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linolenic acid

검색결과 846건 처리시간 0.031초

담수어의 지질에 관한 연구 7. 천연 및 양식 뱀장어와 붕장어의 지질성분 비교 (Studies on Lipids in Fresh-Water Fishes 7. Comparison of Lipid Components among Wild and Cultured Eel (Anguilla japonica), and Conger Eel (Astroconger myriaster))

  • 최진호;임채환;배태진;변대석;윤태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439-446
    • /
    • 1985
  • 양식 뱀장어의 품질을 지질성분면에서 평가하기위하여 천연 및 양식 뱀장어의 지질 조성 및 이들 지질의 구성지방산을 분석${\cdot}$비교하였고, 붕장어의 지질성분과도 비교하였다. 또 양식 뱀장어의 지방산과 사료 지방산을 분석${\cdot}$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총지질 함량은 양식 뱀장어가 천연 뱀장어 보다는 약간 높은 반면 붕장어 보다 약 2배 정도 높았다. 부위별 지질 함량은 뱀장어는 가식부($27.16{\sim}29.70\%$)가 내장부($5.10{\wim}5.86\%$)보다 훨씬 높았으나 붕장어는 거의 비슷하였다. 2. 천연 및 양식 뱀장어와 붕장어의 지질 조성은 거의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었다. 즉 중성지질이 가장 많고, 인지질, 당지질의 순이었다. 또 부위별 지질 조성은 중성지질은 가식부가 내장부보다. 많은 반면 인지질과 당지질은 내장부가 가식부보다 많았다. 또 중성지질은 TG의 함량이 가장 많았으며 인지질은 PC와 PE가 가장 많았다. 3. 식용으로 이용되는 가식부의 중성지질은 $C_{14:0},\;C_{16:0},\;C_{18:1}$산은 양식 뱀장어가 천연 뱀장어보다 높은 반면 $C_{16:1},\;C_{18:2},\;C_{18:3},\;C_{20:4},\;C_{20:5},\;C_{22:5},\;C_{22:6}$ 산은 천연산이 양식산보다 높았다. 붕장어의 경우는 $C_{18:0},\;C_{20:4},\;C_{22:6}$산이 천연 및 양식 뱀장어에 비해 훨씬 높은 것이 특징적이었다. 또 인지질의 경우는 $C_{18:0},\;C_{18:2}$산이 양식 뱀장어가 천연 뱀장어보다 높은 반면 $C_{16:0},\;C_{16:1},\;C_{18:1},\;C_{18:3},\;C_{20:4},\;C_{20:5},\;C_{22:5},\;C_{22:6}$산은 천연산이 양식산보다 높았다. 4. 중성지질의 불포화도(TUFA/TSFA)는 천연 및 양식 뱀장어와 붕장어 사이에는 차이가 거의 없었지만, 인지질의 경우는 천연 뱀장어가 양식 뱀장어 및붕장어 보다 높았다. 가식부의 필수지방산 함량은 중성지질은 천연산이 양식산보다 3배이상 높았으며, 또 붕장어는 뱀장어보다 훨씬 높았다. 그러나 인지질의 경우에는 필수지방산 함량에 큰 차이가 없었다. 5. 가식부의 W3 고도불포화지방산 함량은 중성지질은 천연 뱀장어가 양식 뱀장어 및 붕장어보다 $2.0{\sim}2.5$배 정도 높았으며 인지질의 경우도 천연 뱀장어가 양식뱀장어 및 붕장어보다 훨씬 높았다. 6. 사료 지방산(B)에 대한 양식 뱀장어의 지방산 (A)의 비(A/B)를 비교하여 보면 linoleic acid ($C_{18:2}\;w6$), linolenic acid ($C_{18:3}\;w3$) 등의 필수지방산과 eicosapentaenoic acid ($C_{20:5}\;w3$), docosahexaenoic acid ($C_{22:6}\;w3$)등의 w3 고도불포화지방산의 A/B비가 $0.23{\sim}0.48$로 아주 낮아, 이들 불포화지방산의 polyene 산의 생합성 및 체성장에 크게 관계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십자화과 작물의 종속간 교배를 통한 화색변화 경관용 자원식물 개발 (Development of Flower Color Changed Landscape Plant through Interspecific and Intergeneric Crosses of Several Cruciferae Crops)

  • 김광수;박원;이영화;이지은;문윤호;차영록;송연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7-85
    • /
    • 2018
  • 우리나라에서 유채는 식용유 생산과 경관을 목적으로 매년 재배면적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유채 꽃의 색상은 노란색으로 매우 단순하기 때문에 경관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유채 꽃색의 다양화가 필요하다. 유채 꽃색을 다양화하기 위해 유채와 십자화과 식물을 대상으로 종 속간교배를 실시한 결과, 유채와 양배추 종간 인공교배에서 꼬투리 형성율이 65.8%로 비교적 높았으며, 유채와 무, 유채와 소래풀 등 속간 교배조합에서의 꼬투리 형성율은 각각 39.5%와 42.3%로 낮았다. 인공수분 후 꼬투리가 발달하는 시기에 이종간 교잡 불화합성 때문에 종자 결실율이 매우 낮으며 꼬투리 당 생산된 평균 종자수는 유채와 양배추 교배조합에서 0.12개였으며, 유채와 무는 0.40개, 유채와 소래풀은 0.12개였다. 종속간 교배에 의해 생산된 $F_1$ 잡종식물체의 외부 표현형질은 잎의 형태와 꽃의 색은 모계인 유채와 유사하였으나, 잎의 길이와 폭 등이 전반적으로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유채와 양배추의 종간교배에서 꽃의 색이 양친의 중간인 미색으로 피는 개체가 나타났고, 유채와 소래풀의 속간 교배에서는 꽃의 크기가 커진 개체가 생겨 이 개체들을 육종재료로 이용하면 경관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대부분의 $F_1$ 잡종종자의 올레인산, 리놀레산 및 리놀렌산 등의 지방산 조성은 양친의 중간 정도였으나, 유채와 무의 $F_1$ 잡종종자의 지방산 중 에루진산은 화분친인 무에 비교하여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지방원으로 전지대두와 아마종실의 첨가가 반추위내 건물과 C18계-불포화지방산의 조성과 소실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ull-Fat Soybeans and Linseed as Dietary Fat Sources on In Vitro Ruminal Disappearances of Dry Matter and C18-Unsaturated Fatty Acids and Fatty Acids Profile)

  • 이성훈;최낙진;맹원재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3호
    • /
    • pp.443-454
    • /
    • 2003
  • 본 연구는 불포화지방산원으로서 C18:2n-6이 풍부한 전지대두와 C18:3n-3이 풍부한 아마종실을 반추동물사료에 18% 배합하였을 때 반추위내 건물소실율과 불포화지방산 소실율 및 조성을 조사하기 위해 in vitro 배양장치에서 실시하였다. 배양시간은 0, 3, 6, 12, 24, 48, 72시간에 걸쳐 실시하였고, 배양 종료 후 각각의 medium digesta는 동결 건조하여 건물과 각 지방산 함량을 분석하였다. 배양 3시간까지는 전지대두와 아마종실의 건물소실율에 차이가 없었으나, 배양 6시간이후부터는 아마종실이 전지대두보다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p< 0.01). 하지만, 배양 48시간이후부터는 두 처리구간에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p>0.05). 한편 가스생성량은 건물소실율과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어 아마종실이 전지대두보다 발효산물인 가스를 보다 많이 생성하나 두 처리구간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C18:0 함량은 배양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전지대두와 아마종실 공히 증가하였고, 전지대두가 아마종실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C18:1 조성은 전지대두가 아마종실구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C18:2와 C18:3의 digesta내 조성은 반추위내 수소첨가현상으로 배양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Digesta내 C18:2 함량은 C18:2가 풍부한 전지대두가 아마종실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5), C18:3 함량은 C18:3이 풍부한 아마종실이 전지대두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01). 순수 C18:0 생산량 (%)은 C18:2n-6 함량이 풍부한 전지대두가 배양종료 후 332.24%로 아마종실의 133.16%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5). C18:1 소실율은 전지대두가 아마종실보다 유의하게 낮았고 (p<0.05), 특히 배양 3, 6, 12, 24시간에서 전지대두 처리구가 음 (-)값을 나타내었다. C18:2의 소실율은 배양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배양 72시간에 두 처리구 평균 93.31%로 광범위하게 소실되었으나, 처리구간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p>0.05). C18:3 소실율은 C18:2 소실율과 마찬가지로 배양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특히 아마종실이 전지대두에 비하여 배양 6시간이후부터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C18계 불포화지방산 소실율은 아마종실이 전지대두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p<0.05). 이상의 결과로부터 전지대두와 아마종실은 반추동물의 식품 내 유익한 불포화지방산이 침착하는데 충분한 가치가 있는 불포화지방산원이었고, C18계 불포화지방산은 반추위내에서 광범위하게 수소첨가되었다. 아울러 전지대두는 아마종실보다 complete biohydrogenation이 증가하였고, digesta 내 불포화지방산 함량은 사료 중 불포화지방산 함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야쿠티아의 동토지역에 서식하는 생물의 추운기후-순화의 조절에서 식물 지방산의 역할 (The Role of Plant Fatty Acids in Regulation of the Adaptation of Organisms to the Cold Climate in Cryolithic Zone of Yakutia)

  • 페트로프;두다레바;노크소로프;퍼크;세파로프;소프로노바;보이니코프;쥴푸가로프;이춘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19-530
    • /
    • 2016
  • 자연상태에서 녹색인 채로 눈에 덮여 있는 냉동사료 엽채식물은 초식동물의 생물활성물질과 영양분의 근원이 된다. 우리는 Avena sativa, Elytrigia repens, Equisetum variegatum과 Equisetum scirpoides의 잎에서 가을에 전체 지방산 함량이 상당히 증가함을 관찰하였다. 그러나, 여름에 채취한 잎에 비하여 눈에 덮혀 얼어있는 식물에서 지방산 불포화도의 증가는 없었다(북반부 온도최저점 지역에 서식하는 키가 작은 쇠뜨기인 E. scirpoides는 예외임). 야쿠티아 말의 내부 지방조직(젊은 말의 고기)에서, 18개의 지방산이 분석되었고, 그 중 10개가 포화 지방산이었다. 그 중 70%에 해당하는 양으로 단일불포화 올레산(С18:1(n-9))과 고도불포화 α-리놀렌산이 비슷하게 분포하였다. 내부 지방조직에 이렇게 많은 고도불포화 지방산이 많이 분포하는 것은 가을과 겨울에 먹인 녹색 먹이의 영향으로 본다. 우리는 야쿠티아 말의 조직에 상당한 양으로 분포하는 식물 특이적 지방산 함량은 이 말들이 오래 동안 저온 스트레스 상황에서 저항성을 가질 수 있은 조절기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제안한다.

국내산 밤의 시기별 영양성분 변화 (Change i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Chestnuts (Castanea crenata) from Different Periods)

  • 정희록;조유나;정지희;진동은;송병기;진영록;김만조;이욱;허호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93-40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표적인 밤 생산지역인 공주지역의 밤 품종(단택; Tanzawa, 대보; Daebo, 축파; Tsukuba, 옥광; Okkwang)을 활용하여 밤의 산업적 이용가치 및 최적 저장 조건 확립을 위한 체계적인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미숙기, 수확기 및 저장기에 따른 영양화학성분의 변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일반성분 분석 결과 수분이외의 고형분으로서는 가용성 무질소물과 조단백의 함량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미숙기에서 수확기로 경과됨에 따라 수분을 제외한 대부분의 고형분 함량이 증가되었다. 무기성분 분석결과 총 8가지 성분이 분석되었으며, 그 중 K P Ca Mg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미숙기에서 수확기로 경과됨에 따라 무기성분 함량이 대부분 증가되었다. 밤에는 총 17종의 아미노산이 존재 하였으며, 시기별로 aspartic acid, glutamic acid, arginine 및 alanine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대보(Daebo)와 축파(Tsukuba) 품종의 경우 미숙기에서 저장기로 경과됨에 따라 필수 아미노산 함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각 품종별 지방산으로는 미숙상태에서는 포화지방산이 다량으로 존재하였으며, 저장기로 지남에 따라 그 함량은 줄어들고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유리당으로는 glucose, fructose, sucrose, 및 maltose 4종이 확인되었으며, 미숙기에서 저장기로 경과됨에 따라 총 유리당 함량이 증가되었다. 지용성 및 수용성 vitamin 분석 결과 retinol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beta}$-carotene vitamin $B_1$ niacin vitamin C의 경우 미숙기에서 수확기로 경과됨에 따라 함량이 비교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저장기에서의 각종 vitamin 함량은 오히려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Effect of Feeding Calcium Salts of Palm Oil Fatty Acids on Performance of Lactating Crossbred Cows

  • Purushothaman, Sajith;Kumar, Anil;Tiwari, D.P.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3호
    • /
    • pp.376-385
    • /
    • 2008
  • Twenty lactating crossbred cows yielding 10 to 15 litres of milk daily during mid lactation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four groups of five animals to assess the effect of feeding calcium soaps of palm oil fatty acids (bypass fat) on milk yield, milk composition and nutrient utilization in lactating crossbred cows. The animals in groups 1 (control), 2, 3 and 4 were fed concentrate mixture containing 0 (no bypass fat), 2, 4 and 6% bypass fat, respectively. The average daily dry matter consumption in the various groups ranged from 13.1 to 13.6 kg an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reatment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different groups in digestibility of DM, OM, CP and CF, however, ether extract digestibility in cows of groups 2 and 4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The average milk yields of the cows in group 3 (4% bypass fat) showed a significantly (p<0.05) higher value than cows of groups 1 and 2. Similarly, a significant (p<0.05) increase in fat yield, 4% FCM yield and SNF yield was observed for the cows in group 3 (4% bypass fat). The milk composition in terms of total solids, fat, lactose, protein, solids-not-fat and ash percentage showed a varying response and bypass fat feeding did not have any effect on milk composition of cows in different groups. The gross and net energetic efficiency of milk production ranged from 23.6 to 27.5% and 37.1 to 44.4%, respectively, an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different treatment groups. The gross and net efficiency of nitrogen utilization for milk production ranged from 24.0 to 28.7% and 37.2 to 43.5%, respectively,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among different treatment groups. The supplementation with calcium salts of palm oil fatty acid reduced the proportion of caproic, caprylic and capric acids and significantly (p<0.01) increased the concentration of palmitic, oleic, stearic, linoleic and linolenic acids in milk fat with increase in level of bypass fat supplementation. It was concluded that incorporation of calcium salts of palm oil fatty acids at a 4% level in the concentrate mixture of lactating crossbred cows improved the milk production and milk quality in terms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without affecting the digestibility of nutrients.

Effects of replacing soybean meal with perilla seed meal on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of broilers

  • Oh, Han Jin;Song, Min Ho;Yun, Won;Lee, Ji Hwan;An, Ji Seon;Kim, Yong Ju;Kim, Gok Mi;Kim, Hyeun Bum;Cho, Jin Ho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2권4호
    • /
    • pp.495-503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effects of replacing soybean meal with perilla seed meal (PSM) on growth performance, proximate composition of meat, meat quality, and fatty acids composition of meat in broilers. A total of 60 one-day-old chicks of ROSS 308 (initial body weight of 44.8 ± 0.4 g) were randomly allotted to four treatment groups (15 replicate cages with 1 broilers per cage) in a period of 5 weeks. Dietary treatments included control (CON) basal diet (corn-soybean meal-based diets) and test diets in which PSM was included at 0.5% (T1), 1% (T2), or 2% (T3) to gradually replace soybean meal. At the end of experiment, all broilers were slaughtered for collecting breast and thigh meat. At 5 weeks, T2 and T3 treatment groups had higher (p < 0.05) body weights than CON and T1 treatment groups. Weight gain was increased (p < 0.05) in T2 and T3 treatment groups. Feed intake was decreased (p < 0.05) in T3 treatment group. Broilers in T2 treatment group had lower (p < 0.05) feed conversion ratio than those in other treatment groups. In proximate composition of breast meat, there was no significant (p > 0.05) difference in moisture and ash. Fat composition of breast meat was significantly (p < 0.05) increased in T2 and T3 treatment groups. Regarding meat quality, broilers fed T3 diet had higher (p < 0.05) water holding capacity than those fed other diets. Regarding fatty acids composition of thigh meat, broilers fed T3 diet had higher (p < 0.05) linolenic acid than those fed other diets. In conclusion, soybean meal replaced by 2% perilla seed meal in broiler diet can improve growth performance, meat quality, and fatty acids composition of thigh meat in broilers. Perilla seed meal can be a lot of potential alternatives feedstuff for soybean meal in this study.

남은 음식물과 녹차 부산물이 산란계의 산란성적과 계란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ried Leftover Food and Green Tea By-Product on Performance and Egg Quality in Laying Hens)

  • 우간바야르 담딘수렌;구민정;배인휴;양철주;선상수
    • 유기물자원화
    • /
    • 제14권4호
    • /
    • pp.121-131
    • /
    • 2006
  • 본 연구는 산란계에서 남은 음식물과 녹차 부산물이 산란계의 산란성적과 계란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공시동물은 50주령 Tetran Brown종 산란계 210수를 7처리 5반복 (반복당 6수)으로 임의 배치하였다. 시험설계는 대조구와 옥수수 곡류와 대두박을 대용한 건조된 남은음식물 10, 20, 30 및 40% 첨가구 (10% DLF, 20% DLF, 30% DLF 및 40% DLF)와 1.0%의 녹차 부산물 첨가구 (1.0% GTB)와 30% DLF와 1.0% GTB를 첨가한 혼합 첨가구를 두어 사양실험을 8주 동안 실시하였다. 산란율은 대조구에 비하여 10, 20 및 40% DLF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P<0.05). 난중은 대조구에 비하여 10% DLF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0.05). 사료 섭취량은 대조구보다 20% DLF 처리구와 30% DLF와 1.0% GTB의 혼합 첨가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P<0.05). 사료 요구율은 대조구에 비하여 10% DLF 처리구와 1.0% GTB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0.05). 난황 콜레스테롤은 DLF 처리구와 대조구 사이에서 변화가 없었다 (P>0.05). 난황의 리놀렌산은 DLF 처리구와 1.0% GTB 첨가한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 PDF

기주식물별 풀무치의 영양성분 및 유해물질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Nutrients and Hazardous Substances in Locusta Migratoria from Host Plants)

  • 김선영;곽규원;김은선;박관호;김낭희;송명하;김용순;윤형주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53-262
    • /
    • 2020
  • BACKGROUND: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nutritional composition of Locusta migratoria (Orthoptera: Acrididae) changes nutrients depending on the host plants. In this study, to confirm whether Locusta migratoria is an edible insect, the nutrients and harmful substances such as heavy metals and pathogens were analyzed and compared according to corn (LC) or wheat (LW) as host plants. METHODS AND RESULTS: All experimental methods mainly referred to AOAC (2004). The content of crude protein per dry weight was 77.3% in (LW), 1.1 times higher than 69.8% in LC. Crude fat was 6.5% in LW, 2.2 times less than LC 14.3%. Alpha-linolenic acid, which has the highest content among unsaturated fatty acids, was 1.2 times higher in LC (39.9%) than LW (32.5%). As a result of analysis of harmful substances by LC and LW, lead and cadmium among heavy metals were at levels suitable for heavy metal standards of edible insects, and arsenic was not detected in both groups. E. coli and Salmonella spp. were not detected in both groups. CONCLUSION: When comparing the overall nutrients composition of LW and LC, it was confirmed nutrient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host plants, and the safety was proved.

깨의 함량과 전처리에 따른 깨죽과 흑임자죽의 기호도 연구 (Sensory Characteristics of White and Black Sesame Gruels with Different Mixing Ratio and Decortication)

  • 김진숙;손정우;염초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547-556
    • /
    • 1996
  • 본 연구는 옛부터 전통죽으로 가치가 높은 깨죽과 흑임자죽의 최적의 조리조건과 방법을 알아내고자 관능검사와 기계적 검사를 위주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깨죽과 흑임자죽의 관능검사 결과, 깨함량이 150> 200>100>50%인 시료구의 순위로 점도, 고소한 맛과 전체적인 기호도가 감소하였다. 거피깨죽과 거피흑임자죽은 깨죽과 혹임자죽보다 풍미, 고소한 맛, 전 체적 선호도 등의 관능적 특성이 우수하였다. 깨 볶는 시간이 7, 3, 0(날깨)분인 순위로 색, 고소한 맛, 쓴맛 및 전체적 인 기호도가 좋았다. 이상으로 참깨와 혹임자 는 전처리과정을 거친후 각각 7분간 볶아 쌀 100 g당 거피한 깨 150 g, 물 1075 g의 재료배합으로 죽을 제조 할 때 가장 높은 기호를 나타난 것으로 평가되었다. 기계적 검사에서의 점도는 깨함량이 증가할수록, 볶음공정을 거친 시료구일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으 며 색도에 있어서는 깨함량이 많을수록, 볶는 시간이 증가할수록 명도인 L값이 낮아지는 반면에 적색도인 a값과 황색도인 b값은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또한 거피한 깨로 제조한 죽은 그렇지 않은 시료구에 비해 L 값이 높았다 관능적 특성과 기계적 특성간의 상관관계를 볼 때 깨죽과 거피깨죽의 관능적 특성중에서 전체적인 기호 도는 풍미, 고소한 맛과는 p < .001 수준에서, 관능적 특성인 요소인 색은 Hunter color value인 a값과는 p < .05 수준에서, b값과는 p<.001수준에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흑임자죽과 거피흑임자죽의 전체적인 기호도는 관능적 요소인 풍미, 고소한 맛과 동시에 기계적 검사의 색도 치인 a와 b값과도 p<.01에서 유의 적인 정의 상관관계였으나 L값과는 p<.01에서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거피깨죽과 거피흑임자죽이 깨죽과 흑임자죽보다 회분, 전당, 조섬유 등의 함량이 적은 반면에 수분, 단백질, 지방 등의 함량은 많았다. 거피깨죽과 깨죽의 지방산 조성은 Linoleic > 01eic > Palmitic > Stearic > Myris-tic > Arachinic > Linolenic acid 순으로 낮게 분포되었으며 깨죽의 필수지방산은 42.53%, 거피깨죽은 43.67%로 높은 함유량을 보였다. 거피흑임자죽과 흑임자죽의 지 방산 조성도 이와 같은 경향이었으나 Myristic acid와 Stearic acid의 조성 순위 만이 달랐으며 필수지방산에 있어 흑임자죽과 거피흑임자죽은 각각 41.92%, 44.92% 로 거피흑임자죽이 약 3% 많았다. 이상으로 깨 종피를 제거함으로써 조회분, 조섬유 등이 손실되었으나 단백질, 지방 등의 영양성분이 상대적으로 많아졌고, 종피 속에 함유된 무기질의 유독 성분도 함께 제거되었으므로 일부 연구결과와 같은 경향이었다. 또한 죽은 소화흡수에 좋고 필수지방산 이 많은 참깨와 흑임자를 첨가하였으므로 맛과 영양이 크게 증진되어 현대인의 식품선택 요구에 맞는 건강식, 기호식 , 간편식, 치료식 등으로 가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