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ies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Forage Yields and Nutritive Values of Heading and Headless Types of Sorghum X Sudangrass Hybrids

출수 및 비출수형 Sorghum X Sudangrass 교잡종의 품종별 생육특성, 생산성 및 사료가치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2.09.01

Abstract

The growth characteristics, forage yields and nutritive values of heading and headless types of sorghum $\times$ sudangrass(Sorghum bicolar L.) hybrids were examined to evaluate the adaptability of new cultivars at Suwon and Chunahn for two years from 2000 to 2001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Eleven cultivars of heading type and 4 cultivars of headless type were used in this study. The dry matter(DM) yield of AG 2501 was highest in the heading type cultivars, and PAC F8350 in the headless type cultivars, respectively. The DM yields of heading types were slightly higher than those of headless types but ther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Early growth and regrowth characteristics of heading type was highest in AG 2501 and GW 9110G, respectively. GW 9110G and DMD were early heading types, and AG 2501 and GW 9161F were middle heading types. AG 2501 was longest and GW 9161F was shortest in plant height. Cultivars with long leaf length were appeared to be larger fur leaf width and stem diameter. Brix content was highest in DMD as 9.7%, and disease and insect resistanc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heading types. Early growth of headless type cultivar, PAC F8350 was slightly lower than that of Jumbo but stronger in regrowth, wider in leaf width and stem diameter, and stronger in lodging. Comparisons of growth characters between heading and headless types of cultivars were not easy in general but between them, brix contents of heading types ranging from 6.7 to 7.9% were greatly higher than those of headless types ranging from 3.6 to 3.9%. Nutritive values such as crude protein, ADF, NDF and digestibility of headless type cultivars were higher than those of heading types. In conclusion, of heading type cultivars, GW 9110G, AG 2501, DMD and GW 9161F, and of headless type cultivars, Jumbo and PAC F8350 were recommended as high yielding cultivars with good adaptability in domestic environment.

본 연구는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 품종들의 생육특성과 수량성 및 사료가치를 조사하여 국내 적응성이 높은 새로운 품종을 선발할 목적으로 출수형 11품종, 비출수형 4품종을 공시하여 2000년 부터 2001년까지 2년간 수원 및 천안에서 15처리 난괴법 3반복으로 시험을 수행하였다. 출수형 품종의 건물수량은 AG 2501, GW 9161F, GW 9110G, DMD 순으로 많았다. 비출수형은 지역별 순위는 PAC F8350이 수위를 차지하였으나 평균 건물수량은 Jumbo가 다소 많았다. 종합적으로는 비출수형 보다 출수형이 다소 많았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생육특성 중 출수형 품종들의 초기생육은 AG 2501이 가장 좋았고 재생력은 GW 9110G가 매우 우수하였다. 출수기는 GW 9110G, DMD는 조생 AG 2501과 GW 9161F는 중생이었다. 초장은 AC 2501이 가장 컷으며 GW 9161F는 가장 작았다. 엽장이 긴 품종은 엽폭도 넘고 줄기도 굵었다. 당도는 DMD 품종이 9.7%로 매우 높았으며 내병성, 내충성과 내도복성은 품종간 차이가 없었다. 비출수형은 Jumbo에 비하여 PAC F8350이 초기생육은 다소 떨어지나 재생력이 강하고 초장은 작지만 엽장이 길고 엽폭이 넓으며 줄기가 굵고 도복에 강하였다. 출수유형에 따른 생육특성 비교는 매우 난해하나 그중 당도만은 가장 두드러진 차이를 보여 출수형 6.7~7.9%, 비출수형 3.6~3.9%로 출수형이 매우 높았다. 사료가치는 조단백질, ADF, NDF, 소화율이 모두 비출수형이 높았다. 우수 품종으로는 출수형은 GW 91 lOG(대조), AG 2501, DMD, GW 9161F와 비출수형은 Jumbo(대조), PAC F8350 등이 건물수량이 많고 생육특성에서도 결함이 없어 우리나라의 적응성이 높아 유망한 품종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암, 김종림, 권찬호, 김원호, 김종관. 1991. 수단그라스, 수단그라스 잡종 및 수수-수단그라스 잡종의 사초 생산성. Ⅴ.수단그라스계 장려품종의 비교. 한초지. 11(4):258-263
  2. 김동암, 서 성, 이효원, 임상훈, 조무환, 이무영. 1982. 수단그라스, 수단그라스잡종 및 수수$\times$수단그라스잡종의 사초 생산성. Ⅰ. 청예용 잡종의 비교. 한축지. 24(2):192-197
  3. 농촌진흥청. 1995. 농사시험연구 조사기준
  4. 박병훈, 권순우. 1993. 예취시기가 Sorghum류 품종의 건물 및 양분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13(2):132-138
  5. 서 성, 김동암. 1983. 질소시비수준과 예취관리가 수단그라스계잡종Sorghum bicolor(L.) Moench〕의 저장탄수화물량, 재생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Ⅰ. 질소시비수준과 예취높이가 수단그라스계잡종의 예취후 신지의 발생, 건물량 및 고사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3(2):58-66
  6. 이상무, 전병태, 구재윤. 1994. 수수$\times$수단그라스 잡종의 생육특성과 생산성. 한초지. 14(1) :34-41
  7. 이석순, 최상집, 김태주. 1991. 수확기에 따른 사일리지용 수수와 청예용 수수-수단 그라스 교잡종의 사료생산성. 한초지.11(2):121-128
  8. 이종경, 김종근, 신동은, 윤세형, 김원호, 서 성, 박근제. 2000.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출수형과 불출수형 품종간 예취횟수가 수량성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11(2) :116-120
  9. 윤 창, 최기춘. 1999. 품종 및 질소시비수준이 수단그라스계 교잡종간의 생육단계별 질산염 함량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19(2):147-154
  10. 전병태, 이상무, 신동은, 문상호, 김운식. 1992. 파종량과 재식양식이 수수-수단그라스계 잡종의 생육특성, 건물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12(1):49-58
  11. 전우복, 최기춘, 김광현. 1995. 전남지역에 있어서 수수-수단그라스 잡종의 사초생산성 및 사료성분 비교. 한초지. 15(1):67-72
  12. 한흥전, 양종성, 안수봉. 1984. 수수재래종, 웅성불임 및 자식계통들의 생육특성에 관한 연구. 한초지.4(3):201-205
  13. Ademosum, A.A., B.R. Baumgardt, and J.M. Scholl. 1968. Evaluation of a sorghum-sudangrass hybrid at varying stages of maturity on the basis of intake, digestibility and chemical composition. J. Anim. Sci. 27:818-823 https://doi.org/10.2527/jas1968.273818x
  14. A.O.A.C. 1990. Offcial method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 C.
  15. Gibson, P.T. and K.F. Schertz. 1977. Growth analysis of a sorghum hybrid and it patents. Crop Sci. 17:387-391 https://doi.org/10.2135/cropsci1977.0011183X001700030011x
  16. Goering, H.L. and P.J. Van Soest. 1970. Forage fiber analysis. Agr. Handbook No. 379. USDA
  17. Quinby, J. R. 1970. Leaf and panicle size of sorghum parents and hybrids. Crop Sci. 10:251-254 https://doi.org/10.2135/cropsci1970.0011183X001000030013x
  18. Rabas, D.L., A.R. Schmid, and G.C. Marten. 1970. Influence of temperature on the feeding growth carbohydrate composition of three alfalfa cultivars. Agron. J. 62:762 https://doi.org/10.2134/agronj1970.00021962006200060023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