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nge of the Depositional Environment on Dodaecheon River Basin during the Middle Holocene

Holocene 中期에 있어서 道垈川流域의 堆積 環境 變化

  • 황상일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 윤순옥 (경희대학교 문리과대학 지리학과) ;
  • 조화용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Published : 1997.12.01

Abstract

Dodaecheon is a small river flowing into Asan Bay which is located in the middle part of the West Coast of the Korean Penninsula. We have investigated the change of depositional environment in Dodaecheon river basin during the middle Holocene. In the course of the research, the methods such as boring, radiocarbon dating, diatom and pollen analysis were employed. The Holocene deposits of the studied area are consisted of peat and gray silt layers, and contain many plooen and diatom fossils. Based on the results of diatom and pollen analysis, we conclude that the gray silt layers were sedimented owing to the transgression in the middle Holocene, and the peat layers by the regression or stabilzation of the sea level. The shoreline in the Post Glacial Age reached to the rivemouth of Dodaecheon at ca. 7,000 years before present(y. BP) and at that time the high tide sea-level(mean high water level of spring tide) rose to ca. 3m above present mean sea-level(m.a.s.l.). Since then to ca. 6,000y. BP, the high tide sea-level arrived to ca. 5m above present mean sea level further repeating minor transgressions and regressions. The peat layers of the coastal lowland of the West Coast were formed by the sea level fluctuations from 7,000 y. BP to 3,000 y. BP, and they were distributed 2 to 6 meters higher than the mean sea level of the present day. Most of them sedimented due to the high tide level are older and higher than those of the East Coast which were formed at the swale in the low tidal range environment.

道垈川은 牙山灣으로 流入되는 小河川이다. Holocene 中期에 있어서 이 流域盆地의 堆積環境變化를 살펴보기 위하여 boring조사, 硅藻${\cdot}$花粉分析, carbon dating 등을 실시했다. 道垈川 流域의 Holocene 堆積層은 土炭層과 靑灰色 실트層이 互層을 이루고 있으며, 많은 硅藻와 花粉化石을 포함하고 있다. 硅藻와 花粉의 分析 결과에 의하면 靑灰色 실트층이 퇴적될 때는 相對的으로 海進의 경향이 있었고, 土炭層이 퇴적될 때는 相對的인 海面의 安定 내지 海退의 경향이 있었다. 後氷期 海岸線은 약 7,000년 BP 경에 현 도대천 하류부에 도달하였고, 그 후 6,000년 BP 까지 몇 차례 小海進과 海退를 거듯하였다. 약 7,000년 BP 경에 해면(평균고조위)은 약 3m에 이르렀고, 미상승과 하강을 거듭하면서 6,000년 BP 경에 약 5m 까지 上昇하였다. 西海岸에서는 海岸低濕地性 土炭地는 약 7,000년 BP 경에서 3,000년 BP 경까지 주로 형성되었고, 이들의 分布高度는 대부분 현재의 平均海面보다 2~6m 높은 위치에 분포하고 있다. 西海岸 土炭地는 대개 高潮位 海面과 관련된 內灣 鹽生濕地性 土炭地이므로, 潮差가 작은 東海岸의 堤間濕地(swale)에서 형성된 土炭地에 비하여 形成時期가 앞서고 分布高度가 높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