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oung adult rats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31초

고농도의 산소에 노출시킨 쥐의 기관지폐포세척액내 호중구 화학주성활성화도 (Neutrophil Chemotactic Activity in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of the Rats Exposed to Hyperoxia)

  • 송정섭;이숙영;문화식;박성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4호
    • /
    • pp.547-557
    • /
    • 1996
  • 연구배경 : 호중구는 성인형 호흡곤란증후군, 폐기종 및 원발성 폐섬유화증 등 여러 폐질환에서 과도하게 폐에 침착되어 여러 가지 독설 물질을 분비하여 조직 손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말초혈액 호중구가 폐포나 간질조직으로 이동하는 기전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저자들은 급성 폐손상의 동물실험모델로 흰쥐에 고농도 산소를 추여하여 급성 폐손상을 일으킨 후 기관지폐포세척액내 호중구 및 호중구에 대한 화학주성능이 증가하였는지 그리고 이러한 변화가 고농도산소 노출 시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관찰하였으며, 또한 호중구 화학주성인자의 분자량 및 물리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방법 : 고농도산소를 투여할수 있는 기구(hyperoxic chamber)를 만들어 95%이상의 산소를 흰쥐에 24, 48, 60, 72시간 투여하였으며 각군의 쥐에서 기관지폐포세척을 실시하여 얻은 세척액내 호중구의 증가여부를 관찰하였고 호중구의 화학주성능은 정상인의 말초혈액내 호중구를 대상으로 Neuroprobe 48 well chemotactic chamber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또한 기관지 폐포세척액을 열처리하거나 cellulose membrane에 filter 시켰을 때 화학주성능의 변화여부를 관찰하였고 FPLC(Fast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로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결과 : 1) 기관지폐포세척액내 호중구는 대조군에 비해 고농도 산소 노출 48시간에서부터 증가하여 노출 시간이 길수록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2) 기관지폐포세척액의 호중구 화학주성능 (chemotactic index)도 대조군에 비해 고농도 산소 노출 48시간에부터 유의하게 증가하기 시작하여 노출 시간이 길수록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3) 흰쥐는 48시간까지는 한마리도 사망하지 않았으나 60시간에 33.3 %, 72시간에 81.3 %의 사망률로 현저히 증가하였다. 4) FPLC를 이용하여 호중구 화학주성인자를 분석하였을 때 chemotactic index는 분자량이 104,000과 12,000 dalton에서 peak를 나타냈다. 5) 48시간과 60시간 및 72시간 노출군에서 기관지폐포세척액을 $56^{\circ}C$에서 30분과 $100^{\circ}C$에서 10된 열처리 후 chemotactic index는 열처리 전보다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48시간과 60시간 노출군에서 12,000 dalton 이하의 물질을 dialysis 후 chemotactic index도 dialysid 전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서 흰쥐에 고농도의 산소를 40시간 이상 노출시키면 기관지폐포세척액에 호중구 화학주성인자가 증가되고 그에 따라 호중구가 폐에 증가하여 급성 폐손상을 일으키고, 이때 나타나는 호중구 화학주성인자는 분자량이 작은 것 뿐 아니라 큰 것까지 다양하며, 열에 대해 약한 것 뿐 아니라 강한 성분 등 여러가지가 있음을 관찰하였으며 앞으로 이들 성분에 대한 연구가 더욱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다배란 용량의 임마혈청성 고나도트로핀(PMSG)이 랫트의 자궁내 미세환경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uperovulatory doses of pregnant mare serum gonadotropin on uterine microenvironment of the rat)

  • 윤영원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745-757
    • /
    • 1994
  • 고나도트로핀제재에 의한 다배란처치는 난소 스테로이드 호르몬(estrogens, progestins 및 androgens)의 정교한 균형을 깨트림으로써 자궁에 바람직하지 못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이러한 다배란처치가 자궁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검사하기 위하여, 28일령의 189마리 미성숙래트에 4IU, 20IU 또는 40IU의 임마혈청성 고나도트로핀 (PMSG)을 투여하고, 그후 10일까지 매 24시간 간격으로 실험동물을 희생시켰다 자궁조직의 장기적 효과는 4IU 또는 40IU의 PMSG를 투여한 12마리의 래트를 30일째에 희생시켜 검사하였다. 그리고 일부 성숙래트의 자궁은 PMSG를 투여한 미성숙래트의 자궁과 비교하는데 공시되었다. PMSG투여후 2일부터 5일까지 대조군(4IU) 자궁의 형태학적, 조직학적 변화는 성숙래트의 발정주기 동안의 변화와 거의 동일하였다. 그러나 대배란처치용량(20IU 또는 40IU)의 PMSG는 투여 후 2일째에는 자궁 간질조직의 hypertrophy와 3일째에는 자궁내강 상피세포의 focal papillary hyperplasia를 형성시켰다. 20IU와 40IU의 PMSG를 투여한 후 $17{\beta}$-estradiol 혈중농도는 투여 1일 후에 대조군(4IU)보다 현저하게(P<0.005 및 P<0.05) 증가하였고, androgen농도는 투여 1일 후에 baseline으로부터 현저하게(P<0.05 및 P<0.005) 증가하여 2일과 3일 사이에 최고에 도달하였다. 20IU PMSG 투여군에 있어서, hyperplasia현상은 투여 3일 후부터 점차 퇴행되어 10일까지는 완전히 소멸되었다. 그러나 40IU PMSG투여군에서의 hyperplasia는 투여 6일 후까지 뚜렷이 진행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혈중 estrogen 농도의 상승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왜냐하면 40IU PMSG투여군에 있어서의 $17{\beta}$-estradiol 혈중농도가 투여 4일 후에 최고에 도달하였으며, 이는 4IU PMSG를 투여한 대조군과 20IU PMSG 투여군보다 현저하게(P<0.001) 높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40IU PMSG투여군에 있어서의 hyperplasia 현상은 투여 6일과 10일 사이에 약간씩 퇴행됨을 보였고, 30일까지는 완전히 소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다배란처치로 인하여 난조조직으로부터 과잉 분비되는 estrogen 및 androgen에 대한 자궁조직의 사전노출이, 위에서 언급한 비정상적 hyperplasia형성의 가능한 원인적 요소가 됨을 시사한다.

  • PDF

중완(中脘)($CV_{12}$) 수념산(手拈散)약침이 Caerulein으로 유발된 흰쥐의 췌장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jeom Powder Pharmacopuncture Injected at Jung-wan($CV_{12}$) on the Caerulein-induced Acute Pancreatitis in the Rat)

  • 김인수;전상윤;정태산;강성순;조재준;이영수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9권6호
    • /
    • pp.35-45
    • /
    • 2012
  • Objective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Effects of Sujeom powder(SJP) pharmacopuncture Injected at Jung-wan($CV_{12}$) in rats with caerulein-induced acute pancreatitis(AP). Methods : We examined changes of organ weight, histology, immunohistochemistry and gene expression of cycolooxygenase 2(COX-2) in the pancreas. Twenty adult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s follow: normal(Nor), caerulein-induced(Con), caerulein+SJP pharmacopuncture 0.2mL injected at Jung-wan($CV_{12}$)(SA), and caerulein+SJP pharmacopuncture 0.8 mL injected at Jung-wan($CV_{12}$)(SB) groups. Pancreatic tissues of rats from all groups were removed for histological observation and light microscopic examination. Interleukin-6(IL-6) levels were determined spectrophotometrically. Results : The ratio of pancreas/body weights was significantly(p<0.05) increased in the Con, the SA and the SB compared with the Nor, but was slightly decreased in the SA and in the SB groups compared with the Con. Caerulein administration has significantly(p<0.05) increased in the levels of amylase, but the SA, the SB significantly(p<0.05) decreased in the levels of these enzyme. The levels of amylase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caerulein administration, but were inhibited significantly in the SA and in the SB groups. Interleukin-6(IL-6) levels were significantly(p<005) increased in all groups compared with the Nor, especially in the SB.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levels of Tumor necrosis factor(TNF)-${\alpha}$ leve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all groups compared with the Nor. In the conclusion, the datum of IL-6 and TNF-${\alpha}$ are suggested that the inflamation was still existed actively at a point of measurement(24 hours later). The COX-2 positive materials are observed in the pancreas from the Con, but these positive materials are decreased in the SJP pharmacopuncture at Jung-wan($CV_{12}$) treatment group. Conclusion : SJP pharmacopuncture injected at Jung-wan($CV_{12}$) is potentially capable of limiting pancreatic damage during AP by restoring the fine structure of acinar cells and tissues. Therefore we can say that SJP pharmacopuncture Injected at Jung-wan($CV_{12}$) may have beneficial effects in the treatment of caerulein-induded AP. Further studies about the adequate amount of the SJP pharmacopuncture and about more effective route of administration is still required.

ELISA방법에 의한 방사선 피폭 후 흰쥐 혈액 내에서의 ceruloplasmin 정량 (Quantification of Ceruloplasmin in Wale Rats Exposed to ${\gamma}$-radiation by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 김민규;박선영;김국찬;이강석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2권2호
    • /
    • pp.103-109
    • /
    • 1997
  • 수놈 흰쥐를 1.0, 2.0, 3.0, 5.0 및 7.0 Gy 선량으로 전신 조사하였으며 조사 후 48, 72, 96시간과 216시간 경과 후 혈액을 채취하였다. 혈액 내 ceruloplasmin을 측정하여 선량반응곡선을 완성하기 위하여 항원고정 방식의 경쟁적 효소면역측정법을 사용하였다. Ceruloplasmin의 정제는 turpentine을 주사한 수놈 흰쥐의 혈액을 사용하였다. Ceruloplasmin의 흡착효율은 50 mM carbonate/bicarbonate buffer, pH 9.6보다 10 mM Tris-HCI, 150 mM sodium chloride, pH 7.4에서 더 효과적이었으며 정량을 위한 적정한 ceruleplasmin의 흡착범위는 well 당 $70{\sim}140ng$이었다. Ceruloplasmin은 피폭 후 $72{\sim}96$시간에서 최대농도를 보였으며 피폭 후 96시간에서 최대값을 지니는 선량반응관계를 보였다. Cerulplasmin은 피폭 후 216시간에서도 피폭이전의 농도로 회복되지 않았다. 0.1 Gy로 피폭된 경우에도 ceruloplasmin의 농도는 피폭 후 $72{\sim}96$시간에서 최대로 증가하였으며 단백질의 농도는 대조군과 유의성 있는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Cerulplasmin은 방사선피폭 후 변화하는 중요한 급성반응물질중의 하나로 밝혀졌으며 방사선방호를 위한 유전자 발현 및 조절에 관할 연구가 필요하다.

  • PDF

저에너지 He-Ne IR 레이저가 말초신경병증 당뇨쥐의 혈액화학 성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low power He-Ne IR laser on the changes of the chemical components in serum of the peripheral neuropathy in diabetic rats)

  • 노민희;김재영;이미애;백수정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033-1038
    • /
    • 2001
  • 본 실험은 당뇨로 인한 말초신경병증에 저에너지 레이저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것으로 흰쥐에 streptozotocin으로 당뇨를 일으켜 당뇨로 인한 말초신경병증을 유발시킨 후 He-Ne IR 레이저를 3주 동안 매일 5분간 조사하여 혈액화학 성분의 변화를 조사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ALT의 활성치는 당뇨군에 비해 레이저군에서 증가하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AST의 활성치는 대조군과 당뇨군에 비해 레이저군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LDH는 대조군에 비해 당뇨군과 레이저군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ALP는 대조군에 비해 당뇨군과 레이저군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CHOL은 당뇨군에 비해 레이저군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TRlG는 당뇨군에 비해 레이저군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CPK는 대조군과 당뇨군에 비해 레이저군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 PDF

칼슘섭취 부족 흰쥐에서 임신, 수유기 동안 칼슘보충 수준이 무기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 Supplementation on Mineral Metabolism during Pregnancy and Lactation of Calcium-Deficient Young Adult Rats)

  • 박미나;김은애;이연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958-964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가임기 동안 저칼슘을 섭취한 흰쥐에게 임신기와 수유기에 걸쳐 장기간 칼슘보충수준을 달리했을 때, 어미쥐와 새끼쥐의 골격상태와 무기질 대사가 어떻게 변화하는 가를 알아보고, 가임기 동안의 칼슘부족 상태를 어느 정도 회복시킬 수 있는지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암컷 흰쥐를 이용하여 5주간의 비임신기간 동안 저칼슘을 섭취시킨 후 다시 세 군으로 나누어 고(high 1.5%), 중(normal 0.5%), 저(low 0.15%) 수준의 칼슘을 함유한 실험식이를 임신기와 수유기의 총 6주 동안 각각 급여하였다. 전 실험기간 동안 정상 칼슘 식이를 섭취한 군을 정상대조군으로 하였다. 임신전이나 임신, 수유기 동안 체중 및 식이섭취량은 식이 칼슘 수준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비임신기간 동안 저칼슘을 섭취한 모든 실험군에서 정상칼슘을 섭취한 군에 비해 어미쥐의 혈청 총 단백질 농도가 감소되었다. 그리고 비임신기간 동안 저칼슘 섭취에 의해 저하된 어미쥐의 골격상태는 임신, 수유기간 동안 정상수준 이상의 칼슘을 보충했을 때 정상수준에 가깝게 회복되었다. 그러나, 임신, 수유기간 동안 고수준의 칼슘보충은 어미쥐의 혈청에서 인, 마그네슘 및 철의 함량을, 대퇴골과 요추에서는 마그네슘의 함량을 유의적으로 저하시켰다. 반면, 신장에서는 칼슘, 인 및 마그네슘 함량을 높여서 무기질을 축적시켰다. 임신, 수유기 동안 어미쥐의 칼슘섭취 수준이 새끼쥐에 미친 영향을 보면, 어미쥐의 지속적인 저칼슘 식이 섭취가 새끼쥐의 대퇴골 회분량 및 칼슘, 인과 마그네슘 함량을 유의적으로 낮추었고, 고수준의 칼슘을 보충한 경우에는 새끼쥐의 혈청 마그네슘 농도와 아연 농도를 유의적으로 낮추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비임신기에 칼슘 섭취 부족은 모체의 골격 중량, 강도 및 회분함량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이러한 칼슘 섭취부족상태가 임신, 수유기까지 이어진다면 그 영향이 모체뿐만 아니라 그 자손에게까지 미칠 수 있음이 밝혀졌다. 한편 임신 전에 불충분한 칼슘을 섭취했다고 할 지라도 임신, 수유기간 동안 적절하게 칼슘을 보충하면 모체의 골격상태 및 무기질 함량은 회복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고칼슘의 보충은 혈청 단백질 농도뿐만 아니라 다른 무기질의 농도를 저하시켜 체내 무기질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임신, 수유기 동안 칼슘보충제의 적절한 섭취가 요구된다.

Differential Distribution of Ganglioside GM3 in Seminiferous Tubule and Epididymis of Adult Rats

  • Jung, Kyu-Yong;Kim, Bo-Hyun;Cho, Mi-Ran;Kim, Hyoung-Min;Lee, Young-Choon;Kim, Cheorl-Ho;Kim, Jin-Kyeoung;Kim, Byung-Jin;Choo, Young-Kug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4권4호
    • /
    • pp.360-366
    • /
    • 2001
  • Gangliosides are ubiquitous membrane components in mammalian cells and are suggested to play important roles in various functions such as cell-cell interaction, adhesion, cell differentiation, growth control and signaling. Among all ganglio-series gangliosides, GM3 has the simplest carbohydrate structure, and has been shown as a major gangliosides, in male reproductive system. To study GM3 distribution in the seminiferous tubule and epididymis, frozen sections were stained with specific monoclonal antibody (MAb) against ganglioside GM3. In the seminiferous tubule of testis, pachytene spermatocytes and spermmatids expressed ganglioside GM3, but not in spermatogonia and sertoli cells. Spermatogonia and sertoli cells near the basement membrane were negatively reacted to anti-GM3. In the epididymis, GM3 was expressed only in some interstitial cells. Taken togethe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xpression of ganglioside GM3 in rat seminiferous tubule and epididymis is spatio-temporally regu lated during spermatogenesis.

  • PDF

Effects of adenosine receptor agonist on the rocuronium-induced neuromuscular block and sugammadex-induced recovery

  • Kim, Yong Beom;Lee, Sangseok;Choi, Hey Ran;In, Junyong;Chang, Young Jin;Kim, Ha Jung;Ro, Young Jin;Yang, Hong-Seuk
    •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 /
    • 제71권6호
    • /
    • pp.476-482
    • /
    • 2018
  • Background: Several types of receptors are found at neuromuscular presynaptic membranes. Presynaptic inhibitory $A_1$ and facilitatory $A_{2A}$ receptors mediate different modulatory functions on acetylcholine release.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adenosine $A_1$ receptor agonist contributes to the first twitch tension (T1) of train-of-four (TOF) stimulation depression and TOF fade during rocuronium-induced neuromuscular blockade, and sugammadex-induced recovery. Methods: Phrenic nerve-diaphragm tissues were obtained from 30 adult Sprague-Dawley rats. Each tissue specimen was randomly allocated to either control group or 2-chloroadenosine (CADO, $10{\mu}M$) group. One hour of reaction time was allowed before initiating main experimental data collection. Loading and boost doses of rocuronium were sequentially administered until > 95% depression of the T1 was achieved. After confirming that there was no T1 twitch tension response, 15 min of resting time was allowed, after which sugammadex was administered. Recovery profiles (T1, TOF ratio [TOFR], and recovery index) were collected for 1 h and compared between groups.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 amount of rocuronium (actually used during experiment), TOFR changes during concentration-response of rocuronium (P = 0.04), and recovery profiles (P < 0.01) of CADO group comparing with the control group. However, at the initial phase of this experiment, dose-response of rocuronium in each group demonstrat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 = 0.12). Conclusions: The adenosine $A_1$ receptor agonist (CADO) influenced the TOFR and the recovery profile. After activating adenosine receptor, sugammadex-induced recovery from rocuronium-induced neuromuscular block was delayed.

백서에서 Gabapentin 전신투여가 Facial Formalin Test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Gabapentin on Facial Formalin Test)

  • 김철홍;백승완;김해규;권재영;김경훈;최성환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92-97
    • /
    • 2003
  • Background: Gabapentin is a novel anti-epileptic drug, which is used in clinical practice to treat epilepsy. This drug is also used as an analgesic in pain patients. The antinociceptive effect of this drug was assessed using the formalin test in the rat. Method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abapentin on the trigeminal nerve territory, we injected 0.5% formalin into the upper lip. Adult, male, Sprague-Dawley rats received a $50{\mu}l$ subcutaneous injection of 5% formalin into one vibrissal pad and the consequent, facial grooming behavior was monitored. Consistent with previous investigations using tile formalin model, animals exhibited biphasic nocifensive grooming (phase 1, 0-12 min; phase 2, 12-60 min). Results: The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gabapentin 5 minutes prior to the formalin injection led to a significant, dose-dependent reduction in grooming time during phase 2. In high doses, gabapentin also reduced the time of grooming during phase 1. Conclusions: The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gabapentin has an analgesic effect in the facial formalin rat model and this analgesic effect increases dose-dependently.

  • PDF

Neuroprotective Effect of the n-Hexane Extracts of Laurus nobilis L. in Models of Parkinson's Disease

  • Ham, Ah-Rom;Shin, Jong-Heon;Oh, Ki-Bong;Lee, Sung-Jin;Nam, Kung-Woo;Koo, Uk;Kim, Kyeong-Ho;Mar, Woong-Chon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9권1호
    • /
    • pp.118-125
    • /
    • 2011
  • Free radical scavenging and antioxidants have attracted attention as a way to prevent the progression of Parkinson's disease (PD).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hexane fraction from Laurus nobilis L. (Lauraceae) leaves (HFL) on dopamine (DA)-induced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tion and apoptosis in human neuroblastoma SH-SY5Y cells. Compared with apomorphine (APO, $IC_{50}=18.1\;{\mu}M$) as a positive control, the HFL $IC_{50}$ value for DA-induced apoptosis was $3.0\;{\mu}g/ml$, and two major compounds from HFL, costunolide and dehydrocostus lactone, were $7.3\;{\mu}M$ and $3.6\;{\mu}M$, respectively. HFL and these major compounds significantly inhibited ROS generation in DA-induced SH-SY5Y cells. A rodent 6-hydroxydopamine (6-OHDA) model of PD was employed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neuroprotective effects of HFL in vivo. 6-OHDA was injected into the substantia nigra of young adult rats and an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quantitate the tyrosine hydroxylase (TH)-positive neurons. HFL significantly inhibited 6-OHDA-induced TH-positive cell loss in the substantia nigra and also reduced DA induced $\alpha$-synuclein (SYN) formation in SH-SY5Y cell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HFL may have neuroprotective effects against DA-induced in vitro and in vivo models of P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