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search on Post-modern Feminism and the Expression of the Post-Fixation of Body Pettern

포스트모던 페미니즘과 '몸' 양식의 탈고정적 표현에 관한 연구

  • 이신영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 ;
  • 김혜영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
  • Published : 2003.01.01

Abstra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modern feminism and the body. the body of women, which has been taken as 'other' by dominant arguments, has escaped from the fixed idea at post-modern times and the post-modern feminists tried to escape from the taste of the times about body image that was prevalent in the former times.'The taste of the times' here means the fixed physical form of ideal women's body by the educational custom, and it includes the educational prescription which establishes the docile body of women. This kind of educational custom aims at the perfect and permanent restriction on size, shape, desire, attitude and movement as well as on the overall demeanor and each part of the body. And the custom produces 'dependent and trained'. that is, inferiorized women's body. Hence, this paper points out that the feminity as a fixed Physical form should be overcome in order to move forward, and as one part of the effort, it attempts to analyze the designs which deformed and distorted women's body in 1990s. This research indicates that the work, which tries to deviate the fantasized and casted women's mystery, has been closely connected with the expression of 'non-separate bodies' and 'irregular body shapes' in 1990s, which aims at escaping from the fixation of women's body Image.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the target design trend of this research, which expressed the deformation and perversion of the body, provides the anti-these against the ideal body image of women and the these of feminity. which have been reproduced in various methods and patterns throughout the public and the culture on the whole by expressing the refusal and deviation of the existing women's body image through the post-fixation of the body pattern.

Keywords

References

  1. 몬느 드 보봐르 (Simone de Beauvoir) 의 저서
  2. 이정은 (1998), 페미니즘의상에 표현된 성적 이미지 인지경향과 의복행동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미경 (1999), 현대 여성 Suit의 페미니즘 표현양식에 관한 연구. 경일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은실 (1999). 페미니즘이 1990년대 패션에 미친 영향. 전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석재민 (1999). 페미니즘이 현대 의상디자인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조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손미희 (1996). 페미니즘이 현대패션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채수진 (1999). 페미니즘적 시각에서 본 현대복식의 앤드로지너스 현상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장식미술과 석사학위논문
  8. 유은정 (1997). 현대복식에 나타난 페미니즘 표현양식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Chris Weedon, 조주현 역(1997). 여성해방 실천과 후기구조주의 이론. 이화여자대 학교출판부, P. 29
  10. 김욱동 편 (1991). 포스트모더니즘과 포스트구조주의. 현암사. pp. 51-52
  11. 김홍희 (1994).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의 이론과 실제. 월간미술, 8월호, p. 165-166
  12. 김혜영 (2000). 의복에서의 탈구조적 공간과 가시성에 대한 연구 -후세인 칼라얀의 디자인을 중심으로 복식. 50(4). PP. 8-9
  13. Chris Weedon, 조주현 역(1997). 여성해방 실천과 후기구조주의 이론. 이화여자대 학교출판부, P. 68
  14. 김홍희 (1992). 한국 여성주의 미술의 방향 모색을 위한 페미니즘 연구 미술세계, 9월호, p. 30
  15. 김욱동 편. ‘언어와 욕망’, p. 185
  16. 오유민 (1999).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에 대한 비판적 고찰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3
  17. Chris Weedon, 조주현 역(1997). 여성해방 실천과 후기구조주의 이론. 이화여자대 학교출판부, p, 137
  18. 김홍희 (1994).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의 이론과 실제. 월간미술, 8월호, p. 167
  19. 오유민 (1999).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에 대한 비판적 고찰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4
  20. 케티 콘보이 외 엮음, 고경하 외 편역 (2001). 여성의 몸 어떻게 원을 것인가? -성의 상품화 그리고 저항 의 가능성, 한울, p. 19, 서론 중에서
  21. 이미영 (1996). 페미니즘 시각에서 본 미술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30
  22. 손보경 (1996) 현대복식에 나타난 페미니즘 양식연구 -죠지오 아르마니와 도나 카란 작품을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2-13
  23. 오유민 (1999).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에 대한 비판적 고찰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5-6
  24. 이미영 (1996). 페미니즘 시각에서 본 미술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30-31
  25. Paul Mattick. Jr. Beautiful and Sublime. ‘Gender Totemism’ in the costitution of art. in feminism and tradition in aesthetics. P. 29, pp. 34-36
  26. 최현숙 (1999). 패션에 표현된 전통적 페미니즘 . 포스트모던 페미니즘 여성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1
  27. 오유민 (1999).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에 대한 비판적 고찰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7
  28. 오유민 (1999).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에 대한 비판적 고찰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8
  29. Simone de Beauvoir (1953). The second sex, p. XXIX
  30. Simone de Beauvoir (1953). The second sex, p. XVlll
  31. Simone de Beauvoir (1953). The second sex, p. 179
  32. Michel Foucault (1979). Discipline and punish: The birth of the prison. New York: Penguin, pp. 135-169
  33. 케티 콘보이 외 엮음, 고경하 외 편역 (2001). 여성의 몸 어떻게 원을 것인가? -성의 상품화 그리고 저항 의 가능성, 한울, pp. 11-14. p. 197
  34. 샌드라 리 바트키, 윤효녕 옮김 (2001), '푸코, 여성성. 가부장적 권력의 근대화'. 여성의 몸, 어떻게 읽을 것인가? 한울, p. 206
  35. Michel Foucault (1979). Discipline and punish: The birth of the prison. New York: Penguin, p. 138
  36. 샌드라 리 바트키, 윤효녕 옮김 (2001), '푸코, 여성성. 가부장적 권력의 근대화'. 여성의 몸, 어떻게 읽을 것인가? 한울, pp. 209-210
  37. Judith Butler, 'Embodied Identity in De Beauvoir's The Second Sex', p. 11
  38. Judith Butler (1990). Gender Troubie : Feminism and the Subversion of Identity. New York: Routledge
  39. Judith Butler, 'Embodied Identity in De Beauvoir's The Second Sex', p. 211
  40. Judith Butler, 'Embodied Identity in De Beauvoir's The Second Sex', p. 213
  41. Judith Butler, 'Embodied Identity in De Beauvoir's The Second Sex', . pp. 221-222
  42. Simone de Beauvoir (1968). The ‘second sex. New York: Bantam Books, p. 642
  43. 샌드라 리 바트키, 윤효녕 옮김 (2001), '푸코, 여성성. 가부장적 권력의 근대화'. 여성의 몸, 어떻게 읽을 것인가? 한울, p. 223
  44. 샌드라 리 바트키, 윤효녕 옮김 (2001), '푸코, 여성성. 가부장적 권력의 근대화'. 여성의 몸, 어떻게 읽을 것인가? 한울, pp. 227-228, pp. 235-236
  45. 샌드라 리 바트키, 윤효녕 옮김 (2001), '푸코, 여성성. 가부장적 권력의 근대화'. 여성의 몸, 어떻게 읽을 것인가? 한울, p. 233
  46. 최현숙 (1999). 패션에 표현된 전통적 페미니즘 . 포스트모던 페미니즘 여성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2
  47. Michael Kelly (ed.) (1998). Encyclopedia of aesthetic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 Vol.2, p. 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