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rkers' hands

검색결과 140건 처리시간 0.021초

외식업소 종사자의 손 위생관리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Hand Hygiene Practices of Food-Service Businesses Workers: A Comparison of Full-time and Part-time Workers)

  • 김종규;박정영;김중순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71-82
    • /
    • 2013
  •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investigate hand hygiene practices among food-service businesses employees based on the awareness of hand-washing and load of indicator bacteria on their hands. It focused on the comparison of full-time and part-time workers in food-service workplaces. Methods: A direct-interview questionnaire survey and microbiological analysis were carried out with sixty workers each. Samples for microbiological analysis were collected through a modified glove-juice method from the hands of the food-service workers and were analyzed for aerobic plate count, total coliform, fecal coliform, Escherichia coli, Staphylococcus aureus, and Salmonella spp. Microbiological analysis was done according to the Food Code of Korea.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p<0.01) were found in the survey between the full-time and part-time workers in hand-washing frequency, use of hand-washing agents, and hand-drying methods. More full-time workers responded to washing their hands after preparing food, after visiting outside, after handling raw materials, and before putting on gloves/when changing gloves than did part-time workers (p<0.05). No remarkable difference was found in bacterial load on the hands except in the aerobic plate count between the two groups. The detection of E. coli, S. aureus, and Salmonella spp. on the hands of some food-service workers in both groups revealed poor hand hygiene practice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re is a need for training programs in order to improve hand hygiene practices and strict hand hygiene compliance by food-service workers.

방사성물질과 접촉하는 작업의 손·발이 받는 피폭방사선량 평가에 대한 고찰 (A Review of Radiation Field Characteristics and Field Tests for Estimating on the Extremity Dose under Contact Tasks with Radioactive Materials)

  • 김희근;공태영;동경래;최은진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23-130
    • /
    • 2017
  • Concerns about high radiation exposure to the hands of radiation workers who may contact with radioactive contamination on surfaces in a nuclear power plant (NPP) had been raised, and the Korean regulatory body required the extremity dose estimation during contact tasks with radioactive materials. Korean NPPs conducted field tests to identify the incident radiation to the hands of radiation workers who may contact with radioactive contamination during maintenance period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adiation fields for contact tasks are dominated by high energy photons. It was also found that the radiation doses to the hands of radiation workers in Korean NPPs were much less than the annual dose limits for extremities. This approach can be applicable to measure and estimate the extremity dose to the hands of medical workers who handle the radioactive materials in a hospital.

원재료, 조리기구와 조리원 손에 의한 급식소 조리음식의 미생물오염 실태 분석 (Analysis of Contamination of Bacteria from Raw Materials, Utensils and Workers' Hands to Prepared Foods in Foodservice Operations)

  • 배현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655-660
    • /
    • 2006
  • 급식규모와 운영형태가 유사한 3곳의 급식소를 대상으로 원재료, 조리기구 및 조리종사원 손과 최종조리음식간의 미생물 오염실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A 급식소에서는 닭볶음탕, 잡채, 비빔밥, 콩나물무침에서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되었다. 닭볶음탕은 조리종사원의 손, 재료를 손질한 도마, 양파에서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되었으므로 조리종사원의 손이나 도마를 통한 교차오염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잡채는 조리종사원의 손, 당면을 삶아 건진 바구니, 양파와 양파를 손질한 도마에서 모두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되었으므로 이들 간의 교차오염이 발생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비빔밥과 콩나물무침은 해당일 조리를 담당한 종사원의 손에서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되었으므로 조리종사원 손에 의한 오염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B 급식소의 쥐어채조림은 원재료의 황색포도상구균이 조리과정에서 그대로 전이되어 조림 후에도 검출되었다. C급식소의 오징어채무침에서는 대장균이 검출되었다. 오징어채무침은 가열조리공정을 거치지 않는 메뉴로서 원재료인 오징어채에서 검출되었던 대장균이 그대로 최종조리 후까지 전이된 것으로 판단된다. 급식소 최종음식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위생적인 원재료의 구매와 사용, 조리종사원 개인위생의 개선, 조리기기의 철저한 세척 및 소독관리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돈육 가공공정에서 돈육과 작업자 손 간의 Salmonella spp.의 교차오염 비교 (Comparison of Cross-contamination of Salmonella spp. on Pork Meat and Workers' Hands during Pork Cutting Processing)

  • 홍종해;박경진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62-56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포장돈육 가공공정에서 교차오염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제 돈육 가공공정에서 돈육과 빈번하게 접촉하는 작업자의 손(polyethylene glove 착용, 면장갑 착용, 맨손) 및 작업도구(칼, 도마)를 대상으로 각각에 대하여 Salmonella spp.의 상호 교차오염 전이율을 분석하였다. 오염된 돈육에서 작업자로의 전이율은 면장갑이 38.80%로 가장 높았고, 다음이 PG 3.11%,맨손 1.35%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면장갑의 경우 면 장갑으로 전이된 균이 다시 맨손으로의 재오염 전이(0.07%)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오염된 돈육에서 칼과 도마로의 전이율은 0.20-1.99%이다. 반대로 오염된 작업자로부터 돈육 및 기구로의 전이율은 0.0015-0.21%로 전체적으로 오염된 돈육으로부터의 작업자의 손과 기구로의 전이보다 상당히 낮은 수준으로 전이되었다. 따라서 PG 착용이 작업공정에서의 교차오염을 줄이거나 예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축산물 작업공정에서의 교차오염은 원료육에서 손 또는 장갑, 도마, 칼 등으로 오염이 전이되고 이들이 다시 돈육을 오염시킬 수 있으므로, 안전한 식품생산을 위해서는 이러한 교차오염의 연속성을 차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OWAS 기법을 활용한 건설업 근로자의 작업 자세 분석 (Analysis of Working Posture for Construction Workers Using OWAS Method)

  • 엄란이;이예진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704-712
    • /
    • 2018
  • This study analyzed working postures using the Ovako Working Posture Analysis System (OWAS) to improve work clothes for construction workers. A video taken at a construction work site was stopped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postures of relevant body parts proposed by OWAS was recorded. Additionally, based on analysis of the working postures code, the level of work action for each postures was classified from stage I to IV. General workers frequently straightened or bent forward at the waist, and used their legs to stand, bend, or walk. Wood workers moved extensively from the waist, keeping their legs relatively straight and their arms held below their shoulders, repeatedly tapping with a hammer weighing less than 10.0kg. Rebar bending workers mainly bent forward at the waist, with both legs bent or standing with one leg bent. Rebar transport and fixing workers walked with the waist straight, and occasionally one or both hands held above the shoulders. Their work also involved holding a hook, which weigh less than 10.0kg, in their hands, and the difficult task of lifting and placing long rebars, which weigh from 10.0 to 20.0kg or more. Concrete pouring workers bent or twisted their back to the sid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design goals should be different when developing workwear for each type of worker.

외국인근로자의 근로환경 및 안전보건실태 조사 연구 (The survey study on working conditions and industrial safety & health of foreign workers)

  • 이관형;조흠학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53-63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foreign worker's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state, which find out the improvement to secure the basic safety net for foreign workers. We have investigated 2,050 workers through direct interviews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12, 2010 to May 31, 2010. And the result of analysis, foreign worker's daily average working time is 10.6 hours(40.8% workers in total work 10~12 hours), the extent of exposure to harmful and dangerous working environment is 'the position which cause pain in neck, waist, hands, shoulders, legs'(69.3%), 'repetitive hands and arms movement'(66.1%). It showed 'experience of accident damage or disease related work'(27.3%), 'never apply for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s revealed high at 73%. As a result of completing a safety health education for a year, it showed 'never educated'(40.2%), 'the institute that foreign workers have used for help and advice is the foreign worker's support center'(61.9%) Thus, hiring foreign workers in the company are small in site, the environment is too harmful and dangerous. In addition, no safety and health managers, legally blind spot located in the health and safety, because it is an urgent meet for these measures to improve.

연취급 근로자의 연폭로 수준에 따른 주관적 자각증상 호소율 (Prevalence Rate of Lead Related Subjective Symptoms in Lead Workers)

  • 정두신;김화성;안규동;이병국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6권2호
    • /
    • pp.251-267
    • /
    • 1993
  • 연폭로의 정도와 자각증상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435명의 연폭로 남자 근로자와 212명의 일반 사무직 남자 근로자를 대상으로 연폭로 지표가 되는 혈중 연, 혈중 Zinc Protoporphyrin(ZPP), 요중 Delta-aminolevulinic acid(DALA), 혈색소, 혈구 용적 측정을 위한 혈액 시료 및 소변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하였고, 연관련 자각증상 조사는 14개의 증상 조사 항목을(표 3 및 별첨 1) 피검자가 응답 하도록하여 상담 의사의 면접을 통한 확인을 거쳐 수집 하였다. 수집된 각 항목은 인체 조직계 증상군별로 1) 위장관계 증상 2) 신경과 근육 및 관절계 증상 3) 일반 체질적 증상 4) 정신과적 증상으로 구분하여 연폭로 지표 수준과 연폭로 작업 여부에 따른 자각증상 호소율을 비교 조사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연폭로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자각증상 호소율을 보인 증상군은 신경과 근육 및 관절계 증상으로 "손이나 발이 저리거나 쥐가 잘난다", "관절이 아프거나 쑤신다", "손가락, 손, 발 등에 힘이 없다", "근육통을 느낀다" 순 이었다. 2. 연폭로군과 대조군의 자각증상 호소율에 가장 큰 차이를 보인 증상 항목은 "손이나 발이 저리거나 쥐가 잘 난다"였으며, 전체 조사 대상에서 가장 높은 증상 호소율을 보인 증상 항목은 일반 체질적 자각 증상군의 "전보다 피곤감을 느낀다"였다. 3. 전체 조사 대상의 혈중 연과 혈중 ZPP 수준에 따른 연폭로량의 증가와 자각증상 호소율의 증가를 보인 증상 항목은 신경과 근육 및 관절계 증상군의 "손이나 발이 저리거나 쥐가 잘난다", "관절이 아프거나 쑤신다", "손가락. 손 발 등에 힘이 없다", "근육통을 느낀다"와 위장관계 증상군의 "아랫배가 아파서 고생한 적이 있다"였다. 4 연폭로군에서 혈중 연과 혈중 ZPP 수준에 따른 연폭로량의 증가와 자각증상 호소율의 증가를 보인 증상 항목은 신경과 근육 및 관절계 증상으로 혈중 연의 증가에 따라 증상 호소율이 증가하였다. 5. 연폭로군에서 39세 이하 와 40세 이상 연령군으로 나누어 비교시 39세 이하 군의 증상 호소율이 40세 이상 군보다 높게 나왔으며. 신경과 근육 및 관절계 증상이 39세이하 군에서 혈중 연의 증가와 함께, 40세 이상 군에서 혈중 ZPP의 증가와 함께 자각증상 호소율의 증가를 나타냈다. 6. 연폭로 지표에 따른 폭로수준과 증상 호소율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조군에 대한 폭로군, 연폭로군의 저농도 폭로군에 대한 고농도 폭로군의 교차비를 산출한 결과 신경과 근육 및 관절계 증상군의 "손이나 발이 저리거나 쥐가 잘난다", "관절이 아프거나 쑤신다", "손가락, 손, 발 등에 힘이 없다", "근육통을 느낀다"와 위장관계 증상군의 "아랫배가 아파서 고생한 적이 있다"가 연폭로량의 증가에 따른 교차비의 증가를 보여 양-반응의 관계를 추정할 수 있었다.

  • PDF

핵의학 종사자에서 손 부위의 외부 피폭선량 연구 (Study of External Radiation Expose Dose on Hands of Nuclear Medicine Workers)

  • 박준철;표성재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5권2호
    • /
    • pp.141-149
    • /
    • 2012
  • 최근 최첨단 핵의학 영상기술의 발달로 임상적 이용이 증가되어 방사선 선원을 취급하는 핵의학과 작업종사자의 몸통 부위와 손 부위에 노출되는 외부 피폭선량을 평가하고 검사 빈도가 높은 전신 뼈검사(Whole body Bone Scan)와 양전자 단층촬영(PET/CT)시 방사선 선원($^{99m}Tc$-HDP, $^{18}F$-FDG)의 취급 및 검사에 따른 손 부위 피폭선량을 측정하고자 한다. 방사선 선원 취급 시 방호구 착용 및 손 부위를 측정 할 수 있는 선량계 보유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4개의 의료기관에 설문 하였다. 방사선 선원을 직접 분주하고 주사하는 숙련된 작업종사자의 가슴과 약지손가락에 열형광 선량계을 착용하여 누적된 외부 방사선 선량을 측정하고 손 부위의 외부 방사선량 측정을 위해 구간별 일일 방사선 선원으로부터 노출되는 선량과 시간을 포켓도시메터를 이용하여 각각 측정 하였다. 인천광역시 4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손 부위의 방사선 피폭선량 측정기를 구비한 의료기관은 1곳을 제외한 3곳은 구비하지 않았고 차폐기구 사용은 방사선 선원으로부터 몸통을 보호하기 위해 차폐기구를 사용한 곳이 대부분 이었고, 일부 의료기관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곳도 있었다. 방사선 선원을 직접 분배하고 투여하는 핵의학과 작업종사자의 손 부위 외부피폭 선량은 몸통부위보다 약 2배 이상 많은 선량을 받았고, 검사 빈도가 높은 전신 뼈 검사와 양전자 단층촬영 시 각 구간별 외부피폭 선량을 보면 방사성의약품 합성 및 분배용기 장착, 분배, 투여, 이동 순으로 각각 나타났다. 또한 방사선 선원 투여시 방호구 착용 전/후 손 부위의 피폭선량을 측정한 결과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결과 작업종사자의 유효선량에는 못 미치지만 비 작업종사자보다 비교적 높은 선량을 받고 있어 방사선 선원을 근거리에서 노출되는 작업종사자는 안전관리 규정을 준수하고 손 부위 선량계(Ring TLD)를 착용하여 방사선 선원으로부터 피폭 저감을 위한 활동을 하여야 한다.

포장돈육 가공공정 중 돈육과 작업자 손과의 Listeria monocytogenes의 교차오염 전이율 (Transfer Rate of Cross Contamina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between Pork Meat and Workers' Hands during Pork Meat Processing)

  • 김성조;박명수;박경진;라만;박중현;오덕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30-33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포장돈육 가공공정에서 교차오염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제 돈육 가공공정에서 돈육과 빈번하게 접촉하는 작업자의 손(polyethylene glove 착용, 면장갑 착용, 맨손) 및 작업도구(칼, 도마)를 대상으로 각각에 대하여 Listeria monocytogenes의 상호 교차오염 전이율을 분석하였다. 오염된 돈육에서 작업자로의 전이율은 면장갑이 100.00%로 가장 높았고, 다음이 맨손 2.513%, PEG 1.511%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면장갑의 경우 면장갑으로 전이된 균이 다시 맨손으로의 재오염 전이(0.08%)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오염된 돈육에서 칼과 도마로의 전이율은 0.352-3.791%이다. 반대로 오염된 작업자로부터 돈육 및 기구로의 전이율은 0.001-0.141%로 전체적으로 오염된 돈육으로부터의 작업자의 손과 기구로의 전이보다 상당히 낮은 수준으로 전이되었다. 따라서 PEG 착용이 작업공정에서의 교차오염을 줄이거나 예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축산물 작업공정에서의 교차오염은 원료육에서 손 또는 장갑, 도마, 칼 등으로 오염이 전이되고 이들이 다시 돈육을 오염시킬 수 있으므로, 안전한 식품생산을 위해서는 이러한 교차오염의 연속성을 차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한 손 들기 작업과 양 손 들기 작업의 근력 능력 비교 연구 (Comparison of Muscle Strength for One-hand and Two-hands Lifting Activity)

  • 김홍기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35-44
    • /
    • 2007
  •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WMSDs) are a major problem in industries in which manual materials handling is performed by workers. To prevent these WMSD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muscular strength capability and use this knowledge to design job and selection and assignment of workers. Even though two-hands lifting activity of manual materials handling tasks are prevalent at the industrial site, many manual materials handling tasks which require the worker to perform one-hand lifting are also very common at the industrial site and forestry and farming. However, a few researches have been done for one-hand lifting activity of manual materials handling task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one-hand and two-hands lifting strength in terms of static and dynamic strength of the lifting activity for the ranging from the height of knuckle to elbow. It is shown in this study that the isometric lifting strength of one-hand is ranging from 54.7 to 63.3% of the one of two-hands. However, it is found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 person's isometric lifting strength for left-hand and right-hand. It is also shown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eak force under the dynamic sub-maximal loading with one-hand and two-hands lifting activity. Similar results were obtained for the peak acceleration and peak velocity under the dynamic sub-maximal loading with one-hand and two-hands lifting activity. Isometric lifting strength at the height of knuckle was ranging from 2 to 3 times of the dynamic peak force during sub-maximal lifting. It is concluded that the dynamic peak forces under the sub-maximal loading are not highly correlated with the isometric lifting strength in similar post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