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Safety Education Model for Elementary Schools in Korea

초등학교 교육의 통한 체계적 안전교육 접근모형 개발

  • 김은주 (협성대학교 보건관리학과) ;
  • 박남수 (연세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Published : 2003.09.01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status and needs of safet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and to develop a model of the comprehensive school safety education in Korea. A literary review was used to assess the status of safety education materials in Korea, the safety education program, and the laws and policies about safety education.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in Seoul, Kyonggi Province, Kwangwon Province, and Jeonbuk Province to assess the status and needs of school safety education. Survey data was obtained in June 2002 from 83 teachers and 21 focus group consisting of experts. The primary goal of safety education is to help students to acquire knowledge, attitudes, and beliefs on safety. Comprehensive safety education has these primary goals: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students to develop their values, attitudes and beliefs about safety. This study will help assess the feasibility of applying safety education guidelines in elementary schools in Korea, including theoretical aspects of the field and practical aspects of safety education in relation to guidelines containing the diverse types of safety activities in Korea. In particular, it will suggest appropriate alternatives to current methods, protect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and how those can be created in the cultural context of Korea.

Keywords

References

  1. 강희숙. 국민학교 어린이의 보행자 교통안전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교육학회지, 1993;10(1):61-71
  2. 교육인적자원부., 제7차교육과정 안내, 1998
  3. 김민아, 이명선. 서울시 고등학생의 안전교육 실태 및 요구도 조사.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1;18(3):133-162
  4. 김신정. 학령전기 아동의 사고예방을 위한 안전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아동간호학회지2001;7(1):118-140
  5. 김영혜, 김정숙, 강인순.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이 인지한 안전예방교육, 안전사고 및 학교시설물 관리상태. 아동간호학회지 2002;8(2):183-194
  6. 김은주, 김종천, 박남수. 초등학교 안전교육 교과과정 분석 및 지침서 개발. 보건복지부 국민건강증진연구사업 2002:134-148
  7. 김탁희, 이명선. 초등학교 안전교육 내용분석연구. 한국보건교육 . 건강증진학회지 2001;18(2):45-64
  8. 박남도. 유아 교통안전 교육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9. 배정이. 초등학생의 안전사고예방교육 및 예방수칙 실천현황.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02;8(2):219-229
  10. 백경원, 이명선. PRECEDE모형을 이용한 일부 초등학교 안전교육의 진단적 연구. 한국보건교육. 건강증진학회지 2001;18(1):35-48
  11. 백경희. 취학 전 아동 교통 안전교육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12. 변영계, 김광희. 협동학습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0
  13. 송인자, 한정석. 영유아의 사고유형실태조사와 안전교육 효과분석. 한국보건간호학회지 1998;12(1):55-74
  14. 양정모, 박영수. 초등학생의 안전사고가 초등교사의 교육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2000;1(2):105-126
  15. 이기숙, 장영희, 정미라, 배소연, 박희숙. 영유아를 위한 안전교육. 양서원, 1998
  16. 이한용, 우종웅, 김일영. 아동의 안전에 관한 인식과 교육실태조사연구. 한국보건교육 . 건강증진학회지 2001;18(3):59-75
  17. 임승지. 교통안전교육 전후의 지식, 태도 및 실천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보건교육 . 건강증진학회지 1999;16(1)
  18. 장성민, 김영복, 이정표. 국민학교 어린이 사고의 사례분석. 한국교육개발원, 1995
  19. 전성태. 초등학교의 안전교육에 대한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20. 정명애, 박경민, 권영숙. 학교안전교육이 초등학생의 안전생활실천에 미치는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00;11(2):566-576
  21. 통계청. 통계청 보고, 2002
  22. 한국교육개발원. 초중퉁학교 안전 보건교육 체계화 연구, 1997
  23. 한국산업안전공단. 학교교사를 위한 안전보건교육, 2003
  24. 한국소비자보호원. 초등학교 교내와 주변시설물 안전실태 조사, 2002
  25. 한국아동안전관리 교육협회. 아동 안전교육 지도사. 사단법인 한국아동 안전관리교육협회, 2001
  26. 한성현. 일부 고등학생들의 안전보건교육 및 안전사고 실태와 관련요인.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19(1);1-16:2002
  27. 허 억. 새 정부의 어린이 교통안전 실천과제, 2003
  28. 허 억. 학교안전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2002
  29. 황춘자. 유치원 보건행정과 유아건강교육에 관한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0
  30. Bhatia. E, Preventing Unintentional Adolescent Injury in promoting teen health, Sage publication, 1998
  31. Clark. M, Infant and children prenatal through middle childhood, 1986
  32. CDC, US DHHS, School health Guidelines to prevent Unintentional Injuries and Violence, 2001
  33. Dennison, D, T. Golazewski, The Activated Health education Model: Refinement and Implications for school health education, Journal of school health, 2002;72(1):23-26 https://doi.org/10.1111/j.1746-1561.2002.tb06507.x
  34. Florio, Children's Play and Playgrounds, Allyn & Bacon, 1962
  35. Freda, Health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Goodyear Pub, 1994
  36. Marland, The effects of Sociodramatic Play on disadvantaged children, 1973
  37. Pickle, Barbara., Increasing safety awareness of preschoolers through a safety education program, Nova University, 1989
  38. Rosenbaum, U.S., & Drabman, R.S., Training preschool children to identify emergency situations and make emergency phone calls, Behavior Therapy, 12, 1981
  39. Ross J.M., Gold R.S., Lavin A.T., Errcart, M.T. and Nelson, G.D : Design of the teenage health teaching Modules evaluation, Journal of school health, 1991;61(1):21-25 https://doi.org/10.1111/j.1746-1561.1991.tb07854.x
  40. Zeedyk, M.S., L.Wallace, B.Carcary, K.Jones, K.Larter, Children and read safety : increasing knowledge does not improve behavior, British Journal of Education psychology, 2001;71(4):573-594 https://doi.org/10.1348/000709901158686
  41. Unicef, Injury prevention for children,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