된장의 쓴맛 펩타이드 특성

Characteristics of bitter peptides from Doenjang

  • 홍혜정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이혜수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발행 : 1994.02.01

초록

본 연구에서는 재래식 된장, Asp. oryzae를 이용한 고지와 소금의 배합을 달리한 개량식 된장 세가지(A; 쌀고지 :콩 :소금:53 : 100 : 33, B: 쌀고지 .콩 :소금=100 : 100 : 40, C: 쌀고지 :콩 :소금=200 : 100 : 40)를 만들어 일반 성분의 변화와 쓴맛 펩타이드의 특성을 살펴보고 쓴맛 펩타이드가 된장의 수응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1. 4가지 된장 모두 총질소는 발효기간 중 약간씩 증가하였으며 아미노산태 질소는 크게 증가하였다. 특히 재래식 된장의 아미노산태 질소는 다른 시료에 비해 큰폭의 증가를 보였다. 환원당은 쌀고지를 첨가한 된장의 경우 함량이 월등힌 많았으며 숙성됨에 따라 모든 된장이 증가 추세를 보였다. pH는 된장이 숙성됨에 따라 점차로 저하하였으며 고지가 첨가된 된장의 경우 더욱 산성을 띠었다. 2. 숙성시킨 된장에서 쓴맛 펩타이드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소수성 펩타이드를 2 : 1(v/v) Chloroform-me-thanol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추출물을 겔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분자량별로 분리하고 다시 TLC로 정제하였다. 정제된 펩타이드는 쓴맛 검사를 하여서 쓴맛을 나타내는 펩타이드를 얻었다. 쓴맛 펩타이드의 아미노산 조성은 다음과 같다. 재래식 된장 peak 1-1. Trp-(Asp, Arg, Thr, Ser, Glu, Pro)-Phe 개량식 된장 B peak 1 Trp-(lie, Pro, Asp, Lys, Val, Glu)-Trp 개량식 된장 B peak 1 Trp-(lie, Pro, Asp, Lys, Val, Glu)-Trp 개량식 된장 C peak 1-2 Trp-(tyr, Thr, Glu, Pro, Gly)-Phe. 3. 관능검사의 결과를 Pearson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쓴맛과 전체적인 수응도와의 상관관계는 높지 않았다.

Conventional Doenjang, three kinds of Improved Doenjang(A; koji: soybean: salt=53: 100: 33, B; koji: soybean: salt=100: 100: 40, C; koji: soybean: salt= 200: 100: 40) prepared with different ratio of koji and salt were made to study the changes in the general contents, characteristics bitter peptides, correlations between bitterness and overall eating quality. 1. Total nitrogen contents increased a little, and amino nitrogen contents in all samples increase markedly. Especially, Amino nitrogen contents of conventrional Doenjang increased more than others. Reducing sugars of doenjang prepared with Asp. oryzae were higher than conventional Doenjang and increased throughout the aging period and Doenjang prepared with Asp. oryzae were more acidic. 2. To characterize bitter peptides in fermented Doenjang, peptides were extracted with 2: 1(v/v) chloroform-methanol and separated by Gel chromato-graphy with Sephadex and TLC. After Gel chromatography and TLC, each fraction examined presence of bitterness and evaluated intensity of bitterness. Amino acid composition of the fractions showing bitter tastes were as follows. Conv. peak 1-1 Trp-(Asp, Arg, Thr, Ser, Glu, Pro)-Phe Imp. A peak 1 Trp-(Glu, Val, Arg, lie)-Phe Imp. B peak 1 Trp-(lie, Pro, Asp, Lys, Val, Glu)-Trp. Imp. C peak 1-2 Trp-(Try, Thr, Glu, Pro, Gly)-Phe 3. Sensory evaluation revealed that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bitterness and overall eating guality was not high.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