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Utility of Library Catalogs in the Digital Environments

디지털 환경에서 도서관목록의 유용성

  • Rho, Jee-Hyu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Dept., Pusan National University)
  • 노지현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Published : 2003.09.30

Abstract

With the rapid and broad changes of information ecology human information activity is moving toward a new pattern-network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networks are being constructed over the world, and through the networks various forms and contents of information are being flowed or transferred. Under these circumstances a serious question could arise regarding whether the present cataloging principles and practices are right and appropriate for the so-called 'digital network generation of library users'. This study was developed to explore this question. Especially, this study conducted an analysis on the utility of library catalog with an emphasis on the perspectives of library users. As a result, it turned out that the quality of library catalogs produced by Korean universities was in a very low standard. The degree of satisfaction on the quality was very low, particularly among library users. In conclusion, this study made several suggestions on the cataloging policy and practices: both at the national level and the unit library level.

이 연구는 도서관목록의 역할과 기능이 커다란 변화에 직면하면서 그 본래의 가치보다 훨씬 평가절하되고 있다는 인식에서 출발한다. 이러한 전제 하에, 현재의 상황을 초래한 구조적인 원인을 밝혀내는 것에서부터 시작하여, 현단계 도서관목록이 안고 있는 각종 '부실'을 제거하고 '유용성'을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중점적으로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도서관 이용자가 자신의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는 작은 실마리를 찾아낼 수 있는 논리적 경로로써 그동안 도서관목록은 본연의 역할에 얼마나 충실했는지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에서, 이 연구는 우리 도서관목록의 유용성이 저하된 근본 원인이 무엇인지를 우선적으로 분석하고, 다음 유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향후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를 편목 정책과 실무 방안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정근. 1995. 한국의 대학도서관 무엇이 문제인가. 한울.
  2. 김정근. 2000. 우리 문헌정보학의 길 어떻게 걸어갈 것인가. 대구:태일사.
  3. 노옥순. 1995. 정리사서의 역할변화와 업무 재편에 관한 연구. 情報管理學會誌, 12(2):68 .
  4. 노지현. 2003. 유용성의 관점에서 본 도서관목록의 품질.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7(2):107-134 https://doi.org/10.4275/KSLIS.2003.37.2.107
  5. 사공철 등편. 1996. 문헌정보학용어사전. 서울:한국도서관협회.
  6. 이제환. 1997. 분산체계로 구축된 통합 DB의 품질검증 및 개선을 위한 연구. [대전:연구개발정보센터]
  7. 이제환. 2003. 다시 생각해 보는 사서직의 전문성. 한국문헌정보학회 학술발표논집, 제15집:94.
  8. 정연경. 2000. 디지털 환경에서의 목록교육에 관한 연구. 國會圖書館報, 37(4):17.
  9. 노나카 이쿠지로. 1995. 지식창조의 경영, 21세기북스.
  10. Borgman, Christine. 1996. “Why are Online Catalog Still Hard to Use?”.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47(7):493. https://doi.org/10.1002/(SICI)1097-4571(199607)47:7<493::AID-ASI3>3.0.CO;2-P
  11. Buckland, Michael. 1992. Redesigning Library Service: a manifesto. Chicago and London:American Library Association.
  12. Hill, Janet Swan and Sheila S. Intner. 2002. “Preparing for a cataloging career : from cataloging to knowledge management”. [cited 2002. 12.24]. .
  13. Murtomaa, Eeva. 1998. “The Impact of the Functional Requirements for Bibliographic Records Recommendations on the ISBD(ER)”. 64th IFLA General Conference(Aug. 16-21). .
  14. Norgard, Barbara A., Michael G. Berger, Michael Buckland and Christian Plaunt. 1993. “The Online Catalog: From Technical Services to Access Service”. Advances in Librarianship, 17 : 111. https://doi.org/10.1108/S0065-2830(1993)0000017007
  15. Segal, Jo an S. 1985. “Networking and Decentralization". Annual Review of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 : 203-231.
  16. Svenonius, Elaine. 2001. The Intellectual Foundation of Information Organization. MIT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