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zoning system

검색결과 175건 처리시간 0.032초

다중 배제분석을 이용한 강원도 내 풍력발전단지 유망후보지 선정 (The Selection of Promising Wind Farm Sites in Gangwon Province using Multi Exclusion Analysis)

  • 박웅식;유능수;김진한;김관수;민덕호;이상우;백인수;김현구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5권2호
    • /
    • pp.1-10
    • /
    • 2015
  • Promising onshore wind farm sites in Gangwon province of Korea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Gangwon province was divided into twenty five simulation regions and a commercial program based on Reynolds averaged Navier-Stokes equation was used to find out wind resource maps of the regions. The national wind atlas with a period 2007-2009 developed by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was used as climatologies. The wind resource maps were combined to construct a wind resource map of Gangwon province with a horizontal spatial resolution of 100m. In addition to the wind resource, national environmental zoning map, distance from substation, residence and automobile road, Beakdudaegan mountain range, terrain slope, airport and military reservation district were considered to find out promising wind farm sites. A commercial wind farm design program was used to find out developable wind farm capacities in promising wind farm site with and without excluding environmental protection regions. The total wind farm capacities with and without excluding the protection regions were estimated to be 46MW and 598MW, respectively, when a 2MW commercial wind turbine was employed.

러시아 연해주 남서 지역 두만강 하류의 지속 가능한 개발 문제 (Issues on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Lower Tumen River, Southwest Primorskii Krai of the Russian Federation)

  • P. Ya. Baklanov;K. S. Lee;V. V. Ermoshin;S. S. Ganzei;O. H. Lee;H. S. Choe;J. S. Ahn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29-240
    • /
    • 2004
  • 본 연구는 러시아 연해주 남서지역에서 이 지역 특유의 생태적 다양성을 보호하면서 경제적 발전을 꾀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개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자연환경 조건과 천연자원 및 현재의 경제활동을 분석하였다. 경제 개발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이 지역 특유의 생물적 다양성을 보호하는 문제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특히 두만강 하류 습지대의 생물적 다양성의 보호활동에 중점을 두고 기능지역 구획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 지역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주요 방안은 다음과 같다. 경제적으로 효과적이고 생태적으로 수용 가능한 형태의 활동(양식, 사슴 농장 휴양지 등)과 효율적인 지역 구획을 규정한다. 지역의 산업이나 경제개발에 제한을 둔다. 모든 토지 이용자들과의 협력 하에서 기능지역 구획을 세우고 기존의 여러 보호 구역들을 국제 생태 네트워크에 통합되는 단일 시스템으로 재조정함으로써 합리적인 토지이용 방안을 구상한다.

복합재 주익 무인항공기의 낙뢰보호 설계와 피격영역 해석 (Protection Design and Lightning Zone Analysis for Unmanned Aerial Vehicle with Composite Wings)

  • 우희채;김용태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02-312
    • /
    • 2023
  • This paper describes the analysis of lightning strike zoning, the indirect lightning data simulation and the protection design for lightning indirect effects of equipment by lightning strike for unmanned aircraft consisting of composite wings. Through the analysis of lightning strike zoning according to the external shape of unmanned aerial vehicles, the structure areas that should be protected during lightning strike is derived, and the protection requirements of lightning indirect effects for flight critical equipments and equipment that must be operated upon lightning strike was derived. Lightning protection level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mounting equipment and surrounding structure materials for each equipment was derived, and the protection desig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with composite structures was also proposed from direct effect of lightning. Later, the lightning protection technology will be verified by the ground test of lightning direct and indirect effects.

토지이용 GIS DB를 이용한 용도지역지정과 토지이용분석 - 일본 사가시를 대상으로 - (Assignment of Zoning and Analysis of Land Use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Database - A Case Study of Saga City in Japan -)

  • 백태경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45-55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일본 사가시의 토지이용정보시스템 구축의 예를 살펴보고 도시계획분야에서의 GIS를 활용한 용도지역 지정과 토지이용분석 방법을 제안했다. 사가시의 도시계획정보시스템 데이터베이스는 1990년대 초반에 구축되어졌다. 건물데이터는 토지가옥조사도(1/1,000)를 디지타이징하여 입력하였으며, 1994년도 도시계획기초조사 데이터로부터 건물용도현황 및 용도지역 지정현황 등의 속성을 입력한 것을 사용했다. 그리고, 특화계수의 산출로 Saga시의 토지이용특성을 명확히 했으며 용도지역별로 특화범위를 비교했다. 또한, 건물용도별 및 용도지역별 관찰도수와 기대도수를 오버레이분석으로 산출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용도지역에 의해 건축물의 용도가 유도되고 있음을 알았다.

  • PDF

관리행정자료 분석을 통한 공원관리환경의 변화에 관한 연구 - 월악산 국립공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nge of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alysis of Administration Data1a - In the Case Study of Woraksan National Park-)

  • 김동필;조재우;백재봉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1-17
    • /
    • 2008
  • 본 연구는 월악산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1992년과 2004의 12년간의 차이를 비교할 수 있는 주요 관리체계 항목인 관리목표, 주요 공원관리사업, 토지이용, 관리인원 및 조직, 탐방객 현황, 예산 등을 행정자료를 통하여 분석함으로서, 국립공원 관리정책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하였다. 공원관리사업은 유지를 위한 공원시설의 단순 관리나 단속의 수준을 벗어나 탐방객의 만족도를 높이는 프로그램 개발로 발전하고 있었다. 공원내 토지이용의 변화는 거의 없으나, 중심적인 보전지구인 자연보존지구가 대폭 확대되어 진 것으로 나타났다. 관리인원 및 조직에 있어 관리업무나 이용객의 확대에 비해 조직 및 인원의 증가가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나 관리자의 업무량이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세출예산의 집행은 인력에 지출되는 비용이 68.2%로 매우 높게 나타나 인력에 의한 관리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치임상도 작업매뉴얼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Guideline in Digital Forest Type Map)

  • 박정묵;도미령;심우담;이정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68-182
    • /
    • 2019
  • 본 연구는 "임상도 현행화 제작(DB구축 작업매뉴얼)" (이하 작업매뉴얼)의 제작과정과 방법을 검토하고, 1:5k 수치임상도(이하 임상도)에 평가항목을 적용하여 제작과정과 방법에 대한 문제점 도출 및 개선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임상도에 적용되는 평가항목은 구획과 속성에 관한 사항으로 구분하였으며, 행정구역별 임분구조 특성과 파편화 분석을 통하여 작업매뉴얼의 제작과정과 방법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작업매뉴얼의 구획에 관한 사항은 '인위적변화지와 자연적변화지'의 항목에서 제작과정이 제안되어있고 전국을 5분할하여 자연적변화지는 5년 주기로 인위적 변화지는 매년 갱신하고 있기 때문에 지역 간 구축된 임상도 DB의 일관성을 알아보고자 파편화를 분석하였다. 전국의 산림 패치수(Number of Patches)는 증가하고, 평균패치크기(Mean of Patch Size)가 감소하여 파편화 정도와 형태의 복잡성이 증가하였으며, 17개 광역시 도 중 4개의 지역은 파편화 정도와 형태의 복잡성이 감소하여 지역 간의 편차가 발생하였다. 또한, '산림의 구분' 항목에서 최소구획면적은 0.1ha로 구분하고 있기 때문에 임상도에서 구획된 객체(폴리곤 단위) 면적을 산출하여 최소구회면적 기준을 검토한 결과 전체 객체 중 최소구획면적 기준 미만이 되는 객체의 비율은 약 26%나 차지하였다. 이에 따라 '인위적변화지와 자연적변화지'의 갱신 주기와 정의 확립이 필요하며, 최소구획면적 기준에 대한 구획 기준의 개선이 필요하다. 한편, 작업매뉴얼의 속성에 관한 사항은 '수종변화' 항목에서 지형지물체계를 52종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이 중 입목지는 43종으로 분류하고 있어, 임상도에서 구축된 수종정보를 추출하여 분포비율을 검토하였다. 입목지 수종 중 분포비율이 0.1% 미만인 수종은 23종으로 약 53%를 차지하고 있으며, 상위 3종은 소나무와 기타수종으로 구획되어 있다. 또한, 무립목지의 관목덤불은 지형지물체계에서 분류하고 있지만, '산림의 구분' 항목에서는 정의 및 판독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수종변화'의 지형지물체계의 재정립과 관목덤불에 대한 정의 정립이 필요하다.

Zoning Permanent Basic Farmland Based on Artificial Immune System coupling with spatial constraints

  • Hua, Wang;Mengyu, Wang;Yuxin, Zhu;Jiqiang, Niu;Xueye, Chen;Yang, Zha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5권5호
    • /
    • pp.1666-1689
    • /
    • 2021
  • The red line of Permanent Basic Farmland is the most important part in the "three-line" demarcation of China's national territorial development plan. The scientific and reasonable delineation of the red line is a major strategic measure being taken by China to improve its ability to safeguard the practical interests of farmers and guarantee national food security. The delineation of Permanent Basic Farmland zoning (DPBFZ) is essentially a multi-objective optimization problem. However, the traditional method of demarcation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synergistic development goals of conservation of cultivated land utilization, ecological conservation, or urban expansion. Therefore, this research introduces the idea of artificial immune optimization and proposes a multi-objective model of DPBFZ red line delineation based on a clone selection algorithm. This research proposes an objective functional system consisting of these three sub-objectives: optimal quality of cropland, spatially concentrated distribution, and stability of cropland. It also takes into consideration constraints such as the red line of ecological protection, topography, and space for major development projects. The mathematical formal expressions for the objectives and constraints are given in the paper, and a multi-objective optimal decision model with multiple constraints for the DPBFZ problem is constructed based on the clone selection algorithm. An antibody coding scheme was designed according to the spatial pattern of DPBFZ zoning. In addition, the antibody-antigen affinity function, the clone mechanism, and mutation strategy were constructed and improved to solve the DPBFZ problem with a spatial optimization feature. Finally, Tongxu County in Henan province was selected as the study area, and a controlled experiment was set up according to different target preferences. The results show that the model proposed in this paper is operational in the work of delineating DPBFZ. It not only avoids the adverse effects of subjective factors in the delineation process but also provides multiple scenarios DPBFZ layouts for decision makers by adjusting the weighting of the objective function.

농촌지역 교과교실제 중학교의 평면구성에 관한 사례 고찰 -한국과 일본의 중학교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Plan Composition for the Department System of Middle Schools in the Rural Area -Focused on middle schools in korea and japan-)

  • 양금석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71-78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actual condition of the plan of middle schools in the rural area. Recently, many middle schools are remodeling the buildings and facilities based on the department system. This study, through analyzing on 3 cases of middle school in korea and japan. This article discuses about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plan composition and the education programs of 3 middle schoo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Home room and home base should be more faithfully. Various common space is needed to comfortable school life of students. In case of side corridor type plane, moving path is much needed. Most of them take horizontal zoning system in the department system of middle schools. Media space is very important to enhanc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ject zone.

GIS DB를 이용한 용도지역과 토지이용분석 -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 (Analysis of Zoning and Land Use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Database - A Case Study of Busan Metropolitan City in Korea -)

  • 백태경;최정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18-12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한 도시계획분야에서의 GIS를 활용한 토지이용분석 방법을 제안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부산광역시의 도시계획정보시스템 데이터베이스는 2000년대 초반에 구축되어졌다. 건물데이터는 수치지도(1:1,000)를 이용하였으며, 건축물대장과 수치지적도로부터 건물용도 현황 및 용도지역 지정현황 등의 속성을 입력한 것을 사용했다. 그리고, 특화계수의 산출로 부산광역시의 토지이용특성을 명확히 했으며 용도지역별로 특화범위를 비교했다. 또한, 건물용도별 및 용도지역별 관찰도수와 기대도수를 오버레이분석으로 산출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용도지역에 의해 건축물의 용도가 유도되고 있음을 알았다.

  • PDF

한국 치과병원내 진료과목의 공간배분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Allocation Planning of Dental Care Departments in Dental Hospital in Korea)

  • 정태종;최재필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27-36
    • /
    • 2017
  • Purpose: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allocation planning in dentistry through examining the dental hospitals in Korea and comparison between them are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planning of the dental healthcare system. This study has been start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s such as zoning, allocation distribution, and space configuration for the planning of dental hospital architecture. Methods: Literature review of dental care departments and investigation on current status of dental hospital in Korea have been conducted. The spatial allocation and space configuration of eleven dental hospitals have been analyzed. Result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in three points. The first one is that dental hospitals in Korea are consisted with eight to eleven dental care departments and they are divided with the horizontal allocation type with three to four departments in a floor for the spatial communication or the vertical allocation type with a department in each floor for the independent space. The second one is that oral medicine and oral maxillofacial radiology are located near the main entrance, orthodontics and pedodontic dentistry in lower level, prosthodontics in upper level, and conservative dentistry and periodontics have no specific spatial consideration. The third one is that the factors to consider the allocation planning are zoning for examination & diagnosis, basic practice, adolescence, surgery, circulations for patient, dentist, staff, different access for department like as easy access for reception and pedodontic dentistry, enclosure space for prosthodontics and surgery, frequency of visit and treatment care time, and change of treatment concept from treatment department to disease control corporative practice. Implications: This study is the starting point for the research of spatial configuration in dentistry and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architectural planning to develop the dental healthcare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