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od burning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22초

소방 실화재 훈련에서 사용하는 압축목재 가연물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 특성 (Characteristics of Hazardous Substances Generated from Combustible Compressed Wood Used during Live Fire Training for Firefighters)

  • 이용호;김진희;김의진;최원준;이완형;강성규;이소연;함승헌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555-564
    • /
    • 2020
  • Objectives: To identify and investigate throug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the hazardous substances generated when compressed wood was burned at a live fire-training center. Methods: Four types of compressed wood that are actually used in live fire training were burned in a chamber according to KS F2271. The gaseous material was sampled with a gas detector tube and conventional personal samplers. Results: 1,3-butadiene, benzene, toluene, xylene, formaldehyde, hydrogen chloride, hydrogen cyanide, ammonia, carbon monoxide, and nitric acid were detected. In particular, 1,3-butadiene (497.04-680.44 ppm), benzene (97.79-125.02 ppm), formaldehyde (1.72-13.03 ppm), hydrogen chloride (4.71-15.66 ppm), hydrogen cyanide (3.64-8.57 ppm), and sulfuric acid (3.85-5.01 ppm) exceeded the Korean Occupational Exposure Limit as measured by sampling pump according to the type of compressed wood. Conclusions: We found through the chamber testing that firefighters could be exposed to toxic substances during live fire training. Therefore, firefighter protection is needed and more research is required in the field.

농업부산물인 산업용 대마(Cannabis sativa L.) 목부를 이용한 고밀화 펠릿 연료 (Densified Pellet Fuel Using Woody Core of Industrial Hemp (Cannabis sativa L.) as an Agricultural waste)

  • 한규성;이수민;신수정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93-298
    • /
    • 2009
  • 종자 수확 후 버려지는 산업용 대마를 이용한 목질 펠릿제조 가능성과 제조된 펠릿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산업용 대마의 성분 분석 결과 활엽수와 비슷한 리그닌 함량과 당구성을 보였으며, 회분 분석 결과 무기물 함량이 0.5% 정도이어서 연료로 사용할 경우 재의 생산량은 크지 않을 것이다. 원소 분석 결과 대기 오염을 유발할 수 있는 질소와 황 함량을 분석한 결과, 황 성분은 전혀 포함하지 않고 있으며, 약간의 질소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는 현사시나무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고위발열량 측정 결과 대마 목부는 현사시나무보다 다소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바이오매스 생산량이 큰 대마 목부를 이용하여 제조한 펠릿은 활엽수로 제조한 펠릿과 비슷한 화학적 성질과 발열 특성을 가질 것으로 기대되어 고체연료로서의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단판(單板)의 약제처리(藥劑處理)가 합판성질개선(合板性質改善)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 of Pretreatment of Veneer on the Improvement of Plywood Quality)

  • 심종섭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0권3호
    • /
    • pp.152-164
    • /
    • 1982
  • 1. In order to make the improvement of plywood quality, this study has been made. The pretreatments applied to the veneers are as follows. a) The soaking treatment of the veneer in 30 percent methanol solution for 24 hours was applied to remove some resinous materials which may cause many stain discolouring on the face of finished plywood. b) The preservative treatment of the veneer in 2 percent malenit solution for 2 to 3 minutes was adopted to make resistance against decay and insect damages. c) The fire retardant treatment of the veneer in 40 percent ammonium phosphate solution for 2 hours was applied to give retardation effect against fire burning. 2. The results summariz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a) One percent resinous materials was extracted, after the soaking of the veneers in 30 percent diluted methanol. b) No marks of the dirty stains of resinous materials on the face of the treated plywood was shown, although many quite dirty stains on the face of untreated plywood have contrary seen. c) However, the strip shear test strength of the treated plywood was not decreased. It means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strength between the treated plywood and the untreated plywood. The strength values were 25.08 kg/$cm^2$ and 24.98 kg/$cm^2$, respectively. d) The strip shear test strength of plywood made of the treated veneers in 2 percent malenit solution was not decreased. e) The slight decrease of the strip shear test strength of the treated plywood made of the treated veneer in 40 percent ammonuim phosphate solution was shown. However, the remarkable difference of the fire retardation activities between the treated specimens and the untreated specimens has seen as in Table 10, that is, the fire proofed specimens had taken about 28 seconds to start to burn, while the untreated specimens had taken 15 seconds to reach to burning. This means that the fire retardation effect of the fire proofed plywood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unproofed plywood.

  • PDF

주성분/중회귀분석을 이용한 대구지역 대기중 부유분진의 발생원별 특성평가 (Source Characterization of Suspended Particulate Matter in Taegu Area,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Coupled with Multiple Regression)

  • 백성옥;황승만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79-190
    • /
    • 199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haracterize sources of atmospheric total suspended particulates (TSP) in urban and sub--urban areas of metropolitan taegu. The sources were tentatively identified by a multivariate technique, i.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and the source contributions to the atmospheric concentrations of TSP were further estimated by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 total of 5 sources was identified in the urban area of Taegu (soil dust resuspension, fuel combustion, secondary aerosol, traffic related aerosol, and refuge burning), while 4 sourc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sub--urban area as following: fuel combustion/secondary aerosol, soil dust resuspension, traffic related aerosol, and wood/agricultural burning. The largest contributor to the atmospheric TSP appeared to be the soil dust resuspension in both areas. The source apportionment of the extractable organic matter (EOM) was also carried out for the Taegu data. The EOM was determined with respect to the solvent polarity, i.e. cyclohexane (non-polar), dichloromethane (semi--polar), and acetone (polar). In addition, the source profiles for the TSP in Taegu area were estimated using a PCA-based algorithm, and the validity was evaluated tentatively by comparing the data in the literature.

  • PDF

방화 범죄에서 가연성 물질과 연소촉진제의 연소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Flammable materials and Combustion Accelerants in an Arson)

  • 박혜정;남기훈;김광일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1권5호
    • /
    • pp.7-11
    • /
    • 2017
  • 본 연구는 방화에 사용된 가연성 물질, 연소촉진제의 연소특성을 파악하여 방화에 사용 가능한 물질 관리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방화를 예방하기 위한 연구이다. 방화에 대한 통계자료를 조사 및 분석하여 사용된 가연성 물질(목재, 종이, 합성섬유, 합성수지)과 연소촉진제(휘발유, 경유, 페인트 도료)를 선정하였다. 가연성 물질의 열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열 중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가연성 물질과 연소촉진제의 연소특성을 비교 및 분석하기 위해 연소 화염전파속도 측정 실험을 실시하여 실험 결과를 도출하였다.

고대 먹의 특성 분석 (Analysis of Characterization on Ancient Ink Stick)

  • 남태광;신수정;박원규;김병로
    • 보존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65-17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고대 먹의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선조들의 조묵방법 및 기술을 파악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고목재와 고문서의 묵서부의 먹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고목재(창덕궁 신선원전 적심)를 연륜연대분석한 결과 1899년에 벌채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고목재에 씌어진 먹의 연대를 추정할 수가 있었다. 고대 먹 원료인 그을음의 단일입자크기는 고목재의 경우 평균 107nm로 가장 크게 분석되었고, 12개의 고문서의 경우 38~86nm범위를 나타냈다. 응집체입자크기 분석 결과 고목재의 경우 평균 370nm로 단일입자크기와 같이 가장 크게 분석되었으며, 고문서의 경우 평균 206~318nm로 분석되었고, 단일입자크기와 응집체입자크기 간에는 같은 경향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단일입자크기와 응집체입자크기로 그을음의 원료를 분석할 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고목재와 고문서 묵서부분의 박편상먹의 적외선 및 라만 분광분석에서는 목재나 종이의 간섭으로 먹 입자의 스펙트럼을 얻을 수 없었다. 고목재에서 분리한 분말먹의 라만 분광분석에서는 현대 송연 그을음과 유사한 라만 스펙트럼패턴을 보여, 송연먹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목재공급과 연료용 목재가 대기에 축적된 탄소저감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 : 탄소순환모형 접근법 (Potential Impact of Timber Supply and Fuel-Wood on the Atmospheric Carbon Mitigation : A Carbon Cycle Modeling Approach)

  • ;이덕만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19권3호
    • /
    • pp.597-632
    • /
    • 2010
  • 지구온난화의 주요 원인이 되는 온실가스 증가는 화석연료의 사용과 세계 각 지역에 분포된 산림의 벌채 및 파괴에 주로 기인하고 있다. 화석연료의 연소는 대기에 탄소를 증가시키는 반면에 산림자원과 더불어 화석연료 소비의 감소를 초래하는 연료용 목재의 사용은 대기의 탄소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목조 주택과 목조구조물, 그리고 산림을 구성하는 나무는 지하에 매장된 화석연료처럼 대기로부터 탄소를 흡수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구온난화의 완화를 위해 산림자원이 기여하는 현안들을 논의하기 위해 목재시장, 화석연료시장, 탄소순환 과정을 결합한 통합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이산시간 적정제어이론을 사용하여 통합모형에 포함된 내생변수들의 적정시간경로와 운동방정식, 그리고 정상상태에서의 해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이 결과를 바탕으로 대기에 축적되는 탄소를 줄이기 위해 규제당국이 교부하거나 부과할 보조금 및 조세의 적정규모를 규명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는 대기에 축적되는 탄소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적 비용의 증가가 내생변수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시뮬레이션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는 기존연구들이 제안한 연구결과와는 달리 사회적 비용의 증가가 산림자원의 적정수확기간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미약하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 PDF

대나무숯 성형보드의 연소특성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Bamboo Charcoal Boards)

  • 박상범;박주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0권1호
    • /
    • pp.19-2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대나무숯의 인테리어용 건축자재로의 이용을 위하여 대나무숯 성형보드를 개발코자 하였다. 대나무숯 성형보드의 난연성능 확보를 위해 대나무숯과 발포질석 및 무기계 바인더를 혼합, 성형하여 제조하였다. 초기 열류량 50 kW/$m^2$의 조건에서 콘칼로리미터에 의한 대나무숯 성형보드의 연소시험이 수행되었다. 중량 감소율, 총열방출량, 최대열방출률의 연소거동을 관찰하기 위하여 3종의 건축재료(합판, 일본산 죽탄보드, 석고보드)를 사용하였으며, 표면시험 및 가스유해성을 조사하였다. 대나무숯 성형보드의 중량감소율은 연소 10분후 12.0%로 불연성 석고보드의 중량감소율(15.6%)보다 작았다. 연소 개시 5분 시점에서 대나무숯 성형보드의 총열방출률은 3 MJ/$m^2$, (KS 기준 8 MJ/$m^2$ 이하)이며, 최대열방출률은 20 kW/$m^2$ (KS 기준 200 kW/$m^2$ 이하)를 나타내어 난연3급의 건축재료에 해당되었다. 연소에 따른 외관상 변형과 방출가스에 의한 마우스 유해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창덕궁 대조전 목부재의 연륜연대 측정 (Tree-Ring Dating of Wood Elements of Daejojeon, Changdukgung)

  • 박서영;박원규;김요정
    •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05년도 제22회 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 /
    • pp.300-305
    • /
    • 2005
  • Tree-ring chronologies can be used to date historical buildings and furniture by matching them with the chronologies of living trees or previously dated samples. Tree-ring dating gives a calender year to each tree ring and produces the felling dates of logs or woods which had been used for buildings. In Korea, several chronologies of Japanese red pine(Pinus densiflora Sieb. et Zucc.,'sonamu' in Korean), a major species for the wooden building material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for dating historical buildings. Daejojeon of Changduck Palace is known to be reconstructed in A.D. 1920 after burned-out in A.D. 1917. Instead of new woods, Daejojeon was reconstructed by reusing the woods of Kyotaejeon in Kyungbok Palace. We sampled total of 26 wood samples which were replaced during the repair process of Daejojeon in 1995. Felling dates of the samples were determined by the dendrochronological crossdating method. Crossdating method employs graphic comparison of the master patterns (ring-width plots of living trees or known dates) with those of the sample chronologies of unknown dates. The cutting dates of Daejojeon woods were divided in two groups. One was the late 1860s and the other 1880s. The results confirmed that Kyotaejeon was reconstruced first in the A.D 1860s and then in late 1880s after burning out in 1876.

  • PDF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술지게미 펠릿의 열적 특성 (Thermal Characteristics of Sulgigemi Pellets Using Biomass)

  • 김대년;김덕현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08.1-108.1
    • /
    • 2011
  • This paper proposes the method to develop the fuel of suljigemi pellets using agricultural by-products the occurred during the manufacturing of alcohol. This paper is the goal to make sulgigemi pellet fuel for develops pellet of high calorie. The methods of sulgigemi pellet manufacturing well mix as the dough with the water and the sulgigemi. And then we have dried in the after compression and molding using well mixed the sulgigemi. The moisture of pellets has dried it removed until about 85%. Suljigemi pellet has the effect of zero emission as the soil conditioner using ash after burning. The merits for the sulgigemi pellet are the convenience of storage and custody. Also sulgigemi pellet has the reduction effect of carriage fee, fuel economy and low-cost high-efficiency effects, environmentally clean fuel as CO2 emissions savings. In experiment, we confirmed to calories of the wood pellet and the sulgigemi pellet. The calorie of the suljigemi pellets has high 233 kilo calories than the wood pellets. So the technologies of the sulgigemi fuel pellets are developing low carbon, green growth renewable energy fuel through futuristic energy system will b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