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ield of 2+3 seed per pod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3초

파종밀도가 풋콩 품종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lanting Density on Growth and Yield of Vegetable Soybean Varieties)

  • 이승수;김창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64-69
    • /
    • 2008
  • 콩의 용도는 메주나 장류 또는 두부로 이용하는 장류콩, 나물로 이용하는 나물콩, 혼반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밥밑용으로 이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콩을 채소처럼 먹을 수 있는 풋콩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시험은 풋콩재배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검정용 및 갈색콩 품종들의 풋콩재배시 가지풋콩의 상품성을 향상시키면서 풋콩수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적정재식거리 구명을 위한 실험으로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재식거리는 파종으로부터 개화까지의 소요일수, 수확까지의 소요일수 및 도복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2. 경장은 밀식할수록 증가한 반면 협수, 분지수, 개체당 협수, 분지당 협수, 경협중 및 2+3립협의 비율은 밀식할수록 감소하였다. 3. 풋콩의 크기는 재식밀도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풋콩의 수확지수는 밀식할수록 낮았다. 4. 밀식을 하면 풋콩의 수량은 증대하지만 경협중, 분지 당 협수 및 2+3립협의 풋콩수량을 고려한 가지풋콩으로의 상품성을 고려할 때 적정재식밀도는 선흑콩과 일품검정콩은 $60{\times}25\;cm$, 갈미콩은 $60{\times}35\;cm$이었다.

콩에서 수량구성요인과 관련된 양적형질유전자좌의 분석 (Analysis of Quantitative Trait Loci for Yield Component Traits in Soybean Using Recombinant Inbred Lines)

  • 김현경;오기원;최인수;강점순;최영환;이용재;박영훈;손병구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599-605
    • /
    • 2007
  • 콩에서 종자의 수와 협의 수가 주된 수량구성요소이다. 그리고 육종의 주된 목표는 수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요인들을 선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큰올콩과 신팔달콩의 $F_{10}$세대의 RIL계통을 이용하여 주당협수와 주당립수 및 협당립수를 조절하는 양적형질유전자좌(QTL)를 확인하는 것이다. 주당협수와 연관된 QTL은 개별 마커들과의 분산분석 결과, 연관군 F와 L에서 2개의 QTL을 탐색하였으며, 주당립수도 연관군 F와 L에서 2개의 QTL을 탐색하였다. 협당립수는 연관군 D1a와 D1b 및 F에서 3개의 QTL을 탐색하였다. 따라서 주당협수와 주당립수와 관련된 QTL 연관군 F와 L에서 공통으로 탐색되었는데, 이는 품종 육성과정에서 이들 형질과 관련한 선발 마커로서 활용 가치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Effects of Planting Densities and Maturing Types on Growth and Yield of Soybean in Paddy Field

  • Cho, Jin-Woong;Lee, Jung-Joon;Oh, Young-Jin;Lee, Jae-Dong;Lee, Sang-Bok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05-109
    • /
    • 2004
  • Field studies were conducted in the southeastern Korea ($36^{\circ}$N) on a commerce silt loam soil at paddy field. Seed were manually planted on 16 July 2003. Plants were planted with plant densities of 70${\times}$10 cm (row width x plant spacing), 50 x 10 cm, and 30 ${\times}$10 cm. Two seedlings per hill were taken prior to V3 stage. Fertilizer was applied prior to plant at a rate of 30-30-34 kg (N-$\textrm{P}_2\textrm{O}_5$-$\textrm{K}_2\textrm{O}$) per ha. Experimental design was a randomized complete block in a split plot arrangement with three replications. Yield from different planting densities responded similarly in three soybean cultivars and increased when planting density increased. Somyeongkong showed the highest increasing rate of yield about 26% by 338 g $\textrm{m}^{-2}$ at 30 x l0 cm compared to yield of conventional planting density (70 x 10 cm). Also, the planting density significantly affected pod and seed number and seed weight, but not seed per pod. The tallest plant appeared at 30${\times}$10 cm. The change of leaf area according to days after emergence showed differently in soybean cultivars. The highest and lowest total dry matter production per square meter appeared at 30 x 10 cm and at 70 x 10 cm, respectively. Crop growth rate (CGR) showed greater at R3∼R4 stages compared with V7∼R2 or R2∼R3 growth stages and showed the greatest at 30 x 10 cm in three soybean cultivars. As late planted soybean,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seed yield and CGR, and leaf area index (LAI) according to planting densities at before and after the flowering stage. Relationship between seed yield and CGR in three planting densities showed a high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 ($\textrm{R}^2$=0.757) at R3 to R4 stages, and significant relations ($\textrm{R}^2$=0.505, 0.617) at V7 to R2 and V2 to V3. Also, there was a highly significant positive difference between seed yield and LAI during R3 to R4 and R2 to R3 stages.

콩 유전자형간 상호접목이 지상부 생육과 협실비율에 미치는 영향 (Root vs. Shoot Genotype Effects on Growth Characters and Seed to Pod-Shell Ratio in Grafted Soybean Plants)

  • Lee, Suk-Ha;Seung, Yeul-Gue;Kim, Yong-Ho;Hong, Eun-Hi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458-464
    • /
    • 1994
  • 콩 유전자형간 상호접목을 통하여 지상부 생육과 콩깍지에 대한 종실건물중 비율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검토하고자, 꼬투리의 비대가 충실한 백운콩과 수원 158호, 꼬투리 크기에 비하여 종실건물축적이 불량한 수집검정콩 강릉재래 및 금릉재래를 공시하여, 자가접목 및 4개 유전자형간 상호접목을 한 후 이식재배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지상부의 생육정도와 콩깍지 및 종실건물중은 지상부 유전자형간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었으나, 지하부 유전자형간 차이가 없었다. 2. 백립중 및 꼬투리에 대한 종실건물중 비율도 지상부 유전자형에 의하여 결정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양분흡수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지하부 유전자형과는 관계가 적었다. 3. 접목된 개체들의 콩깍지 건물중과 콩깍지에 대한 종실건물 비율은 유의적인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어, 콩깍지 건물중이 클수록 콩깍지에 대한 종실건물 비율이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 PDF

Agronomic Performance of G. max x G. soja Hybrid Progenies for Crop Improvement in Soybean

  • Kim, Yong-Ho
    • Plant Resources
    • /
    • 제5권1호
    • /
    • pp.1-6
    • /
    • 2002
  • Genetic improvement of the cultivated soybean [Glycine max (L.) Merr] may be possible through hybridization with its wild progenitor, G. soja Sieb. & Zucc. Interspecific cross between G. max (Hwangkeumkong) and G. soja (IT.182932) was made in the summer of 1997. In F$_2$ the percentage of plant height, nodes per plant, and pods per plant were high but gradually reduced from F$_2$ to F$_4$. In contrast pod length, seeds per pod, and 100-seeds weight were increased gradually through generations advanced. Wild variation as evident in F$_2$ in plant height, number of branches, pods per plant, and 100-seeds weight. Twenty six percent of the F$_2$, 44 % of the F$_3$ and 60% of the F$_4$ segregants showed more G. max traits. The combination of useful traits from both species is possible through interspecific hybridization. The characters that could be transferred from wild species to cultivated species are more pod number, better capacity, and resistance to disease and insects. The interspecific derivatives offer scope for selection for high grain yield. Therefore, introducing genes from G. soja to G. max could be contribute to greater genetic diversity of future cultivars. And semicultivated soybean had some desired characteristics including tolerance to adverse environments and multi-seed characters. It means the infusing of semicultivated germplasm to the cultivated soybean could increase number of seeds and pods per plant significantly, and consequently could enhance selecting potential on yield.

  • PDF

비닐피복과 파종기 이동에 따른 결명의 생육 및 수량 (Growth and Yield as Affected by Vinyl Mulching and Sowing Time in Cassia tora L.)

  • 권병선;박희진;임준택;신동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15-319
    • /
    • 1990
  • 결명을 비닐피복과 무피복 재배하에서 파종기 이동에 따른 생육 및 수량의 특성을 검토하여 남부지방의 결명재배 체계확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시험했던 바 그 결과를 다음과 같다. 1. 출현일수와 성숙기는 무피복구보다 비닐피복구에서 빨랐고 특히 성숙기는 비닐피복구가 무피복구에 비해 약 30일 정도 빨랐으며 특히 4월 10일 파종기에서 가장 빨랐다. 2. 경장, 경직경, 분지수, 1주협수, 협장, 1협립수 등의 모든 형질이 비닐피복구에서 우수하였으며 이들 생육특성 중에서 경직경과 분지수는 파종기가 늦으면 작거나 적어지는 경향이었으나 경장, 1주협수, 협장, 1협립수 등의 형질은 4월 10일을 기점으로 이보다 빠르거나 늦으면 작거나 적어지는 경향이었다. 3. 천립중과 종실수량 역시 비닐피복구에서 높았으며 4월 10일 파종구를 기점으로 이보다 파종기가 빠르거나 늦으면 적어지는 경향이었다. 4. 비닐피복과 무피복 재배하에서 파종기에 따른 유용형질들의 분산분석에서 높은 유의성의 변이를 보였고 이들의 상호작용에서도 모든 형질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 PDF

협채용 강낭콩 신품종 "황협2호" (A New Pod Edible Kidney Bean Variety "Hwanghyeob 2" with Yellow Pod Color)

  • 신두철;강성택;한원영;백인열;정명근;박금룡;하태정;황영현;고종민;서득용;김호영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70-473
    • /
    • 2008
  • 황협2호는 2000년에 강낭콩 도입유전자원인 KLG50073와 KLG50072를 인공교배하여 얻어진 YK5을 온실과 포장에서 세대단축을 하면서 선발된 계통으로, '05년 3월과 8월에 온실에서 재배하여 생육특성과 협채수량을 검정하였고 수량성이 우수하여 협채용 강낭콩 신품종 "황협3호"로 선정되었다. 1. 신육형은 유한형이며 화색은 백색이고 배축은 녹색이다. 채협기의 협색은 황색이고, 성숙시 협색은 담황색이다. 협모양은 C자형으로 약간 굽었고, 종피는 백색이다. 2. 개화일수는 43일, 성숙일수는 49일 이었고, 경장은 41 cm, 주경절수 8.7개, 분지수 4.4개, 협수는 27개이었으며, 100립중은 20.4 g이었다. 협채수확기의 협모양은 둥글며, 길이는 비슷하고 다소 가는 편이다. 3. 단백질과 지방은 각각 19.0%, 0.5%였으며, 당함량 중 Sucrose와 Glucose는 각각 3.2%, 18.6%였고, Vitamin C의 함량은 건조시료 100 g중 157.8 mg이었다. 특히 후기까지 개화 및 착협이 양호한 지속 수확형이며 다수성 계통이었다. 4. '04춘계 '05춘계 및 추계에 온실에서 3회 재배한 협채 수량 평균은 22.43톤/ha로 강낭콩 1호보다 11% 증수되었다. 5. 황협2호는 시설재배로 전국에서 재배될 수 있으며 결주 방지를 위한 육묘이식 재배와 생육기간 내내 충분한 토양수분 유지가 필요하다.

대화형대두 부채콩의 생육 및 형태적 특성 (Growth Habit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Fasciated Soybean, var. Buchai-kong (Glycine max L. Merrill))

  • 윤성중;황종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67-172
    • /
    • 1986
  • 우리나라의 재래종 대화형 대두인 부채콩의 생육 및 형태적 특성을 정상형 대두인 단엽콩과 비교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았다. 1. 대화형 대두인 부채콩의 주경은 생육이 진행됨에 따라 대화가 심해졌고 정상형인 단엽콩에 비해 출엽이 불규칙하였으며 주경엽수는 단엽콩보다 훨씬 증가하였으나 총엽수는 크게 다르지 않았다. 2. 부채중의 주경대화정도는 약 3.1정도였으며 대화정도는 정상형인 단엽콩의 주경과 분핵의 생육량과 유관하였다. 3. 부채콩의 분지수는 단엽콩보다 적었으나 분지가 대화하는 경우도 있었으며 엽병의 대화도 관찰되었다. 4. 부채콩은 협의 대부분이 주경 선단부에 집중 분포하였다. 5. 부채콩의 수량은 단엽콩의 60%정도였으며 수량감소의 주원인은 종실중과 협당입수의 감소였다. 6. 주경 횡단면의 유관속수는 부채콩이 많았으나 각 유관속은 단엽콩이 발달하였다.

  • PDF

나물용 콩 품종의 파종기에 따른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 변이 (Changes of Yield Components and Yield by Sowing Date in Sprout-soybean Cultivar)

  • 김학신;김홍식;김경호;오영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7호
    • /
    • pp.584-592
    • /
    • 2006
  • 본 연구는 나물용 콩의 파종기가 콩나물 원료콩의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함으로써 양질 콩나물 품종육성과 콩나물 원료콩의 안정적 생산 공급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2000{\sim}2001$년에 호남농업연구소 전작시험 포장에서 파종시기 시험을 수행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개체당 협수, 공협수, 입수 및 100립중은 파종기 및 품종간에 차이가 있었으며,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하였다. 협당 입수별 협수의 분포비율은 $2{\sim}3$립 협이 $80.9{\sim}77.5%$이었으며 파종기에 따라 2립 협의 변이가 컸다. 2. 수량은 2년간 시험품종 평균 5월 25일 파종은 290 kg/10a, 6월 15일 파종은 269 kg/10a 및 7월 5일 파종은 221 kg/10a으로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였고, 풍산나물콩이 수량이 가장 높았으며 파종기에 따른 수량 감소 정도가 적었고 그 외 품종들은 파종기에 따른 수량의 감소 정도가 컸다. 3. 수량은 개화일수, 성숙일수, 생육일수, 분지수, 줄기굵기, 개체당 협수, 개체당 입수 및 개체당 엽면적과 정의 상관이었으며 개체당 협수는 개체당 입수, 개체당 엽면적 및 건물중과, 개체당 입수는 개체당 엽면적 및 건물중과 정의 상관이었다.

휴간거리가 녹두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ow Spacing on Growth and Yield of Mungbean)

  • 현승원;고무수;송창훈;강영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35-338
    • /
    • 1992
  • 제주지방에 있어서 녹두의 적정휴간거리 밝히고자 1988년부터 1990년에 주간거리와 주당 본수를 각각 10cm, 2본으로 하고 휴간거리를 20(50주 / m$^2$), 30(33.3주 / m$^2$), 40(25주 / m$^2$), 50(20주 / m$^2$), 60(16.7주 / m$^2$)cm로 달리함에 따른 선화녹두의 생육 및 수량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개화시와 성숙시는 휴간거리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경장, 본당 협수, 협당 립수, 1000립중 등은 휴간거리가 좁아짐에 따라서 직선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종실수량은 휴간거리가 60cm에서 40cm로 좁아짐에 따라서 2차곡선적으로 증가되었으나 휴간거리가 더 좁아질 경우 수량도 감소되었다. 제주지방 선화녹두의 적정휴간거리는 40cm로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