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e-Ring Dating for Korean Wood Furniture: A Case Study on Medicine Cabinets

전통목가구의 연륜연대측정: 약장의 사례연구

  • Park, Won-Kyu (School of Forest Resour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Sang-Kyu (School of Forest Resour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Yojung (Center for Tree-Ring Research, ASTRI,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박원규 (충북대학교 산림과학부) ;
  • 김상규 (충북대학교 산림과학부) ;
  • 김요정 (충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연륜연구센터)
  • Received : 2007.07.18
  • Accepted : 2007.09.20
  • Published : 2007.11.25

Abstract

Tree-ring dating can be used to date scientifically prehistoric timbers, historical buildings or woodcrafts. It gives a calendar year to each tree ring and produces the felling dates of logs or wood panels. In this study, we applied tree-ring dating to two medicine cabinets, known to be made in Kyônggi Province. Two cabinets were dated A.D. 1884 and 1874 to the last rings, respectively. Even with closed ages, two cabinets show different styles and structures. Tree-ring patterns indicated that the origins of woods for both cabinets would be near Sorak mountains and Kangneung area in Kangwon province.

연륜연대측정법을 사용하여 전통약장 2점에 대해 제작연대를 밝혀 편년을 정립하고 시대 변천에 따른 약장의 형태적 차이점을 논하고자 하였다. 연륜연대측정법은 목재 내의 연륜을 측정하여 1년의 오차도 없는 정확한 절대연도를 부여함으로써 제작연대를 알아내는 것이다. 경기도산으로 달려진 경기도박물관소장 약장 1점과 덕성여대박물관소장 약장 1점에 대한 연륜분석 결과, 마지막 연륜의 연도가 1884년과 1874년으로 각각 측정되었다. 시기는 거의 같게 나타났으나 형태, 구조, 목재 재질 등의 상이함이 컸다. 이는 시대적인 차이가 아니라 제작자와 사용자의 취향, 안목, 재력 등이 제작에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한편, 경기도 약장으로 분류된 것이지만 연륜패턴 일치도 분석결과 목재의 산지는 강원도 설악산과 강릉지역으로 나타나 경기 지방의 가구제작에 강원도 목재가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삼대자. 1994. 전통목가구. 대원사. 서울
  2. 김요정, 박원규. 2005 연륜연대법을 이용한 전통목가구와 목공예품의 과학적 편년해석: 조선후기와 근대의 사례연구, 미술사학연구. 246 . 247: 247 -274
  3. 김희수, 김삼기, 2003. 목가구. 국립민속박물관. 서울
  4. 덕성여자대학교 박물관. 2007. http//museum.duk sung.ac.kr/ sch/codetree.cgi (홈페이지)
  5. 박영규. 1982. 한국의 목가구. 삼성출판사
  6. 박원규, 김요정. 2005. 전통목가구의 연륜연대측정: 장과 발달이 사례연구. 목재공학. 33(3): 1-10
  7. 박원규, 손병화, 한상효. 2003. 창경궁 통명전 목부재의 연륜연대 측정. 건축역사연구. 35: 53-63
  8. 손병화, 박원규, 윤두형. 2006. 영국사 대웅전 목부재의 수종 및 연륜연대 분석. 건축역사연구. 15(2): 2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