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와 잡초에서 온도조건(溫度條件)에 따른 Bensulfuron의 흡수(吸收), 이행(移行) 및 대사(代謝)

Absorption, Translocation and Metabolism of Bensulfuron in Rice and Weeds at Different Temperatures

  • Kang, T.G. (College of Agriculture, Chungnam National Univ.) ;
  • Pyon, J.Y. (College of Agriculture, Chungnam National Univ.)
  • 투고 : 1995.11.15
  • 발행 : 1995.12.30

초록

온도조건에 따른 벼의 품종별 bensulfuron의 약해기구(藥害機構) 및 잡초에 대한 살초성(殺草性)을 구명하고자 $^{14}C$-bensulfuron을 사용하여 흡수(吸收), 이행(移行) 및 대사실험(代謝實險)을 수행하였다. 1. $^{14}C$-bensulfuron 흡수실험에서 품종간 벼의 흡수량(吸收量)은 삼강벼보다 상풍벼에서 많았으며 전반적으로 25/$20^{\circ}C$ 보다는 30/$25^{\circ}C$에서 흡수량이 많았다. 잡초의 흡수량은 올미, 너도방동사니, 피 순으로 많아 올미와 너도방동사니에서 살초력이 높은 것으로 생각되고 온도간에 $^{14}C$-bensulfuron의 흡수량은 차이가 적었다. 2. 이행율(移行率)은 벼의 경우 품종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풍벼에서 높았으며 25/$20^{\circ}C$ 보다 30/$25^{\circ}C$에서 더 높은 경향이었다. 잡초는 너도방동사니, 올미, 피 순으로 이행율이 높았으며 3초종 모두 30/$25^{\circ}C$에서 이행율이 높았다. 따라서 피에서는 이행량이 낮았기 때문에 내성을 보였고, 올미와 너도방동사니는 이행량이 높아 감수성을 나타낸 것으로 생각된다. 3. $^{14}C$-bensulfuron의 대사실험에서 식물체내에 남아있는 친화합물(親化合物)인 bensulfuron은 감수성인 상풍벼가 삼강벼보다 높았으며 잡초에서는 25/$20^{\circ}C$에서 내성을 보인 피가 가장 적었으며 올미와 너도방동사니는 높았으며 30/$25^{\circ}C$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따라서 벼 품종간의 선택성 차이는 식물체가 가지고 있는 불활성 대사능력의 차이에 의한 것이라 생각되며 잡초에서의 살초성 작용기작은 bensulfuron 흡수량과 이행율이 관계된다고 생각되며 온도의 상승은 흡수 및 이행량을 증대시킴으로써 약해(藥害)와 살초력(殺草力)을 증가시켰다고 사료된다.

Absorption, translocation, and metabolism study of $^{14}C$-bensulfuron were conducted to determine selectivity and herbicidal action of bensulfuron in two rice cultivars and three paddy weeds at different temperatures. 1. Absorption of $^{14}C$-bensulfuron was greater at 30/$25^{\circ}C$ than at 25/$20^{\circ}C$ and also in cv. Sangpung than in cv. Samgang, and Cyperus serotinus and Sagittaria pygmaea showed greater amount of absorption than Echinochloa crus-galli. 2. Translocation rate of bensulfuron was higher at 30/$25^{\circ}C$ than at 25/$20^{\circ}C$ and also in cv. Sangpung than in cv. Samgang, and C. serotinus showed highest translocation rate followed by the S. pygmaea and E. crus-galli. 3. In metabolism study, concentration of parent compound in rice plants was greater in cv. Sangpung which was susceptible to bensulfuron than in cv. Samgang. More amount of parent compound was distributed in shoots and root of C. serotinus and S. pygmaea than E. crus-galli. 4. It may suggested that sensitivity to bensulfuron between rice cultivars may be due to different inactivation metabolic ability and phytotoxicity of rice increased at high temperature since higher amount of bensulfuron was absorbed. Higher herbicidal activity of bensulfuron may caused by higher absorption and translocation in three weed species at high temperatur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