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ceived Stressor and Psychopathology during the Menstrual Cycle in High School Girls

여자 고등학생들의 월경주기에 따른 스트레스인자 지각 및 정신병리

  • 고경봉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현태영 (서울시립정신병원) ;
  • 구민성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Published : 1999.12.15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comparison in perceived stressor and psychopathology among premenstrual, menstrual and postmenstrual phases, in high school girls. Three hundred forty-one high school girls(164 academic school girls, 177 art school gir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GARS) scale and symptom checklist-90-revised(SCL-90R) were used to measure perceived stressors and psychopathology. The scores of perceived stressor relevant to change in relationships were significantly higher during the premenstrual and the postmenstrual phases than during the menstrual phase.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psychopathology among three mentstrual phases. Scores of perceived stressor relevant to change or no change in routin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academic school girls than in art school girls. The scores of obsessive-compulsion subscale and positive symptom total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academic school girls than in art school girls. In conclusion, a perceived stressor was higher during the premenstrual and the postmenstrual phases than during the menstrual phase in adolescents, but psychopathology was not related to the menstrual cycle.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sychopathology in adolescent girls might be influenced by other factors than menstrual cycle.

본 연구는 청소년 여성에서 월경전기, 월경기, 월경후기간 스트레스인자 지각 및 정신병리를 비교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여자 고등학생 341명(인문계 164명, 예능계 177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평가도구는 스트레스인자 지각 및 정신병리를 평가하기 위해 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GARS) scale과 symptom checklist-90-revised(SCL-90R)를 이용하였다. 월경기보다 월경전기 및 월경후기 중에 관계의 변화에 관련된 스트레스인자 지각점수가 각각 유의하게 더 높았다. 그러나 세 기간 중 정신병리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인문계 학생들이 예능계 학생들보다 일상생활의 변화유무에 관한 스트레스인자 지각점수는 물론 강박증 척도접수와 positive symptom total(PST) 점수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결론적으로 일부 스트레스인자지각이 월경기보다 월경전기 및 월경후기 중에 더 현저할 가능성이 높으나 정신병리는 월경주기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청소년 여성들의 정신병리가 월경주기 이외의 다른 변수들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