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tatus of Kimchi Preparation, Number of Side Dish and Breakfast Type of Housewives in the Yosu.Chonnam Area

전남 여수시 주부들의 김치 제조실태, 준비하는 부식 가짓수 및 아침식사형태에 관한 조사 연구

  • 정복미 (여수대학교 식품영양학전공) ;
  • 안창범 (여수대학교 식품영양학전공) ;
  • 승정자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전공)
  • Published : 2003.04.0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status of Kimchi preparation, number of side dish and breakfast type of some houses in Yosu, Chonnam area.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to November, 2000 using a questionnai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majority of monthly income of household was 1∼2 million won (50.1%). The highest family composition os couple and children with 75.6% and the highest number of family member was 3∼4 with 57.0%. The highest type of housing was an apartment with 67.1% while its ownership was, the highest in self-own with 69.9%. The 65.6% of respondants prepared Kimchi at home and the next was from the parent's home. The numbers of side dishes except Kimchi for each meal were 3∼4(63.2%). The major food of breakfast was boiled rice(86.7%). With decreasing age and family numbers and increasing level of education and income, the percent of boiled rice was lower whereas the percent of bread was higher.

Keywords

References

  1. 고경희 (1999). 부천지역 주부의 식문화와 전통발효식품 소비태도와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37(11), 139-156
  2. 김은실 (1995). 강원 지역 농촌 주부들의 전통 식생활 관리 현황에 관한 실태 조사 (1)-식생활에 대한 태도와 일반적 현황을 중심으로. 한국조리과학회지, 11(4), 342-351
  3. 김선재, 박근형 (1995). 식물성 김치재료추출물의 항미생물활성. 한국식품과학회지, 27(2), 216-220
  4. 김순동 (1995). 김치산업의 연구개발 현황과 전망. 생물산업, 8(2), 2002-2013
  5. 김종현, 박우포, 김정석, 박정희, 류재두, 이한기, 송영옥 (2000). 경남지역 주민의 김치 섭취 실태조사(II). 한국식문화학회지, 15(2), 147-153
  6. 문혜진, 이영미(1999). 서울 경기지역 초 . 중 . 고등학생의 김치 섭취 실태 및 태도 조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4(1), 29-43.
  7. 박인철, 홍석일, 신경섭, 최태부, 채옥화(1998). 경구투여된 김치 유산균 파쇄액이 쥐의 항암효과에 미치는 영향 효과. 한국생물공학회지, 13(4), 357-364
  8. 백영호, 곽정록, 김세종, 송영옥, 한성섭 (2001). 운동 및 김치 보충제 섭취가 비만 여중생의 신체 조성 및 혈중 지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앙과학회지, 33(5), 906-913
  9. 신경섭, 최태부, 정호권, 채옥화 (1998). 경구 투여된 김치 유산균 파쇄액이 쥐의 면역활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생물공학회지, 13(4), 424-431
  10. 신민자, 이영남, 김복남(1991). 전통음식의 현황에 관한 연구. 한국식문화학회지, 6(1), 71-82
  11. 송영옥, 김명, 김은희, 문정원(1995). 어린이의 김치 의식에 관한 실태조사 (I) - 김치섭취에 대한 의식 및 섭취실태.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4(5), 765-770
  12. 송영옥, 송영선, 권명자, 전진호(1999). 김치 섭취수준이 중년 남성의 혈중 지질농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8(5), 1144-1151
  13. 안빈, 김상연(1999). 산업체 근로자들의 식 행동과 기호도에 관한 연구.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9(3), 336-344
  14. 이경자(1991). 전북지역 주부들의 식생활관리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식문화학회지, 6(4), 403-411
  15. 이성동 외 3인 (1983). 최신 영양학. 형설출판사
  16. 이정주 (1985). 서울지역을 대상으로 한 식습관의 변화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7. 이주희 (2001). 진주지역 아파트 주부들의 식생활 관리실태 조사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6(5), 755-764
  18. 유영상 (1980). 식생활관리 실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18(1), 53-67
  19. 윤서석 (1991). 한국음식. 수학사
  20. 윤진영, 이수성, 우종규 (1985). 김치와 배추 기호성에 관한 설문조사 분석. 한국원예학회지, 26(2), 122-126
  21. 장명숙, 황재희(1984). 영동지역 주부들의 식생활관 리 및 영양지식에 관한 실태조사. 한국식문화학회지, 13(4), 389-396
  22. 장현숙 (1988). 도시 및 농촌거주 주부의 식습관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26(4), 15-30
  23. 최선혜, 김현주, 권명자, 백영호, 송영옥 (2001). 김치보충제가 건강한 성인의 혈중 지질농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0(5), 913-921
  24. 황인주, 오영주 (1997). 김치의 섭취가 성인 남성의 철분영양상태 지표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지, 30(10), 1188-11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