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lting

검색결과 252건 처리시간 0.031초

옥상녹화를 위한 남천 외 3수종의 내건성 평가 (Drought Resistance Assessment of Four Shrub Species Including Nandina Domestica for Extensive Green Roof)

  • 신창섭;이학석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67-273
    • /
    • 2014
  • 본 연구는 비교적 내건성이 강하여 옥상녹화 소재로 이용될 수 목본식물들 중 수수꽃다리(Syringa dilatata), 사철나무(Euonymus japonica), 쥐똥나무(Ligustrum obtusifolium), 남천(Nandina domestica)등 4 수종에 대해서 내건성을 비교하고 영구위조계수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식물의 내건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2013년 6월4일~7월 20일까지 무관수 처리하였고 7일 간격으로 잎의 상대함수량, 상대전기전도도, 수분포텐셜 등을 측정하였으며, 영구위조계수를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 충분히 관수한 화분을 옥상으로 옮기고 2일 후에 측정한 잎의 상대함수량은 쥐똥나무 91.3%, 수수꽃다리 92.9%, 남천 91.2%, 사철나무 90.1%였다. 그 후 28일 동안 관수하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한 상대함수량은 쥐똥나무 60.2%, 수수꽃다리는 67.8%로 크게 감소되었으나, 남천과 사철나무는 각각 80.1%, 81.7%로 감소되었다. 상대전기전도도와 수분포텐셜에서도 남천과 사철나무가 쥐똥나무와 수수꽃다리에 비하여 내건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수종별 영구위조계수는 쥐똥나무 3.1%, 수수꽃다리 2.1%, 남천 1.6%, 사철나무 0.7%로 나타났다. 즉 위의 공시수종 모두 내건성이 강하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사철나무의 내건성이 가장 크고 다음은 남천> 수수꽃다리> 쥐똥나무 순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일(日)·인원연교잡(印遠緣交雜) 수도품종(水稻品種)의 급성위조증상(急性萎凋症狀) 발생(發生)에 관(關)한 영양생리학적(營養生理學的) 연구(硏究) -III. 수도근계(水稻根系)의 발달(發達)과 위조증상(萎凋症狀) 발생(發生)과의 관계(關係) (Physiological studies on the sudden wilting of JAPONICA/INDICA crossed rice varieties in Korea -III. Relationship between wilting injury and the rice root developing system)

  • 김유섭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22-126
    • /
    • 1989
  • 위조증상발생(萎凋症狀發生)에서 볼수 있는 품종간차이(品種間差異)를 근계(根系)의 발달(發達) 및 활력(活力)의 특징(特徵)에서 구명(究明)하기 위(爲)하여 농가포장(農家圃場) 및 시험포장(試驗圃場)에서 실태조사(實態調査), 사경재배(砂耕栽培)에 의(依)한 대조품종(對照品種)의 생육시기별조사등(生育時期別調査等)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급성위조증상(急性萎凋症狀)이 발생(發生)한 "유신(維新)"은 건전주(健全株)에 비(比)해 피해주(被害株)에서 T/R비율(比率)이 높았다. 2. 급성위조증상(急性萎凋症狀)이 발생(發生)한 "유신(維新)"은 건전주(健全株)에 비(比)해 부위(部位)에 관계(關係)없이 근활력(根活力)이 저하(低下)하였다 "유신(維新)"의 영양생장기(營養生長期)에 있어서의 지상부생육량(地上部生育量)은 타(他) 품종(品種)보다 크나 T/R률(率)은 높아지는 경향(傾向)이며, 생육후기(生育後期)에 있어서의 광합성산물(光合成産物)의 근(根)에의 배분량(配分量)이 상대적(相對的)으로 감소(減少)하는것으로 보아 생식생장기(生殖生長期)에 있어서 근(根)의 활력저하(活力低下)를 초래(招來)하는 요인(要因)이 되는 것으로 추정(推定)된다. 3. 위조증상(萎凋症狀)이 발생(發生)한 "유신(維新)"은 영양생장기(營養生長期)의 근활력(根活力)이 높고, 지상부(地上部)의 생장(生長)도 왕성(旺盛)하나 생식생장기(生殖生長期)에는 타(他) 품종(品種)에 비(比)해 활력(活力)이 현저(顯著)하게 저하(低下)하는 특징(特徵)을 나타내는 것이 명확(明確)하게 밝혀졌다. 4. 급성(急性) 위조증상발생(萎凋症狀發生)이 비교적(比較的) 적었던 "밀양(密陽) 23호(號)"의 근활력(根活力)은 피해주(被害株)와 건전주간(健全株間)에 차이(差異)가 없었으며, 양자(兩者) 공(共)히 후기(後期)까지 비교적(比較的) 높게 유대(維待)되었으며, 근(根)도 굵고 T/R비율(比率)도 낮았다.

  • PDF

FERMENTATION QUALITY EVALUATION OF ITALIAN RYEGRASS SILAGES BY USING THE BUFFER INDEX CURVE

  • Kim, K.H.;Tsujiguchi, J.;Uchida, 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5권4호
    • /
    • pp.737-740
    • /
    • 199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monstrate the practical use of the buffer index curve as a criterion of silage quality evaluation, Forty five samples of the ensiled Italian ryegrass were collected from farms in Okayama, Japan. Silages were devided into 4 groups by the pattern of buffer index curve. Heavy wilting silages (A group) showed no peak on buffer index curve and Flieg's score of 95.6. However, moderate or weak wilting silages (B group) with moisture content of 63.3 showed a peak at pH 4.0 and a Flieg's score of 67.8. Both of A and B groups were regarded as a good quality silage. Silages (C group) with a peak at pH 4.5 were of a medium quality with Flieg's score of 45.3. Poorly preserved silages (D group) with Flieg's score of 12.0 had a peak at pH 5.0. There was a high positive correlationship (p<0.01) between the peak value of buffer index curve and the organic acid content.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eratocystis fimbriata Causing Lethal Wilt on the Lansium Tree in Indonesia

  • Suwandi, Suwandi;Irsan, Chandra;Hamidson, Harman;Umayah, Abu;Asriyani, Khoirotun Dwi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7권2호
    • /
    • pp.124-136
    • /
    • 2021
  • Bark canker, wood discoloration, and wilting of the duku tree (Lansium domesticum) along the watershed of Komering River, South Sumatra Province, Indonesia first appeared in 2013. The incidence of tree mortality was 100% within 3 years in badly infected orchards. A Ceratocystis species was consistently isolated from the diseased tissue and identified by morphological and sequence analyse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and β-tubulin regions. Pathogenicity tests were conducted and Koch's postulates were confirmed. The fungus was also pathogenic on Acacia mangium, but was less pathogenic on mango. Partial flooding was unfavourable for disease development. Two described isolates (WRC and WBC) had minor variation in morphology and DNA sequences, but the former exhibited a more pathogenic on both duku and acacia. The ITS phylogenies grouped the most pathogenic isolate (WRC) causing wilting of the duku tree within the aggressive and widely distributed ITS5 haplotype of C. fimbriata.

Occurrence of Root Rot caused by Fusarium fujikuroi on Adzuki Bean in Korea

  • Min Sun Ha;Hyunjoo Ryu;Sung Kee Hong;Ho Jong Ju;Hyo-Won Choi
    • 한국균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19-329
    • /
    • 2022
  • In July 2020, wilting symptoms were observed among adzuki bean plants (Vigna angularis var. angularis L.) in the fields in Yeosu, Korea. Infected plants showed yellowing of leaves, browning inside the stems, splitting of stem bark, and wilting. When these plants were uprooted, their roots were found to be brown. The fungal pathogens NC20-737, NC20-738, and NC20-739 were isolated from symptomatic stem and root tissues. These pathogens were identified as a Fusarium fujikuroi species complex based on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Molecular identification was performed using the DNA sequence of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 alpha and the RNA polymerase II second largest subunit regions. The nucleotide sequences of all three isolates were similar to the F. fujikuroi reference isolates NRRL 13566 and NRRL 5538 of the National Centre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GenBank. A pathogenicity test was conducted by the soil inoculation method with cornmeal sand inoculum. Approximately 3 weeks after inoculation, symptoms were observed only in the inoculated adzuki bean seedlings.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Fusarium root rot caused by F. fujikuroi in adzuki beans, both in Korea and worldwide.

Silago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요인의 평가 (The Evvalution of Different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Silage)

  • 한정대;윤익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8-28
    • /
    • 1978
  • 재료(材料)의 수확시기(收穫時期)와 여건(予乾), 세절(細切) 등(等)의 물리적(物理的)인 처리(處理)가 싸이레지품질(品質)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기 위해 Italian ryegrass(Lolium multi florum)는 출수전(出穗前) I)과 출수기(出穗期) II), 섬다비(Dystaenia takesimana NaKai)는 개화전(開花前) III)에 각각(各各) 예취(刈取)하여 무처리(無處理) A) 1일(日) 여건(予乾) B), $1{\sim}2cm$ 세절(細切) C), 세절후(細切後) 여건(予乾) D)의 4가지 조제방법(調製方法)으로 $1,727cm^3$의 프라스틱 원통 싸이로를 사용(使用)하여 싸이레지 조제후(調製後) 실온(室溫)에서 약(約) 3개월(個月) 저장(貯藏)한 후케 동시(同時)에 개봉(開封)하여 조사(調査)한 바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섬바디는 조섬유함량(粗纖維含量)이 낮고 N.F.E/CP 비율(比率)이 6.31로 Italian ryegrass보다 싸이레지에 적합(適合)한 일반성분(一般成分)을 함유(含有)하고 있었다. 2. 무처리(無處理) 및 세절시(細切時) 일반성분(一般成分) 중(中) N.F.E 손실(損失)이 가장 많았고 여건시(予乾時)는 적었다. 3. 세절(細切), 여건(予乾)은 건물소화율(乾物消化率)을 개선(改善)시켰다. 4. 동일용적내(同一容積內)에 건물충전량(乾物充塡量)은 Italian ryegrass 출수전(出穗前)에 비(比)해 출수기(出穗期) 및 섬바디가 각각(各各) 8%, 69% 증가(增加)되었고, 여건(予乾) 또는 세절시(細切時) 무처리(無處理)보다 각각(各各) $41%{\sim}134%$ 증가(增加)되었다. 5. 저장중(貯藏中) 중량손실(重量損失)은 대부분(大部分)이 첫 주(週)에 발생(發生)되었고 손실(損失)은 4주(週)까지 서서히 계속되었다. 8주(週)까지의 최고손실(最高損失)은 무처리(無處理)의 3.76%였다. 6. 1일(日) 여건(予乾)으로 건물함량(乾物含量)은 $23%{\sim}131%$ 증가(增加) 시켰다. 여건(予乾), 세절(細切)은 pH, 유산함량(乳酸含量)은 유의(有意)하게 증가(增加)시켰으나 반대로 초산(醋酸), 낙산(酪酸) $NH_3-N$ 함량(含量) 유의(有意)하게 감소(減少)시키고 품질개선(品質改善)에 현저(顯著)한 결과(結果)가 인정(認定)되었다. 7. $NH_3-N$과 낙산(酪酸), 유산(乳酸)과 건물함량(乾物含量) 간(間)에는 각각(各各) r=0.782**, r=0.634**의 상관(相關)이 있었으며 회귀방정식(回歸方程式)은 각각(各各) y=12.853X+4.908(X=낙산함량(酪酸含量)), y=0.061X+1.309(X=건물함량(乾物含量))이었다. 8. 이상(以上)의 결과(結果) 양질(良質) 싸이레지 조제(調製)를 위(爲)해서 Italian ryegrass는 여건(予乾) 또는 세절(細切)이 반드시 필요(必要)하며, 섬바디는 여건(予乾), 세절(細切)이 품질개선(品質改善)에 유효(有效)하였다.

  • PDF

인삼(人蔘)잎의 위조(萎凋)와 증산특성(蒸散特性) (Characteristics in wilting and transpiration of Panax ginseng leaves)

  • 박훈;윤태헌;배효원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77-82
    • /
    • 1979
  • 대두엽(大豆葉)과 비교(比較)하여 인삼절제엽(人蔘切除葉)의 위조(萎凋) 증산(蒸散) 특성(特性)을 온도별로 그리고 엽절편(葉切片)의 water potential 및 흡수특성(吸水特性)을 조사(調査)하였다. 1. 인삼엽(人蔘葉)은 대두엽(大豆葉)에 비(比)하여 얇고 초기수분함량(初期水分含量)이 크지만 탈수속도(脫水速度)는 적으면서도 영구위조점(永久萎凋点)의 수분함량(水分含量)이 높아서 (초기수분함량(初期水分含量)의 약(約) 80%, 대두(大豆)는 50%) 영구위조점(永久萎凋点)에 이르는 시간(時間)이 대두(大豆)의 반(半)에 불과(不過)하며 고온에서 더욱 단축(短縮)되었다. 2. 인삼엽(人蔘葉)은 대두엽(大豆葉)보다 증산량(蒸散量)이 적었으며 (약(約)1/4) $23^{\circ}C$보다 $33^{\circ}C$의 증산량(蒸散量)이 적어 고온에 대한 내성(耐性)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인삼엽(人蔘葉)은 water free space가 적으나 흡수속도(吸水速度)는 (시간당 단위생중당 흡수량(吸水量)) 큰 차이(差異)가 없었고 수분결차(水分缺差)가 컸다. 4. 액침법(液浸法)에 의한 water potential은 대두엽(大豆葉)보다 컸다. 5.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는 인삼(人蔘)이 대두(大豆)에 비하여 수분부족(水分不足)에 약(弱)한 것을 나타내며 여름 고온에 의한 위조피해(萎凋被害)가 클 것으로 보였으며 전엽기간(展葉期間)에 수광량(受光量)을 높이고 비교적(比較的) 온도를 높게 경과하여 기공수를 증대시키어 증발산기능을 증대시켜 고온 내성(耐性)으로 키워야 하며 근권(根圈)엔 산소(酸素)가 부족(不足)되지 않는 한 수분(水分)을 충분(充分)히 공급(供給)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였다.

  • PDF

클로탈라리아 시들음병을 일으키는 Fusarium udum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Fusarium udum Causing Fusarium Wilt of Sunn Hemp in Korea)

  • 최효원;홍성준;홍성기;이영기;김점순
    • 한국균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58-68
    • /
    • 2018
  • 클로탈라리아는 국내에서 토양개량을 위한 질소고정, 토양침식 감소, 잡초 및 선충 억제를 위해 풋거름작물로 이용하고 있다. 2014년, 클로탈라리아를 풋거름작물로 재배하는 완주 지역의 포장에서 시들음 증상이 관찰되었다. 감염된 식물체의 잎은 아래잎부터 황화 되면서 시들기 시작하였고, 위쪽 잎도 황화 되었으며, 결국 식물체는 완전히 고사하였다. 감염된 식물체 줄기에서 어두운 색의 자낭각이 다수 관찰되었고, 이 자낭각으로부터 자낭포자를 단포자 분리하여 6개 균주를 분리하였다. 균학적 특성에 의해 분리균은 Fusarium udum(완전세대: Gibberella indica)로 동정되었다. 대형포자의 정단세포는 대부분 갈고리 모양으로 굽어 있고, 소형포자는 단경자에서 false head 상으로 형성되었다. 후벽포자는 균사에서 단일 혹은 무리지어 풍부하게 형성되었다. 이와 같은 동정 결과는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 alpha(TEF), calmodulin (CAL), histone 3 (HIS3)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으로 재확인되었다. 그 결과, 분리 균주는 NCBI GanBank에 등록된 F. udum과 TEF 유전자는 94.4~96.2%, CAL 유전자는 99.7%, HIS3 유전자는 99.6~99.8%의 상동성을 보였다. 클로탈라리아와 두 품종의 콩을 대상으로 포자현탁액을 토양에 관주 접종하여 병원성 검정을 수행한 결과, 접종 14~21일 이내에 접종한 클로탈라리아와 태광콩에서 병징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이 병을 F. udum에 의한 클로탈라리아 시들음병으로 명명하고자 제안하며, 국내에서 처음으로 보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