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of Premenstrual Changes in Patients with Affective Disorder

정서장애 환자의 월경전기변화 특성

  • Ko, Young-Hoon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Joe, Sook-Haeng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Suh, Kwang-Yun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고영훈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조숙행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서광윤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Published : 1999.06.15

Abstract

Objectives : A large of studies have found an association between premenstrual syndrome and affective disorder, in particular, depression. Some studies have reported that women with depressive disorders may experience menstrual cycle-associated changes in the severity of their symptoms.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premenstrual changes between control group and affective patient group, and to assess possible risk factors for premenstrual changes in patients. Methods : Eighty normal controls and eighty outpatients given maintenance therapy with fixed dose for at least more than four weeks were asked to complete questionnaires on menstrual history, obstetric-gynecological history, and functional impairment. In addition,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premenstrual changes, 16 items based on DSM-IV criteria A for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were rated on the following scale : 0(no change), 1(mild), 2(moderate), 3(severe). Moderate or severe change in each item was considered as premenstrual change and the subjects who reported more than one premenstrual change were defined as premenstrual change group.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percentage of premenstrual change group was 32.6% in patient group and 50% in control group. 2) Frequently reported premenstrual changes were as follows in control group : breast tenderness; anger ; affective liability ; lethargy, easy fatigability, or marked lack of energy ; abdominal pain or discomfort. In patients, the mood or behavioral changes were frequently reported. The changes were as follows : lethargy, easy fatigability, or marked lack of energy ; change in appetite; affective liability ; sense of difficulty in concentrating : hypersomnia or insomnia. 3) In the premenstrual change group, the patients with only mood or behavioral changes were significantly more than those with only physical changes or both changes. 4) The severity of functional impairmen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frequency of mood or behavioral changes in patients. 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nstrual characteristics between patients with premenstrual changes and patients without them except the severity of dysmenorrhea. And the severity of dysmenorrhea was correlated with the frequency of premenstrual change. Conclusion : The proportion of patients with affective disorder, who reported moderate-to-severe premenstrual changes, experiencing mood or behavioral changes larger than those experiencing physical changes during premenstrual period. It is possible that some patients with affective disorder, who reported premenstrual mood or behavioral changes, suffer from coexisting premenstrual syndrome with affective disorder or premenstrual exacerbation of affective disorder. Since the more premenstrual changes, the severer functional impairment, the patients reporting mood or behavioral disturbance in premenstrual period should be carefully evaluated, and appropriate therapeutic stategies might be considered.

연구목적 : 월경전기증후군에서 나타나는 증상 양상, 가족력, 높은 정서장애의 유병율은 이 질환의 정서장애와의 관련성을 시사해 주며 한편, 월경주기에 따른 정서장애 임상경과의 변화도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정신과 외래 통원 치료를 받고 있는 정서장애 환자군과 대조군을 대상으로 하여 월경전기변화의 양상과 정도를 비교하고 일상 및 직업 생활에의 영향 및 환자군에서의 월경전기변화에 대한 가능성 있는 위험 요인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본 연구는 정신과 외래 통원 치료를 받고 있는 여성 정서장애 환자 80명과 정상 대조군 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월경전기변화는 DSM-IV 월경전기불쾌기분장애의 진단기준 A를 세분화한 4점 척도의 16항목으로 구성된 자기 평가 형식의 설문지를 통해 후향적인 방법으로 평가되었다. 결과 : 1) 월경전기변화의 항목 중 한가지 이상에서 중등도 이상의 변화를 경험하는 월경전기변화군이 정서 장애 환자군은 32.6%. 대조군은 50%로 환자군에서 대상이 적었다. 2) 월경전기변화군에서 대조군은 기분 또는 행동 변화와 신체적인 변화를 호소하는 경우가 비슷한 분포로 나타났으나, 환자군은 기분 또는 행동 변화만을 호소하는 경우가 유의하게 많았다. 월경전기변화군에서 대조군은 신체적인 변화인 유방 통증의 빈도가 가장 높았던 반면 환자군에서는 기분이나 행동 변화인 피로감과 무기력의 빈도가 가장 높았다. 3) 대조군은 기분이나 행동 변화와 신체적인 변화가 많을수록 일상이나 사회 생활에 심한 장애를 경험하는 반면 환자군에서는 기분 또는 행동 변화만이 빈도가 높을수록 심한 일상이나 사회 생활의 장애를 경험하였다. 4) 환자군에서 월경전기변화군은 월경전기변화가 없는 군에 비해 월경통을 보고하는 경우가 유의하게 많았으며, 그 심각도는 월경전기변화의 빈도와 상관 관계를 나타내었다. 결론 : 정서 장애 환자군의 월경전기변화는 신체적 변화보다 기분 행동 변화가 두드러지는 특성을 보였다. 이들 환자군의 월경전기변화는 기존 질환의 월경전기악화 또는 기존 질환과 동반되는 월경전기증후군의 가능성을 제시해 준다. 또한, 환자군에서는 월경전기변화 특히 기분 또는 행동 변화의 빈도가 높을수록 심한 일상 생활의 장애를 경험하였다. 따라서, 정서장애 환자에서의 월경전기변화에 대한 정확한 평가와 이에 대한 적절한 치료 전략의 수립이 필요하리라 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