  27. Yoon, Sei Eui, Kang, Tae Ho, Sung, Young Du (2003). Evaluation of stream naturalness of stream corridors in Han river basin, Proceedings of APHW2003, Vol 2, pp.856-8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