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Planning Standards of Parks and Open Space Planning

택지개발사업지구의 공원녹지계획 지표연구

  • 김귀곤 (서울대학교 조경학과) ;
  • 성현찬 (서울대학교 조경학과) ;
  • 황기현 (한국토지 개발공사 기술연구소)
  • Published : 1994.04.01

Abstract

Urban parks and open spaces provide the community residents with the most easily accessible source for outdoor recreation, contributing also to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natural environment in urban area. The demands of urban residents' for more and better green area are ever-increasing. However, the level of most urban open spaces which are easily accessible for residents are not satisfactory to meet the residents' demand in availability and in quality as well. Most existing urban open spaces are simply built of green areas only or have been developed in almost identical design with little consideration for individual uniqueness of the site. When developing neighbourhood parks in urban housing complexes, for example, little consideration is being given to topographical conditions, interrelation with the adjacent green area, or viability of the urban ecosystem. In many cases, urban park development projects are being done with serious negligence of natural properties of the site, by even destroying existing healthy woodlands. for instanc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survey on the domestic and the overseas cases of regulatory systems, development status and planning methods for urban open space. -To identify underlying issues of residental park developments in urban housing projects and establish appropriate improvement measures thereof, by studing and analyzing current-use data of developed urban parks and management status thereof. -To establish improved standards for urban open space planning, by integrating above surveys and studies, and recommendation for revision of related legislation is also presented to implement these standards.

Keywords

References

  1. 제 3차 국토종합계발계획(1992-2001) 건설부
  2. 한국조경학회지 v.19 no.3 도시근린공원의 포착력에 따른 유치권 구분 연구 권상준;김유일
  3. The Use of Green Spaces and Trees to Improve the Urban Environment 김귀곤
  4. 수도권내에서의 신시가지 개발시 조성해야 할 적정 녹지면적 및 조성패턴 결정에 관한 연구 김귀곤 (등)
  5. 도시문제 도시개발과 오픈스페이스 계획 김귀곤
  6. 한국조경학회지 v.19 no.3 근린주거형태와 오픈스페이스이용형태에 관한 연구 김농오
  7. 한국조경학회지 v.18 no.3 도시공원 이용자의 동선유형 및 그 발생요인에 관한 연구 김동찬
  8. 한국조경학회지 v.18 no.2 근린주구개념과 도시공원설계 김성일
  9. 한국조경학회지 대도시 공원녹지의 역할에 관한 연구 김수봉;김용수
  10. 한국조경학회지 v.17 no.1 대구시 도시공원의 성격에 따른 이용자 만족요인 및 행태분석 김용수;김수봉
  11. 한국조경학회지 v.17 no.1 도시공원에 있어서 유지관리를 고려한 계획 및 설계방법론 개발 김용수;잣. 카펜터;이기철
  12. 우리나라 아파트단지의 설계기준 및 규제에 관한 연구 김익수
  13. 공동주택내 부대복리시설 및 녹지공간이용실태에 관한 연구 대한주택공사
  14. 한국조경학회지 v.20 no.1 주거환경에 있어서 녹지와의 접촉이 주민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문호;近藤公夫
  15. 한국조경학회지 v.18 no.4 도시공원에 대한 옥외의락기능과 만족도의 계량적 평가에 관한 연구 박승범
  16. 한국조경학회지 v.19 no.3 도시공원 이용만족도에 기초한 도시공원의 개발방향에 관한 연구 박승범
  17. 한국조경학회지 v.19 no.4 광주시 어린이공원의 분포패턴에 관한 연구 오병태
  18. 한국조경학회지 v.20 no.1 도시내 개발대상지의 생태적 경관조성에 관한 연구 이경재;조우;최송현
  19. 한국조경학회지 v.12 서울시 도시공원의 이용행태에 관한 조사연구 이규목
  20. 조경계획·설계론 임승빈
  21. 경관분석론 임승빈
  22. 구릉지 주거단지 개발 주종원
  23. 도시공원의 조성과 재원조달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4. 택지개발계획 실무지침 한국토지개발공사
  25. 토지개발사업총람 Ⅲ 한국토지개발공사
  26. 토지개발사업총람 Ⅳ 한국토지개발공사
  27. 토지개발사업총람 Ⅴ 한국토지개발공사
  28. 주택단지계획 지표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토지개발공사
  29. 단지조성에 관한 연구 한국토지개발공사
  30. 획지 및 가구의 적정규모형상에 관한 연구 한국토지개발공사
  31. 단지개발에 따른 조경 기술진단 분석 및 조경방향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토지개발공사
  32. 多産二ユ―夕ウソにおける환경보전계획 일본녹화센터
  33. Plants, People&Environmental Quality 미국조경가협회;미국국립공원국
  34. Ecology & Design in Landscape Baadshaw, A. D.;D. A. Gorde;E. Thorp
  35. The Granite Garden Spirn, A. W.
  36. Plants in the Landscape Carpenter, P. L.
  37. Design for Mountain Communities Sherry, D.
  38.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v.15 A Community Forestry Planning Process:Case Study of Citizen Participation Mcpherson, E. G.;C. W. Johnson
  39. Sitecapes Pierceall, G. M.
  40. Tiem-Saver Standards for Landscape Architecture Harris, C. W.;N. T. Dines
  41. Landscape Architecture Simonds, J. O.
  42. Landscape Architecture Simonds, J. O.
  43. Landscape Design v.6 A Green Belt As Part of s New Town Moore, N.
  44. Landscape Design v.10 A Green Strategy for London Turner, T.
  45. Landscape Urban Planning Issues is Sampling Landscape for Visual Quality Assessment Bruce Hull Ⅳ , R;R. B. Revell
  46. VNR v.5 Designing the Natural Landscape Austin, R. L.;ASSA
  47. Landscape Urban Planning v.5 Countryside Scenic Assessment: Tools and Application Schauman, S.
  48. Visual Simulation-A user's guide for architects, Engineers, and Planners Sheppard, R. J.
  49. Landscape Planning Marsh, W. M.
  50. まちと水邊に 豊かた自然を ヒソ夕―編集
  51. 都市計劃マニユァル公園綠地編 日本都市計劃學會(昭和60年)
  52. 綠のマス夕―フウソ作成の手引 日本公園綠地協會
  53. 步行者空間 建築資料硏究社
  54. 大氣淨化植樹指針 大氣環境に關する綠地機能檢村會
  55. 多摩ニユ―夕ウソ內にあける環景保全計劃 日本綠化セソ夕―
  56. 中核工業團地にあける綠地計劃調査 地域進興整備公團(昭和52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