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odcrafts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8초

목공예품의 이미지제공 및 수종분석(I) - 목기류를 중심으로 - (Image Support and Wood Identification of Wood Crafts (I) - Focusing on Wooden Containers -)

  • 김사익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98-204
    • /
    • 2014
  • Aggravation of natural environment, improvements in income, internet diffusion, spread of five-day work a week, and population aging seem very different from each other. However they boil down to consumption. These culture patterns are changing into environment-friendly and productive housing culture. In other words, people might tend to have frequent contacts with not only environment-friendly housing in bustling cities but also woods that is environment friendly materials in their leisure time. In the period of people young and old alike are in favor of woodcrafts,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giving information to who speicalized in woodcrafts. Furthermore, the study shows that other countries also added grain and figure to woodcrafts for visually appealing.

  • PDF

용도별 세계목공예품의 수종조사 (Visual Inspection of Wood Crafts in Uses around World)

  • 김사익;조종수;윤승락;노정관;나종범;김동귀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1-22
    • /
    • 2006
  • This study attempted to visually inspect eight hundred wood crafts collected from various countries. These include sculputures, toys, jewl cases, kitchen wares, candle holder and wooden vases, stationery, sport outfits and etc. The most impressive wood is Myrtlewood, a broadleaf evergreen which grows along the coastline of southern Oregon and northern Califonia. Myrtlewood possesses a wide variety of grove patterns. This unique wood varies in color from a deep, rich brown to silver grey, red and every yellow. Myrtlewood is being recognized as being one of the most beautiful hardwoods in the world.

  • PDF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가께수리 약장의 연륜연대 분석 (Tree-Ring Dating for a Medicine Cabinet in Seoul Museum of History)

  • 송지애;김요정;박원규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79-484
    • /
    • 2012
  • Tree-ring dating can be used to date scientifically prehistoric timbers, historical buildings or woodcrafts. It gives a calendar year to each tree ring and produces the felling dates of logs or wood panels. In this study, we applied tree-ring dating to a medicine cabinet in Seoul Museum of History. We obtained tree-ring data from radial or cross section by taking photographs with a digital camera. The cabinet were dated A.D. 1821 to the last ring. It was about 50 year older than the previous medicine cabinets. Tree-ring patterns indicated that the origin of woods for the cabinet would be near Sorak mountains.

  • PDF

전통목가구의 연륜연대 측정: 뒤주의 사례연구 (Tree-Ring Dating for Korean Traditional Furniture: A Case Study on Rice Chests)

  • 김요정;김수철;박원규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88-194
    • /
    • 2007
  • Tree-ring dating can be used to date scientifically prehistoric timbers, historical buildings or woodcrafts. It can give a calendar year to each tree ing and produces the felling dates of logs or wood panels. In this study, we applied tree-ring dating to three rice chests, whose dates of manufacturing are unknown. According to the shape of frame, we assumed that they should be made in Cholla Province. The last rings of the woods of three rice chests were dated A.D. 1830, A.D. 1870 and A.D. 1901, respectively. Tree-ring patterns indicated that two of them were collected from Kangwon province.

  • PDF

국산 주요 침엽수재 문양의 출현 형태 (Appearance Pattern of Figures in Commercial Domestic Softwoods)

  • 박병호;권성민;권구중;장재혁;김남훈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88-195
    • /
    • 2010
  • This study has been focused on the evaluation of domestic softwood timbers to replace imported timbers for woodcrafts and furniture-making. Figures on radial and tangential sections were observed with naked eyes. As the result of study on the figures appeared on the wood surface of 6 species of trees, flat grain and edge grain were clearly found from Taxus cuspidata. Juniperus chinensis and Ginkgo biloba had wavy grain figure and pigment figure, and blister figure was found in Pinus densiflora, Larix kaempferi showed pitch streak and irregular figures on its tangential section due to growth abnormalities. Wavy grain figure appeared weakly on near knot of Pinus koraiensis. The characteristic figures shown from each species of trees are expected to be used for crafts, sculptures, furniture, and interior decoration. They are also considered to have great potential to substitute imported timber sufficiently, which are currently used a lot for wood crafts and furniture-making.

  • PDF

전통목가구의 연륜연대측정: 약장의 사례연구 (Tree-Ring Dating for Korean Wood Furniture: A Case Study on Medicine Cabinets)

  • 박원규;김상규;김요정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5권6호
    • /
    • pp.57-64
    • /
    • 2007
  • 연륜연대측정법을 사용하여 전통약장 2점에 대해 제작연대를 밝혀 편년을 정립하고 시대 변천에 따른 약장의 형태적 차이점을 논하고자 하였다. 연륜연대측정법은 목재 내의 연륜을 측정하여 1년의 오차도 없는 정확한 절대연도를 부여함으로써 제작연대를 알아내는 것이다. 경기도산으로 달려진 경기도박물관소장 약장 1점과 덕성여대박물관소장 약장 1점에 대한 연륜분석 결과, 마지막 연륜의 연도가 1884년과 1874년으로 각각 측정되었다. 시기는 거의 같게 나타났으나 형태, 구조, 목재 재질 등의 상이함이 컸다. 이는 시대적인 차이가 아니라 제작자와 사용자의 취향, 안목, 재력 등이 제작에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한편, 경기도 약장으로 분류된 것이지만 연륜패턴 일치도 분석결과 목재의 산지는 강원도 설악산과 강릉지역으로 나타나 경기 지방의 가구제작에 강원도 목재가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국산목재의 고급가구 및 목공예 용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국내산 밤나무 7품종의 해부 및 물리적 특성- (Fundamental Study of Domestic Wood for the Materials for High-class Furnitures and Woodcrafts -Anatomical & Physical Characteristics of Chestnut Woods Grown in Korea-)

  • 이선화;권성민;박병호;이성재;이욱;김만조;김남훈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6호
    • /
    • pp.23-32
    • /
    • 2008
  • 국내산 목재의 신용도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국내에서 생장한 밤나무 7품종(단택, 이취, 이평, 만성, 은기, 유마, 축파)의 목재의 해부 및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밤나무재의 관공은 환공성 문양공재 형태였고 주로 고립관공이 관찰되었다. 방사유세포는 평복, 직립, 방형이 모두 존재하였으나 주로 평복세포였다. 방사조직은 단열, 복열, 다열의 형태가 모두 관찰되었으나 수심부에서는 거의 단열방사조직이었고 수피부에서는 복열이나 다열방사조직의 출현빈도가 높았다. 수심부는 수피부보다 도관직경이 작았고, 단위면적 당 도관의 분포수가 많았으며 방사조직의 수가 적고 방사조직의 세포고가 높았다. 복열 및 다열방사조직의 출현비율은 단택, 이취, 만성, 축파에서 높은 반면, 유마, 은기, 이평에서 낮았다. 연륜폭은 수심부가 수피부에 비해 비교적 더 넓었고, 수심부 연륜폭은 만성과 유마가, 수피부 연륜폭은 이취가 넓었다. 만재율은 수심부와 수피부 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대체적으로 수피부가 다소 높았고, 품종 중에서는 만성과 축파가 높았다. 생재함수율은 모든 품종에서 심재부가 변재부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밀도는 심재부와 변재부, 품종에 따른 큰 차이는 없었으나 대체적으로 심재가 변재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이평과 이취의 밀도가 컸다.

셀룰로오스계 목재 추출 성분을 이용한 목공예용 천연 접착제의 개발 및 적용 가능성에 대한 복합적 기반 연구 - 유근피·황촉규·도교 중심으로 - (A Study on Multiple Bases for Development of Natural Adhesives for Woodcraft using Cellulose Extracts from Wood and their Application Potential - Focused on Salicis radicis cortex, hibiscus, Chinese wild peach resin -)

  • 위광철;오승준;한원식;박민선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37권5호
    • /
    • pp.239-248
    • /
    • 2019
  • 본 연구는 현재 목공예품 제작 시 사용성이 편하고 경제적이라는 이유로 합성 PVAc계 접착제가 주로 사용된다. 본 연구는 합성 PVAc계 접착제의 단점 중 작업자나 사용자에게 미치는 인체 안정성과 환경 유해성 등에 대한 문제점을 개선해보고자 하는 연구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이 대두되기 시작하면서 친환경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대되고 수요도 급격히 증가되고 있는 상황으로 천연 접착제에 대한 연구를 통해 친환경 접착제를 개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목공예용 천연 접착제의 개발을 위해 천연 접착 소재인 셀룰로오스계 목재 추출물을 이용해 목공예용 천연 접착제를 개발하기 위한 기반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목공예용 천연 접착제 개발을 위한 기반 물성인 접착 강도에서 기존 재료 보다 약 0.2 ~ 4 배 증진된 효과를 보여주었으며, 기존 재료와 유사하거나 안정적인 pH 값을 확인하였다. 또한 우수한 가역성을 나타내어 목공예용 접착제로서의 기초적인 물성은 확인되었으며, 자외선 열화에 대한 내구성도 약 1.5 ~ 8.5 배 우수한 결과값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셀룰로오스계 목재 추출물의 정제 기술 개발과 기능성 부여를 통한 접착강도, 항균성, 보존성 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기존에 사용되어온 재료에 비해 성능이 개선된 목공예용 천연 접착제가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