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남동해안 경주-울산 경계지역 지경리 일대 해안단굴 지형발달

The Geomorphological Development of Coastal Terraces at Jigyeong-Ri, the Areal Boundary between Gyeongju- and Ulsan City on the Southeast Coast of Korea

  • 황상일 (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
  • 윤순옥 (경희대학교 이과대학 지리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 박한산 (경희대학교 이과대학 지리학과)
  • 발행 : 2003.09.01

초록

한반도 남동해안의 감포와 중부 동해안 정동진에서 발견된 해안단구 고고위I면과 고고위II면을 울산-경주 경계지역 지경리 일대에서 재차 확인하였다. 특히 이곳에는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보고된 해발고도가 가장 높은 해안단구인 구정선고도 140m보다 한 단 더 높은 해발고도 155m인 고고위 지경(HH JK)면이 분포한다. 따라서 지경리지역 고고위면의 구정선고도는 해발고도 155m, 140m, l15m로 측정되었고, 형성시기는 각각 MIS 17(72∼69만년 BP), MIS 15(63∼56만년 BP)와 MIS 13(51∼48만년 BP)으로 편년되었다. 또한 고고위면의 규모가 매우 큰 것은 기반암과 고고위면 형성시 해안 지형의 특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동해안 중부와 남부에서 고고위면을 비롯한 고위면, 중위면, 저위면의 구정선고도체계가 같으므로, Pleistocene 중기 이후 동해안에는 남북간 지반융기량의 차이가 존재하지 않는다. 해안단구 고고위 지경면, 고고위 I면, 고고위 II면, 고위 I면, 고위 II면의 구정선고도와 형성시기와의 관계로부터 얻은 동해안지역 지반 융기속도는 0.23mm/y로 거의 균일하다.

The existence of coastal terraces, HH(High higher) surfaces found at Gampo of southeast coast and at Jeongdongjin of the central east coast were confirmed at Jjgyeong-Ri, the areal border between Gyeongjuand Ulsan city on the southeast coast of Korea Peninsula. Especially this study reports HH JK-surface located on the 155m a.s.l, which is the highest altitude among the ancient shorelines of the coastal terraces in Korea. The HH surfaces on the study area are classified into HH JK at 155m, HH I at 140m and HH II at 115m, and each formation stage is related to MIS 17(720∼690ka BP), MIS 15(630∼560ka BP) and MIS 13(510∼480ka BP) respectively. The HH-surfaces remain to be larger than those of H- and L-surfaces. The reason is caused by the unique factors of the coastal geology and morphology on the study area during the formation stage. And also the areal difference by the magnitude of upheaval doesn't exist from north to south because the altitude system of ancient shoreline on each coastal terrace is same along the east coast. The upheaval rate of the eastern coastal areas was measured in the relation to the ancient shoreline and formation stage among the coastal terraces such as HH JK-, HH I-, HH II, H I- and H II surface, and was almost same as 0.23mm/y.

키워드

참고문헌

  1. 한국 제4기학회지 v.12 no.1 플라이토신 층서 연구 김주용;이동영;최성길
  2. 대한지리학회지 v.36 no.4 GIS를 이용한 해안단구 지형면 분류기법 연구 박한상;윤순옥;황상일
  3. 釜山女大 論文集 v.8 韓半島 東·西海岸 中部에 分布한 海成段丘面의 對比 吳建煥
  4. 釜山女大 論文集 v.9 韓半島 海成段丘와 第四紀의 地殼變動 吳建煥
  5. 釜山大師大 敎育論集 v.10 舊汀線 高度變化로부터 본 韓半島의 第四紀의 地殼變動 吳建煥
  6. 한국지형학회지 v.6 no.2 한국 남동해안 감포 나정리-대본리의 해안단구 지형발달 윤순옥;황상일;정혜경
  7. 대한지리학회지 v.35 no.1 한국 남동해안 해안단구의 지형형성 mechanism 윤순옥;황상일
  8. 대한지리학회지 v.37 no.3 三陟 五十川 中·下流부의 河岸段丘 地形發達 윤순옥;황상일;정석교
  9. 대한지리학회지 v.38 no.2 한반도 중부 동해안 정동진, 대진 지역의 해안단구 지형발달 윤순옥;황상일;반학균
  10. 東北地理 v.30 no.3 韓國浦項周邊海岸平野の地形發達 曺華龍
  11. 東北大學 大學院 博士學位論文 韓半島東海岸における後期更新世段丘地形の發達科程と最終間氷期の海水準 崔成吉
  12. 2003년 대한지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요약집 韓半島 南東部海岸의 高位 海成段丘群 최성길;김주용;장호
  13. 韓國地形學會誌 v.3 no.2 韓國 東海岸 盈德 金谷地域 海岸段丘의 堆積物 特性과 地形發達 黃相一;尹順玉
  14.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3 no.2 경주 甘浦지역 해안단구의 지형면분석을 위한GIS의 적용 황상일;정혜경;윤순옥
  15. Doctor's dissertation of Tsukuba University Geomorphic Development of Intermontane Basines in Korea Chang, Ho
  16. Ph.D.thesis Quaternary stratigraphy of the terrace gravel sequences in the Pohang area(Korea) Kim,J.Y.
  17. Jour. Geol. Soc. Kor. v.9 no.2 A study on the terraces along the southeastern coast(Bang-eojin~ Pohang) of the Korean Peninsula Kim,S.W.
  18. Bulletin of the Department of Geography University of Tokyo v.13 Marine terraces and their tectonic deformation on the coast of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 peninsula Oh,G.H.
  19. Quaternary Reseach v.3 Oxygen Isotope and paleomagnetic stratigraphy of Equatorial Pacific Core V 28-238; Oxygen Isotope temperature and ice volumes on a $10^5$ and $10^5$ scale Shackleton,N.J.;Opdyke,N.O.
  20. Reconstructing Quaternary Environment (2nd ed.) Lowe,J.J.;Walker,M.J.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