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Determination of Capacity for Pump and Detention Pond in Small Basins for Flood Control

소유역에서 홍수조절용 펌프 및 유수지 규모의 결정에 관한 연구

  • Ahn, Tae-Jin (Dept. of Civil Engrg., Hankyong National Univ.) ;
  • Park, Jong-Yoon (Disaster Prevention Standard Office,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
  • Lyu, Heui-Jeong (Dept. of Civil Engrg., Hankyong National Univ.) ;
  • Kim, Joong-Hoon (Dep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rg., Korea Univ.)
  • 안태진 (한경대학교 토목공학과) ;
  • 박종윤 (행정자치부 방재기준담당관실) ;
  • 류희정 (한경대학교 토목공학과) ;
  • 김중훈 (고려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Published : 2003.06.01

Abstract

The concept of the effective storage ratio has been suggested to determine the size of detention pond by the previous researchers. The 11 pump - pond facilities in Dongdu-chun city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critical duration for design rainfall and the storage ratio for each rainfall duration in this study It has been then found that the criteria of the maximum storage ratio is not reasonable for determining the size of detention pond because the difference of storage ratio with respect to each rainfall duration is too small. Moreover, since the size of pond compared with the pump capacity is not always big enough, the pump should be frequently operated, which may result in pump failure. Thus, the pond should be sufficiently sized to prevent the possibility of the pump failure due to frequent operation. According to the analyses for changing pump capacity, it has been found that if the function of the pond compared with the pump is concentrated, determining the size of pond based on the storage ratio is operationally feasible for even small basin. Thus, an improved procedure based on the storage ratio for determining the size of detention pond in small basin has been suggested. The results by the proposed procedure considering pump switching frequency may lead to reasonable pump operation. A simple linear programming model has been also adopted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ump capacity and pond size. It has been shown that the determination lot the size of detention pond based on conventional hydrologic flood routing in pond is feasible for only urban districts not rural areas.

내배수시설계획시 최대저류비에 의한 유수지 규모의 결정 방법은 이전 연구자에 의하여 제시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두천시 11개 소규모 내배수시설을 선정하여 분석한 결과, 배수면적이 작고 펌프기능이 강화된 내배수 시설에서는 강우지속기간별 우수지의 저류비의 차이는 미미하므로 최대저류비에 의한 조정지 규모의 결정은 무리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최대저류비에 의하여 결정된 조정지 용량을 펌프에 의하여 배제되는 시간은 펌프의 허용시동간격보다 짧은 경우도 있어 펌프의 빈번한 작동을 초래한다. 그러므로 조정지는 펌프의 빈번한 작동에 의한 펌프 고장의 가능성을 피할 수 있는 규모로 결정되어야 한다. 다양한 펌프용량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소유역에서도 조정지의 기능이 강화된 내수배제시설에서는 최대저류비를 기준으로 한 조정지 용량의 결정은 펌프운영 측면에서 타당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규모 배수구역에서 조정지용량의 결정시 펌프의 계획배수량과 유수지의 용량에 따른 펌프의 시동빈도를 반영하여 기존의 최대저류비에 의한 방법을 개선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유수지 규모와 펌프용량의 관계를 간단한 선형계획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종래의 유수지 홍수추적에 의한 유수지 용량 결정은 도시지역의 내배수시설 계획에만 타당함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경기도 (2002). 경기도 치수대책 실태조사 및 장래계획 수립, pp. 602-617
  2. 경기도 (2002). 2001 경기도 수해 백서
  3. 동두천 (2000). 동두천시 수해상습지 종합치수대책 기본 및 실시설계 보고서
  4. 서울시 (1999). 주요 수방시설 현황
  5. 안태진, 김경섭 (1996). '우수거설계를 위한 인천지방에서의 확률강우강도식의 산정.' 대한상하수도학회지, 대한상하수도학회, 제12권, 제3호, pp. 99-106
  6. 안태진, 류희정, 이재영, 조동호 (2002). '도시 소유역에서 홍수조절용 펌프 및 조정지 규모의 결정.' 2002 학술발표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293-298
  7. 윤여진, 이재철 (2001). '계획강우의 지속기간에 따른 저류용량의 산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5권, 제5호, pp. 415-426
  8. 이재준, 이정식 (1999). '우리나라 도시배수시스템 설계를 위한 확률강우강도식의 유도.'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2권, 제4호, pp. 403-415
  9. 의정부시 (1999). '98 대홍수의 진단과 재해 극복 대책 수립 최종보고서, pp. 6.25-6.26
  10. 한국과학재단 (1992). 도시홍수 재해방지를 위한 내수 처리시스템 분석 및 설계기법 개발, pp. 3.32-3.35
  11. 한국수도협회 (1998). 하수도 시설기준, pp. 3.79-3.80
  12. ASCE (1992). Design and construction of urban stormwater management systems. pp. 69-70
  13. Chen, C. N. and T. S. W. Wong (1993). 'Critical rainfall duration for maximum discharge from overland plane.' J. of Hydrauic Engrg., ASCE, Vol. 119, No. 9, pp. 1040-1045 https://doi.org/10.1061/(ASCE)0733-9429(1993)119:9(1040)
  14. FAO (1988). Design and optimization of irrigation distribution networks. pp. 133-134
  15. KSB (2001). Specifications for Etanorm pump, pp. 10-11, (www.ksbgroup.com)
  16. Karassik, I. J., W. C. Krutzsch, W. H. Fraser and J. P. Messina (1986). Pump Handbook McGraw-Hill Book Co. pp. 10.6-10.7
  17. Kessler, A. and M. H. Diskin (1991). 'The Efficiency function of detention reservoirs in urban drainage system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27, No. 3, pp. 253-258 https://doi.org/10.1029/90WR02143
  18. USDA (1986). Thchnical Release 55, Urban hydrology for Small watersheds, pp. 6.1-6.11
  19. 이종태, 윤세의, 이재준, 윤용남 (1993). '우수관거 설계를 위한 계획강우의 임계지속기간.' 한국수문학회지, 한국수문학회, 제26권, 제2호, pp. 49-56
  20. 이종태, 윤세의, 이재준, 윤용남 (1993). '유수지설계를 위한 계획강우의 임계지속기간.' 한국수문학회지, 한국수문학회, 제26권, 제1호, pp. 115-124

Cited by

  1. The Estimation of Future Pump Capacity on the Urban Drainage System using Climate Change Scenario(RCP) vol.13, pp.2, 2013, https://doi.org/10.9798/KOSHAM.2013.13.2.299
  2. A Study on Applicability of the Duration of Target Rainfall for Achievement of Regional Disaster Prevention Performance vol.14, pp.6, 2014, https://doi.org/10.9798/KOSHAM.2014.14.6.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