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valence Rate of Lead Related Subjective Symptoms in Lead Workers

연취급 근로자의 연폭로 수준에 따른 주관적 자각증상 호소율

  • Jeong, Du-Shi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Soonchunhyang University) ;
  • Kim, Hwa-Sung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Soonchunhyang University) ;
  • Ahn, Kyu-Dong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Soonchunhyang University) ;
  • Lee, Byung-Kook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Soonchunhyang University)
  • 정두신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김화성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안규동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이병국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Published : 1993.06.01

Abstract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 related subject symptoms and lead exposure indices was studied in 435 male lead workers in thirteen lead using industries. 212 male office workers who were not exposed to lead occupationally were also studied as a control group. Fourteen lead related symptoms were selected. They were further subdivied into 4 sub-symptom groups such as 1) gastrointestinal, 2) neuromuscular and joint 3) constitutional, and 4) psychological symptoms. Symptom questionnaires were provided to the workers and filled up by themselves and reconfirmed by interviewer(doctor). The test used fer the evaluation of lead exposure were blood lead(PbB), zinc protoporphyrin in whole blood(ZPP), hemoglobin(Hb), hematocrit (Hct), delta-aminolevulinic acid in urine(DALA).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higher prevalence rate in the sub-group of neuromuscular and joint symptoms was observed in occupationally lead exposed subjects than non-exposed subjects. Among the sub-groups, the most frequent symptom was 'numbness of finger, hands or feet', and the prevalence of the symptom of 'arthralgia', 'weakness of fingers, hands or feet' and 'myalgia' were higher in order. 2. While the symptom which showed the biggest difference of prevalence rate among the 14 symptoms between exposed and non-exposed subjects was 'numbness of fingers, hands or feet', the symptom which showed the highest prevalence rate was 'feeling tired generally' in exposed and non-exposed subjects, but no statistical difference of symptom prevalence were observed. 3. In total study population, PbB and ZPP had dose-response relationship with 4 symtoms of neuromuscular and joint symptoms ('numbness of finger, hands or feet', 'arthralgia', 'weakness of fingers, hands or feet' and 'myalgia') and one symptom of gastrointestinal group('intermittent pains in lower abdomen'). 4. In lead exposed workers, only neuromuscular and joint symptoms group showed dose-response relationship with PbB and ZPP, 5. In lead exposed workers, the prevalance rate of overall symptoms of lead workers with age below 39 years was higher than that of lead workers with age above 40. While neuromuscular and joint symptoms group had a dose-response relationship with PbB in former group, it had a dose-response relationship with ZPP in latter group. 6. Age adjusted odds ratios of symptoms of non-exposed with exposed and odds ratios of low exposed with high exposed workers showed the dose-response relationship of lead exposure with neuromuscular and joint symptoms group('numbness of fingers, hands or feet', 'arthralgia', 'weakness of fingers, hands or feet' and 'myalgia') and gastrointestinal symptoms group('intermittent pains in lower abdoman').

연폭로의 정도와 자각증상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435명의 연폭로 남자 근로자와 212명의 일반 사무직 남자 근로자를 대상으로 연폭로 지표가 되는 혈중 연, 혈중 Zinc Protoporphyrin(ZPP), 요중 Delta-aminolevulinic acid(DALA), 혈색소, 혈구 용적 측정을 위한 혈액 시료 및 소변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하였고, 연관련 자각증상 조사는 14개의 증상 조사 항목을(표 3 및 별첨 1) 피검자가 응답 하도록하여 상담 의사의 면접을 통한 확인을 거쳐 수집 하였다. 수집된 각 항목은 인체 조직계 증상군별로 1) 위장관계 증상 2) 신경과 근육 및 관절계 증상 3) 일반 체질적 증상 4) 정신과적 증상으로 구분하여 연폭로 지표 수준과 연폭로 작업 여부에 따른 자각증상 호소율을 비교 조사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연폭로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자각증상 호소율을 보인 증상군은 신경과 근육 및 관절계 증상으로 "손이나 발이 저리거나 쥐가 잘난다", "관절이 아프거나 쑤신다", "손가락, 손, 발 등에 힘이 없다", "근육통을 느낀다" 순 이었다. 2. 연폭로군과 대조군의 자각증상 호소율에 가장 큰 차이를 보인 증상 항목은 "손이나 발이 저리거나 쥐가 잘 난다"였으며, 전체 조사 대상에서 가장 높은 증상 호소율을 보인 증상 항목은 일반 체질적 자각 증상군의 "전보다 피곤감을 느낀다"였다. 3. 전체 조사 대상의 혈중 연과 혈중 ZPP 수준에 따른 연폭로량의 증가와 자각증상 호소율의 증가를 보인 증상 항목은 신경과 근육 및 관절계 증상군의 "손이나 발이 저리거나 쥐가 잘난다", "관절이 아프거나 쑤신다", "손가락. 손 발 등에 힘이 없다", "근육통을 느낀다"와 위장관계 증상군의 "아랫배가 아파서 고생한 적이 있다"였다. 4 연폭로군에서 혈중 연과 혈중 ZPP 수준에 따른 연폭로량의 증가와 자각증상 호소율의 증가를 보인 증상 항목은 신경과 근육 및 관절계 증상으로 혈중 연의 증가에 따라 증상 호소율이 증가하였다. 5. 연폭로군에서 39세 이하 와 40세 이상 연령군으로 나누어 비교시 39세 이하 군의 증상 호소율이 40세 이상 군보다 높게 나왔으며. 신경과 근육 및 관절계 증상이 39세이하 군에서 혈중 연의 증가와 함께, 40세 이상 군에서 혈중 ZPP의 증가와 함께 자각증상 호소율의 증가를 나타냈다. 6. 연폭로 지표에 따른 폭로수준과 증상 호소율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조군에 대한 폭로군, 연폭로군의 저농도 폭로군에 대한 고농도 폭로군의 교차비를 산출한 결과 신경과 근육 및 관절계 증상군의 "손이나 발이 저리거나 쥐가 잘난다", "관절이 아프거나 쑤신다", "손가락, 손, 발 등에 힘이 없다", "근육통을 느낀다"와 위장관계 증상군의 "아랫배가 아파서 고생한 적이 있다"가 연폭로량의 증가에 따른 교차비의 증가를 보여 양-반응의 관계를 추정할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