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rought Triggers and Monitoring System

가뭄 경보기준과 모니터링 시스템

  • Lee, Dong-Ryul (Department of Water Resources and Environmental Research,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 ;
  • Lee, Dea-Hee (Department of Water Resources and Environmental Research,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 ;
  • Kang, Shin-Uk (Department of Water Resources and Environmental Research,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
  • 이동률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환경연구부) ;
  • 이대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환경연구부) ;
  • 강신욱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환경연구부)
  • Published : 2003.06.01

Abstract

Severe drought tends to occur in almost event five years in Korea. Drought responses have been well operated in close collaboration with the central, local government and the water management authorities on the institutional framework. However, the responses are usually post-activities to a drought event. The responses often face difficulties in operating and managing process due to an absence of a drought monitoring system and drought trigger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et up drought triggers through a time-spatial interpretation of drought index and the government responses during historical drought events. Drought triggers a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advisory, watch, warning and emergency stage. The range and drought-impacted area of an each stage in triggers have been addressed using drought index. Furthermore, a web-based drought monitoring system is illustrated.

우리나라는 거의 5년마다 심한 가뭄이 발생하고 있고 과거에 발생한 많은 가뭄의 경험으로 제도적 측면에서 중앙정부, 지방정부 및 물 관리기관의 제휴에 의하여 원활한 가뭄대책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가뭄 대책은 가뭄이 심하게 진행된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원인은 체계적인 가뭄 모니터링과 가뭄단계 기준의 미비에서 찾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뭄지수의 시공간적인 해석과 과거 정부의 가뭄대책을 통하여 경보를 위한 가뭄단계 기준을 설정하였다. 가뭄단계는 준비, 주의, 경보 및 비상의 4단계로 분류하였고 각 단계에 해당되는 가뭄지수의 범위 및 가뭄면적을 제시하였다. 또한 Web 기반으로 개발된 가뭄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주, 윤용남 (2002a). '가뭄관리를 위한 수문학적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1. 마코프연쇄를 이용한 PDSI의 추계학적 거동분석.'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5권, 제5호, pp. 583-595 https://doi.org/10.3741/JKWRA.2002.35.5.583
  2. 강인주, 윤용남 (2002b). '가뭄관리를 위한 수문학적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2. 가문관리를 위한 의사결정 방법.'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5권, 제5호, pp. 597-609
  3. 김기승, 송태정 (2001). '가뭄의 경제적 손실.' LG 주간 경제 6월 20일, pp. 23-25
  4. 김상민, 박승우 (1999). '우리나라 주요 지점에 대한 가뭄지수의 산정과 비교.' 한국농공학회지, 한국농공학회, 제41권, 제5호, pp. 43-52
  5. 김선주, 이광야, 신동원 (1995). '관개용 저수지의 한발지수 산정.' 한국농공학회지, 한국농공학회, 제37권, 제6호, pp. 103-111
  6. 건설교통부 (1998). 한강수계 하천수 실태조사 및 하천유지유량 산정보고서
  7. 조홍제 (1996). '도시지역 용수관리를 위한 가뭄 예경보 지수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29권, 제1호, pp. 221-233
  8. 윤용남, 안재현, 이동률 (1997). 'Palmer의 방법을 이용한 가뭄의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0권, 제4호, pp. 317-326
  9. 이동률 (1998). 한국과 미국대륙의 가뭄에 대한 엘니뇨의 영향, 책임연구과제 보고서, 건기연 98-07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0. 이동률 (1999). '엘니뇨/남방진동과 한국의 가뭄과 관계.'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2권, 제2호, pp. 111-120
  11. 이동률 (2002). '국가가뭄관리 시스템의 구축방안.' 2002년 가뭄대책 심포지움-가뭄의 진단과 가뭄극복 종합대책, 한국방재협회, pp. 121-156
  12. 임경진, 심명필, 성기원, 이현재 (2001). '다양한 시계열을 이용한 가뭄지표 산정.'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4권, 제6호, pp. 673-685
  13. 한국수자원공사 (2002). 가뭄관리종합대수립연구보고서
  14. Brislawn, J., M. Gally and L. Boulas (2001). The Colorando Drought Mitigation and Response Plan. Colorado, USA.
  15. Hays, M. (1998). Drought indices. National Drought Mitigation Center, Lincoln, Nebraska
  16. McKee, T. B., N. J. Doesken, and J. Kleist (1995). 'Drought Monitoring with Multiple Thme Scales.' 9th Conference on Applied Climatology,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Boston
  17. Palmer, W.C. (1965). Meteological Drought U.S. Weather Bureau
  18. Plamer, R. N., S. L. Kuting and A. C. Steinemann (2002). 'Developing Drought Triggers and Drought Responses: An Application in Georgia.' Proceeding of the 2002 Conference on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EWRI, Virginia, USA, Session B3
  19. Shafer, B. A. and L. E. Dezman (1982). 'Development of Surface Water Supply Index (SWSI) to Assess the Severity iof Drought Conditions in Snowpack Runoff Areas.' Western Snow Conference, pp. 164-175
  20. Wilhite, D.A., M.V.K. Sivakumar and D.A. Wood (eds.) (2000). 'Early Warning Systems for Drought Preparedness and Management.' Proceedings of an Experts Group Meeting, World Meteorologinal Organization, Geneva, Switzerland

Cited by

  1. A Study on Semi-distributed Hydrologic Drought Assessment Modifying SWSI vol.39, pp.8, 2006, https://doi.org/10.3741/JKWRA.2006.39.8.645
  2. Development of Water Supply Capacity Index to Monitor Droughts in a Reservoir vol.39, pp.3, 2006, https://doi.org/10.3741/JKWRA.2006.39.3.199
  3. Estimating Quantified Hydrological Input Value for Hydrological Drought vol.18, pp.5, 2018, https://doi.org/10.9798/KOSHAM.2018.18.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