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ld life

검색결과 1,082건 처리시간 0.032초

Metagenomic Analysis of the Fecal Microbiomes of Wild Asian Elephants Reveals Microflora and Enzymes that Mainly Digest Hemicellulose

  • Zhang, Chengbo;Xu, Bo;Lu, Tao;Huang, Zunxi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8호
    • /
    • pp.1255-1265
    • /
    • 2019
  • To investigate the diversity of gastrointestinal microflora and lignocellulose-degrading enzymes in wild Asian elephants, three of these animals living in the same group were selected for study from the Wild Elephant Valley in the Xishuangbanna Nature Reserve of Yunnan Province, China. Fresh fecal samples from the three wild Asian elephants were analyzed by metagenomic sequencing to study the diversity of their gastrointestinal microbes and cellulolytic enzymes. There were a high abundance of Firmicutes and a higher abundance of hemicellulose-degrading hydrolases than cellulose-degrading hydrolases in the wild Asian elephants. Furthermore, there were a high abundance and a rich diversity of carbohydrate active enzymes (CAZymes) obtained from the gene set annotation of the three samples, with the majority of them showing low identity with the CAZy database entry. About half of the CAZymes had no species source at the phylum or genus level. These indicated that the wild Asian elephants might possess greater ability to digest hemicellulose than cellulose to provide energy, and moreover, the gastrointestinal tracts of these pachyderms might be a potential source of novel efficient lignocellulose-degrading enzymes. Therefore, the exploitation and utilization of these enzyme resources could help us to alleviate the current energy crisis and ensure food security.

고품질 산머루 와인 제조를 위한 Tannin 강화 조건 확립 (Establishment of Tannin Enhancement Conditions for Development of High Quality Wild Grape Wine)

  • 박미화;이정옥;김은정;김종원;이효형;김희훈;이상인;김영훈;류충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7호
    • /
    • pp.921-926
    • /
    • 2008
  • 국내산 산머루 와인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와인의 맛을 결정하는 중요한 기능성 인자인 tannin 성분을 강화시키기 위한 조건을 확립하고 tannin이 강화된 산머루 와인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산머루 와인용 tannin을 강화하기 위한 최적 tannin 추출 조건은 녹차를 $40^{\circ}C$에서 주정으로 추출하는 것이 가장 높은 추출율을 나타내었다. 고품질 tannin 강화 산머루 와인 제조를 위한 tannin 첨가 최적 농도는 6.5 mg/mL이며 산머루 와인 발효 전에 첨가하는 것이 효율적으로 생각되어 산머루 와인 제조 시 발효 전 최종 tannin 농도를 6.5 mg/mL로 조절하여 발효하였다. 최적 발효 조건으로 제조된 tannin 강화 산머루 와인의 pH, 산도, 알코올 함량, 총당, polyphenol, tannin 및 resveratrol 함량을 측정하고 수입 와인 3종과 품질 특성을 비교한 결과, tannin 강화 산머루 와인은 pH $3.69{\pm}0.01$, 산도 $0.96{\pm}0.01%$, 알코올 함량 $12.20{\pm}0.01%$, 총당 $60.00{\pm}1.15\;mg/mL$, polyphenol 함량 $79.50{\pm}0.55\;mg/mL$, tannin 함량 $7.40{\pm}0.05\;mg/mL$ 및 resveratrol 함량 $5.00{\pm}0.11\;mg/mL$로 기능성 물질 함량이 매우 높아 품질이 우수하고 단맛, 떫은맛과 산머루 자체의 강한 신맛이 균형을 이룬 산머루 와인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에서 검색된 조건으로 tannin을 추출하여 산머루 와인의 tannin을 강화함으로써 기존의 산머루 와인에 비해 단맛과 떫은맛이 강화되었으며, 머루 자체의 강한 신맛과 잘 어우러 져 고급 와인의 평가 기준이 되는 단맛, 떫은맛, 신맛이 적절하게 균형을 이룬 고품질의 산머루 와인을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산머루 와인의 최적 발효조건 및 품질특성 (Optimization of Fermentation Process and Quality Properties of Wild Grape Wine)

  • 김은정;김영훈;김종원;이효형;고유진;박미화;이정옥;김영숙;하영래;류충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366-370
    • /
    • 2007
  • 산머루를 이용한 와인 발효를 위하여 거봉, 머스컷베리에이, 산머루의 과피와 과육에서 20종의 야생 효모를 분리하여 알코올 내성과 발효능이 우수한 4종의 균주를 산머루 와인 발효용 우량 종균으로 선별하였다. 산머루 와인 발효를 위한 최적 초기당도와 최적발효온도를 검토한 결과, 산머루액의 초기당도를 $24^{\circ}Brix$로 조절하고 $24^{\circ}C$에서 발효했을 때 최종 알코올 함량이 1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단맛, 신맛 및 색깔이 우수하고 기호도가 우수하여 산머루 와인 발효를 위해 산머루액의 초기당도를 $24^{\circ}Brix$로 조절하여 $24^{\circ}C$에서 발효하는 것이 가장 적합할 것이라 생각된다. 최적발효조건으로 제조된 산머루 와인의 품질특성을 분석한 결과, 산머루 와인의 pH는 3.59, 산도는 0.95%, 알코올 함량은 12.0%이었으며, 아미노산도는 1.80 mg/mL로 시판 포도 와인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산머루 와인의 총당 함량은 50 mg/mL로 시판 포도 와인에 비해 높으나 산머루의 신맛을 감화시켜주므로 와인의 맛을 더욱 부드럽게 해 줄 것으로 사료된다. 항산화, 항당뇨 등의 기능성을 가지는 polyphenol 함량은 산머루 와인에서 25.30 mg/mL, tannin 함량은 1.88 mg/mL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검색된 조건으로 산머루 와인을 제조함으로써 발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polyphenol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신맛과 단맛이 적절히 조화되어 품질이 향상된 산머루 와인을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경상남도 농경지에서 멧돼지에 의한 피해 경향 분석 (An Analysis on Aspects of Farm Lands Damaged by the Wild Boar (Sus scrofa) in Gyeongnam Province, Korea)

  • 김슬옹;권관익;김태수;고현서;장갑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17-27
    • /
    • 2014
  • Wild boars are one of the major wild life animals of which the number has increased a lot because there has been any predator and/or competitor in the Korean ecosystem. The increase of their number was a cause damaging crops in farm lands during the growing season in South Korea. This study was done to recognize the spatial pattern of farm lands damaged by wild boars. Totally 2,342 farms were known damaged by wild boars in 2012, and used to statistically analyze the perspectives of the farm land damages by wild boars in ArcMap v. 9.3. Damages by wild boars frequently happened in the western part of Gyeongnam Province including Jinju city, Tongyoung city and Namhae county. Most farm lands damaged were located nearby large mountains in this area. It might cause the number of wild boars increased in this area, which could finally stimulate the increase of farm land damaged by the species. Farm land damages by wild boars were also coincident with the preference of wild boars on their food. They preferred crops (e.g., sweet potato and corn) in uplands and rice paddies and orchards. The reason of their preference on rice, upland crops and fruits was related to the efficiency of their getting much more energy in a unit area. Another reason for the species to come into a rice paddy would be that they enjoy mud bath in there for scraping off parasites such as ticks and lice. Wild boars were seemed much overcrowded during the period from July to October when most of crops and fruits get ripen. About three-quarters of total farm land damages happened in this period. This analysis also said that 1,915 fields (81.8% of total targets) appeared within the 100-meter buffer from boundaries of mountain areas. This meant that wild boars were more sensitive to the anthropogenic land uses than we expected. They seemed to conservatively try their feeding activities in farm lands with paying attention to the human activity.

The Robust Phylogeny of Korean Wild Boar (Sus scrofa coreanus) Using Partial D-Loop Sequence of mtDNA

  • Cho, In-Cheol;Han, Sang-Hyun;Fang, Meiying;Lee, Sung-Soo;Ko, Moon-Suck;Lee, Hang;Lim, Hyun-Tae;Yoo, Chae-Kyoung;Lee, Jun-Heon;Jeon, Jin-Tae
    • Molecules and Cells
    • /
    • 제28권5호
    • /
    • pp.423-430
    • /
    • 2009
  • In order to elucidate the precise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Korean wild boar (Sus scrofa coreanus), a partial mtDNA D-loop region (1,274 bp, NC_000845 nucleotide positions 16576-1236) was sequenced among 56 Korean wild boars. In total, 25 haplotypes were identified and classified into four distinct subgroups (K1 to K4) based on Bayesian phylogenetic analysis using Markov chain Monte Carlo methods. An extended analysis, adding 139 wild boars sampled worldwide, confirmed that Korean wild boars clearly belong to the Asian wild boar cluster. Unexpectedly, the Myanmarese/Thai wild boar population was detected on the same branch as Korean wild boar subgroups K3 and K4. A parsimonious median-joining network analysis including all Asian wild boar haplotypes again revealed four maternal lineages of Korean wild boars, which corresponded to the four Korean wild boar subgroups identified previously. In an additional analysis, we supplemented the Asian wild boar network with 34 Korean and Chinese domestic pig haplotypes. We found only one haplotype, C31, that was shared by Chinese wild, Chinese domestic and Korean domestic pigs. In contrast to our expectation that Korean wild boars contributed to the gene pool of Korean native pigs, these data clearly suggest that Korean native pigs would be introduced from China after domestication from Chinese wild boars.

Analysis of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of Wild Strains and Cultivars Using Genomic SSR Markers in Lentinula edodes

  • Lee, Hwa-Yong;Moon, Suyun;Ro, Hyeon-Su;Chung, Jong-Wook;Ryu, Hojin
    • Mycobiology
    • /
    • 제48권2호
    • /
    • pp.115-121
    • /
    • 2020
  • In this study, the genetic diversity and the population structure of 77 wild strains and 23 cultivars of Lentinula edodes from Korea were analyzed using 20 genomic SSRs, and their genetic relationship was investigated. The tested strains of L. edodes were divided into three sub-groups consisting of only wild strains, mainly wild strains and several cultivars, and mainly cultivars and several wild strains by distance-based analysis. Using model-based analysis, L. edodes strains were divided into two subpopulations; the first one consisting of only wild strains and the second one with mainly cultivars and several wild strains. Moreover, AMOVA analysis revealed that the genetic variation in the cultivars was higher than that in the wild strains. The expected and observed heterozygosity and values indicating the polymorphic information content of L. edodes cultivars from Korea were also higher than that of the wild strains. Based on these results, we presume that the cultivars in Korea have developed by using numerous strains from other countries. In conclusion, the usage of wild strains for the development of new cultivars could improve the adaptability of L. edodes to biotic and abiotic stress.

한국, 일본 및 중국 지린성 야생콩(Glycine soja Sieb. and Zucc.)의 SSR마커에 의한 유전적 다양성과 유연관계 (Genetic diversity and relationships of Korean, Japanese, and Chinese Jilin provincial wild soybeans (Glycine soja Sieb. and Zucc.) based on SSR markers)

  • 장성진;박수정;박향민;송항림;황태영;조용구;유헌호;우선희;강정훈;김홍식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87-99
    • /
    • 2010
  • 한국의 농업유전자원센터로부터 분양받은 한국 야생콩, 일본의 Biological Resource Center in Lotus and Glycine, Frontier Science Research Center, University of Miyazaki로부터 분양 받은 일본 야생콩, 그리고 중국 지린성에서 수집되어진 야생콩 의 유전적 다양성과 유연관계를 SSR마커로 분석하여 콩 육종의 유전적 변이 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수행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한국 야생콩 67종, 일본 야생콩 71종 및 중국 지린성의 야생콩 46종을 포함한 총 184종을 23개의 SSR마커로 유전적 다양성과 유연관계를 분석한 결과, 총 964개의 대립인자가 확인되었고, 평균 41.9개의 대립인자가 확인되었다. SSR마커별로 대립인자 수는 최소 23개(Satt635)에서 최대 56개(Satt157)까지 확인되었으며, PIC 값의 범위는 0.880~0.968로 평균 0.945이었다. 2. 한국 야생콩은 대립인자의 수는 총 513개이었고 평균 22.3개 이었으며, 일본 야생콩은 대립인자의 수는 총 511개이었고 평균 22.2개이었으며, 중국 지린성 야생콩의 대립인자의 수는 총 312개 이었으며 평균 13.6개이었다. 평균 유전적 다양성(PIC 값)은 한국 야생콩이 0.905, 일본 야생콩이 0.897 및 중국 지린성의 야생콩이 0.850로서 큰 차이가 없었다. 3. 한국, 일본 및 중국 지린성의 야생콩들은 SSR마커를 이용한 유전적 거리에 따른 군집분석에서 3그룹으로 구분되었다. I그룹은 중국 지린성의 야생콩만이 분포하였고, II그룹은 대부분이 일본의 야생콩이 분포하였는데 한국의 야생콩 5종이 포함되었으며, III그룹은 대부분이 한국의 야생콩이 분포하였으며 일본의 야생콩 6종과 중국 지린성의 야생콩 1종이 포함되었다. I그룹은 동일그룹 내에서 다른 군이 형성되지 않았으나, II그룹과 III그룹은 동일그룹 내에서 각각 몇 개의 군으로 분류되었다. 4. SSR마커에 의한 유연관계는 한국과 일본의 야생콩 간의 유전적 거리가 한국과 중국 지린성 및 일본과 중국 지린성의 야생콩 간의 유전적 거리보다 더 가까웠다.

LM콩과 야생콩인 돌콩의 교잡후대종 종자의 특성 평가 (Characterization of Soybean Hybrid Seeds Resulted from Natural Hybridization between LM Soybean and Wild Soybean)

  • 박해림;육민정;김도순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5권4호
    • /
    • pp.196-202
    • /
    • 2016
  • 국내에는 야생콩이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LM콩으로부터의 야생콩으로 유전자 이동으로 인한 교잡후대종에 관한 연구는 국내 콩 다양성 보전과 LMO 안전관리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LM콩과 일년생 야생콩인 돌콩의 교잡후대종 종자의 형태적 및 발아 휴면특성을 평가하여 교잡후대종의 잡초화 가능성을 예측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교잡 1세대의 경우 형태적으로 돌콩과 매우 유사하며, 발아휴면특성 또한 모본인 돌콩과 유사하여 휴면성이 매우 클 것으로 예측된다. 교잡 2세대 종자는 형태적 특성과 발아휴면특성이 부모종의 중간적인 특성을 지니며 모본인 돌콩에 보다 근접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F2의 휴면율은 65.5%에 달할 정도로 매우 높아 잡초화 가능성을 시사한다. 국내 농업환경에서 교잡후대종이 잡초화 되려면 11월 이후에 탈립된 종자가 토양 중에서 월동하여 종자 활력을 유지하고, 휴면이 타파된 후 발아하여 자연 생태계에서 다른 재배종 및 야생종들과 경합하여 생존 및 세대진전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LM콩 및 야생콩 간 교잡후대종의 명확한 잡초화 가능성은 종자의 월동성, 생육특성 및 종자생산성 평가 등을 추가적으로 수행하여 다각적인 측면에서 면밀히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머루즙과 머루주의 이화학적 분석 및 항산화 효과 (Physicochemical Analysis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Wild Grape (Vitis coignetiea) Juice and Its Wine)

  • 최선영;조현소;김행자;류충호;이정옥;성낙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11-317
    • /
    • 2006
  • 머루의 기능성 식품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머루즙과 머루주를 80% ethanol로 추출하여 이화학적 분석과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머루즙과 머루주의 수분 함량은 70% 이상이었고, 총 안토시아닌은 머루주보다 머루즙에서 약 4배, 플라보노이드는 약 10배 정도로 높게 정량되었다. 구성 아미노산은 총 11종이 분석되었으며, 그 함량은 머루즙에서는 glutamic acid (43.7${\pm}$l.4 mg/100 g) 그리고 머루주에서는 threonine(14.7${\pm}$0.7 mg/100 g)이 가장 높게 정량되었다. 정량된 10종의 무기물 중 K의 함량이 머루즙과 머루주에서 44.1${\pm}$2.0 mg/100 g, 44.8${\pm}$3.1 mg/100 g으로 가장 많았다. 항산화 효과를 실험한 결과, 시료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자 공여능과 환원력은 유의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머루즙과 머루주를 농도별로 첨가하여 아질산염 소거 작용을 실험한 결과 낮은 pH에서 농도가 증가할수록 활성이 증가하여 1,000 ${\mu}$g/ml의 처리구의 머루즙과 머루주에서 각각 79.6${\pm}$1.27% 및 72.8${\pm}$1.01%의 소거능을 보였다.

머루 발효주의 제조 및 품질 특성 (Manufacture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Wild Grape Wine)

  • 조창호;송정화;이은나;이종수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37-44
    • /
    • 2008
  • 새로운 기능성 과실주 개발의 일환으로 영동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는 야생 머루를 이용하 머루 발효주를 제조하여 이들의 품질특성과 생리기능성을 조사하였다. 머루 발효주의 에탄올 함량은 11.0% 이었고 총산함량과 휘발산 함량은 각각 0.63%와 0.0402%이었다. 또한 총 기호도는 신맛이 살아있고 단맛이 적어 우수하였고 노화억제에 관련된 항산화 활성이 41.6% 로 우수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머루 발효주는 품질이 우수한 과실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