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ld animals

검색결과 328건 처리시간 0.024초

소아청소년에서 공수병 예방접종 및 교상 후 조치 현황: 최근 5년간 국립중앙의료원에서의 경험 (Five Year Experience of Preexposure and Postexposure Rabies Prophylaxis in Korean Children at the National Medical Center)

  • 노진철;박향미;박종현;원연경;이창휴;김재윤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0권1호
    • /
    • pp.9-16
    • /
    • 2013
  • 목 적 : 본 연구는 국립중앙의료원 단일기관에서 경험한 공수병 예방접종 및 교상 후 조치 현황에 대하여 기술하고 최근의 국외 및 국내 공수병 예방조치 지침과 비교하여 적절한 교상 후 조치가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방 법 : 2006년 11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공수병 예방접종 및 교상 후 조치를 위해 국립중앙의료원에 내원한 만 18세 이하 41명을 대상으로 하여 의무기록을 검토하여 나이, 성별, 상처부위, 물린 동물 종류, 물린 지역, 발생일로부터 내원일까지의 기간, 공수병 예방접종 및 면역글로불린 접종 실시 여부 등을 조사하였다. 결 과 : 연구기간 중 공수병 예방접종 및 교상 후 조치를 위해 본원에 방문한 만 18세 이하 소아는 41명이었고 교상 전 예방접종을 위해 내원한 소아 11명, 교상 후 예방조치를 위해 내원한 소아 30명이었다. 연령분포를 보면 6세 이후(83.3%)가 많았다. 물린 동물은 개에 의해 가장 많이 발생하여 전체 교상환자 30명 중 27명(90%)을 차지했다. 물린 부위는 다리(9명, 30%), 손(8명, 26.7%)에 많이 물렸다. 교상부위가 미파악된 경우는 전체 교상환자 30명 중 7명(23.3%)이었다. 전체 교상환자 중에서 동물에 대한 광견병 백신 접종을 받았는지 안 받았는지를 알 수 있는 경우는 30명중 10명이었고 이중 4명이 광견병 백신을 접종받은 동물에 의해 교상을 당하였다. 동물의 광견병 백신접종 여부에 따라 교상 후 치료형태를 나누어 보면 광견병 백신을 접종 받은 동물에 의한 교상환자 4명 중 1명(25%)이 상처소독 등의 1차적인 응급조치만 행해졌고 나머지 3명(75%)은 교상 후 조치(교상 후 조치 완료)를 받았다. 반면에 야생동물을 포함하여 광견병 백신접종을 받지 않았거나 백신접종 이력이 불명확한 동물에 의한 교상환자 26명중 9명(34.6%)이 응급조치만 하였으며 나머지 17명(65.4%)은 교상 후 조치 미완료 또는 교상 후 조치를 완료하였다. 결 론 : 이러한 결과는 야생동물을 포함하여 광견병 백신접종을 받지 않았거나 광견병 백신접종 이력이 불명확한 동물에 의한 교상환자에게 교상 후 조치를 실시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적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앞으로 국내에서 공수병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먼저 공수병 예방 및 관리 지침에 따른 교상 후 조치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필요하며 교상환자, 해당동물 및 교상지역에 관한 정보를 정확히 기록해야한다.

  • PDF

우리나라 중서부지역 논 습지에 서식하는 무미 양서류의 서식처 특성 - 대호간척농지의 영농방법 중심으로 - (Habitat Characteristics of Anuran Species Inhabiting Rice Fields of Western Mid-South Korea - In the Case of Daeho Reclamation Agricultural Land by Farming Practices -)

  • 유나경;도민석;남형규;최그린;손석준;유정칠
    • 생태와환경
    • /
    • 제52권4호
    • /
    • pp.366-377
    • /
    • 2019
  • 논 습지는 다양한 야생동물들의 주요 서식공간으로, 급격한 개발 및 환경 변화로 인해 논에 서식하는 야생동물의 생물 다양성 보전에 위협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해안에 위치한 논 습지를 이용하는 무미 양서류의 서식지 이용 특성을 규명하고자 2018년 3월부터 10월까지 당진시 대호 간척 농지에 서식하는 양서류의 풍부도와 서식 환경을 바탕으로 종들에게 영향을 끼친 주요 환경 요인을 파악하고, 서식지 이용 특성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조사지역에서는 금개구리(Pelophylax chosenicus)를 포함하여 참개구리 (P. nigromaculatus)와 청개구리 (Hyla japonica)의 서식이 확인되었다. 3종에 영향을 끼치는 환경 요인으로 기온과 습도, 수심, 미소 서식지로 확인되었고, 청개구리는 수온에 영향을 받고 있었으며, 금개구리는 벼의 길이와 농법의 유형에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3종은 모두 기온과 습도, 수심이 증가할수록 개체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모내기한 필지를 가장 많이 이용했으며, 번식 시기에는 미소 서식지 요인 중 필지를 가장 선호하고 있어 조사지역이 3종의 주요 번식지로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금개구리는 관행에 비해 친환경 농지에서 더 많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포식자와 제초작업으로 인한 주변 환경의 차이로 인한 원인으로 보인다. 본 연구를 통해 논에 서식하는 무미 양서류 3종이 선호하는 환경 요인은 종에 따라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는 무미 양서류 보전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목표종 생태통로의 위치선정 -포유류 Road-kill 현장조사를 중심으로- (Eco-corridor Positioning for Target Species - By Field Surveying of Mammals' Road-Kill -)

  • 이용욱;이명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51-58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presents a method to position and makes the structure for eco-corridors reasonably with collectable analysing results of various effects shown in mammals' road-kill at 429 points. Target animals of this research are Leopard cat, Siberian weasel, Raccoon dog, Korean hare, Eurasian red squirrel, Siberian chipmunk and Water deer.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empirical analysis on the contents above are followed.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as for Leopard cat road kill analysis, which is designated as Endangered Species Class II, the eco-corridor might be located at near village having stead food in order to decrease the frequencies of road-kill, because its road kill points were mainly collected at 4 lane hilly road with mountain-road-farm area geological type of. Second, because Siberian weasel's road kill was detected at 2 lane hilly road with mountain-road-stream geological type, the eco-corridor might be located at near a mill to decrease road-kill frequencies. Third, the road-kill frequency of Eurasian red squirrel can be reduced when the eco-corridor is located at the area across coniferous tree near 4 lane west sea freeway with mountain-road-mountain. Fourth, the road-kill of Raccoon dog can be reduced when the eco-corridor is located at 4 lane mountain road or hilly road with the geological type having farm land-road-mountain(stream). Fifth, Korean hare's road-kill can be reduced when the eco-corridor is located at grass land across ridge line of mountain, because wild rabbit road kill was happened at 4 lane mountain road or 2 lane mountain road(mountain-road-mountain). Sixth, As for Siberian chipmunk, the eco-corridor might be located at the side slope of mountain road at 2 lane mountain road under the speed of 60km/h with mountain-road-mountain. Seventh, For Water deer, the eco-corridor might be located at 4 lane hilly road with mountain-road-farm land. As for Common otter, Amur hedgehog, Yellow-throated marten, Weasel, it is difficult to specify the proper site of eco-corridor due to the lack of data. Eco-corridors for carnivores might be well located at 4 lane hilly road or 2 lane hilly road with mountain-road-farm land, and the track for herbivores might be well located as a overhead bridge on mountain-road-mountain type across mountains. In order to position eco-corridors for wildlife properly, we have to research animal's behavior with ecological background, and to consider the local uniqueness and regularly collect the empirical road-kill data in long term 3 to 5 year, which can be the foundation for the more suitable place of wild life eco-corridors.

구름버섯의 형질전환체 Trametes versicolor MrP1에 의한 Phenanthrene의 생분해 (Biodegradation of Phenanthrene by Transformant Trametes versicolor MrP1)

  • 최윤성;최형태;송홍규
    • 미생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73-278
    • /
    • 2007
  • 난분해성과 독성을 나타내고 인간에게 돌연변이와 암을 유발한다고 알려진 다핵방향족 탄화수소를 대상으로 분자적 방법을 이를하여 개발한 백색부후균 형질전환체와 야생형균주의 최적 생분해조건에서의 생분해능을 비교하였다. 구름버섯 Trametes versicolor와 그것의 형질전환체 T. versicolor MrP1의 phenanthrene 생분해는 veratryl alcohol과 tryptophan을 첨가한 pH 6.0의 약산성 배지에서 $30^{\circ}C$로 진탕배양할 때 최적의 생분해능을 나타내었으며 형질전환체와 야생형균주 대조군의 최적조건은 유사하였다. 조사된 최적조건의 최소배지에서 20일간 배양하였을 때 T. versicolor MrP1이 대조군에 비해 31% 더 높은 phenanthrene 분해능을 나타냈다. 실제 토양 환경을 대상으로 한 생분해 실험에서도 형질전환체가 우수한 phenanthrene 분해능을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형질전환체를 이용한 새로운 균주의 개발이 환경에 존재하는 난분해성 물질의 분해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인터루킨-4를 발현하는 재조합 백시니아 바이러스에 의한 암성장의 억제 (Effective Antitumor Activity of a Recombinant Vaccinia Virus Expressing Murine Interleukin 4)

  • 윤기정;김영일;김선영
    • 대한바이러스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71-78
    • /
    • 1998
  • Vaccinia virus is the prototype orthopoxvirus that has been used as a vaccine strain for small pox. This virus has been used to express a variety of cellular and viral genes in mammalian cells at high levels. Interleukin-4 (IL-4) has been found to stimulate the proliferation of T cells and enhance the cytolytic activity of cytotoxic T lymphocytes. To test the immunotherapeutic potential of IL-4 delivered in vivo by poxvirus, a recombinant vaccinia virus expressing the murine IL-4 gene (RVVmIL-4) was constructed. A high level of IL-4 production was confirmed by infecting HeLa cells and measuring IL-4 in cell culture supernatant by ELISA. As a tumor model, two cell lines were used; the murine T leukemic line P388 and the murine breast cancer line TS/A. CDF1 mice were intraperitoneally inoculated with $1\;{\times}\;10^5$ cells of P388. Mice were injected at the same site with $5\;{\times}\;10^5\;PFU$ of recombinant vaccinia virus; first, 3 days after the injection of tumor cells and thereafter once every week for 3 weeks. Intraperitoneal injections of RVVmIL-4 significantly prolonged the survival time of mice inoculated with tumor cells. All mice injected with RVVmIL-4 remained alive for 30 days after the postinoculation of tumor cells, while 100% and 70% of the animals injected with saline or wild type vaccinia virus died, respectively. In another tumor model using TS/A, tumor was established by subcutaneously inoculating $2{\times}10^5$ tumor cells to BALB/c mice. After tumor formation was confirmed on day 4 in all mice, $5\;{\times}\;10^6\;PFU$ of RVVmIL-4 was inoculated subcutaneously three times, once every week for 3 weeks. The TS/A tumor was eradicated in two of the nine mice. Seven of the nine mice treated with RVVmIL-4 developed a tumor, but tumor growth was significantly delayed compared to those treated with saline or wild type vaccinia viru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ecombinant vaccinia viruses may be used as a convenient tool for delivering immunomodulator genes to a variety of tumors.

  • PDF

제주도에서 채집된 Rattus norvegicus와 R. tanezumi의 서식지 유형과 형태적 특성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Habitat Types of Rattus norvegicus and R. tanezumi Collected in Jeju Island)

  • 김태욱;주상민;오아름;박소진;한상현;오홍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50-560
    • /
    • 2013
  • 한국산 집쥐속(Rattus)에 속하는 동물들을 2005년 4월부터 2012년 10월까지 제주도의 각처에서 채집하여 형태학적, 유전학적 종 동정과 형태적 특성, 2차 성적이형, 서식지 유형 등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제주도에서 포획된 Rattus 속 야생쥐들은 Rattus norvegicus와 R. tanezumi로 확인되었고, R. rattus는 확인되지 않았다. R. norvegicus는 제주도 내 각처에서 특히, 주택 밀집지역의 인가 내-외부에서 채집되었고, 일부는 자연환경인 해안이나 경작지, 산림에서 관찰되기도 하였다. R. tanezumi는 동물 사육 농장의 내외부에서만 확인되었다. 형태적 특성으로 R. norvegicus는 꼬리길이(TL)와 귀의 길이(EL)가 R. tanezumi에 비해 짧고, 이들 형질의 머리-몸통 길이의 비율인 T_HR, E_HR 등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인구밀집 지역인 도심과 농촌 지역의 R. norvegicus와 개체군 사이에서는 도심지역 개체군의 체중이 더 무거운 것으로 확인되었다(p<0.05). R. norvegicus에서는 2차 성적이형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R. tanezumi는 암컷이 수컷에 비해 더 무거운 것으로 나타났다(p<0.05). 현재까지 보고된 연구결과와는 다소 다른 종의 분포와 서식환경을 보여주고 있는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추가연구를 통해 제주도와 한반도 포유류상의 재검토와 함께 서식지 분포 양상과 생태적 특성 등을 명확하게 구명해야함을 시사하고 있다.

반달가슴곰 서식환경 개선을 위한 지리산 국립공원 파편화 분석 (The Analysis of fragmentation on the Jirisan National Park for the Improvement of Asiatic Black Bear's habitat environment)

  • 배제선;오충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14
    • /
    • 2021
  • The Ministry of Environment of Korea has been releasing Asiatic black bears since 2004 at Jirisan National Park. It exceeded the target number of Asiatic black bears in 2018. As of July 2020, in addition to 67 traceable bears, many Asiatic black bears are dispersed outside Jirisan National Park. Jirisan National Park is a very dense place with more than 3 million visitors every year. In this study, the roads and trails through Jirisan National Park were considered to be the main dispersion factors of Asiatic black bears, and the fragmentation analysis was conducted. As of July 2017, the length of roads and trails in Jirisan National Park was 363.4km. Based on this, Jirisan National Park was fragmented into 163 patches. There is only one place that maintains a single area of more than 50㎢ that is suitable for large mammals to inhabit, and 141 places are less than 5㎢. There are 6 patches of 24 to 200㎢ area suitable for living of large mammals including Asiatic black bears, in Jirisan National Park. Compared to the announcement made by th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in 2014, activities of Asiatic black bears were rare in areas below 5㎢ area and the frequency of activities was high in more than 20㎢ area. This shows that human activities in protected areas such as national parks can directly affect the activities of wild animals, including Asiatic black bears. Theref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the habitat of Asiatic black bears by reducing the pressure of visiting for Jirisan National Park.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ragmentation of the park's natural conservation zone 107.7km, 45% of the trail of Jirisan National Park, was opened, which is more fragmentation than other use zones. The park nature conservation zone accounts for about 32% of the total area of Jirisan National Park, but the average patch area is only 2.93㎢ and seven large shelters are located. Therefore the Asiatic black bears are negatively affected. This is the result of inconsistent national park use zone setting and actual park management. In overseas countries, research is active on the negative effects of human activity on ecosystems in protected areas.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f that in Korea. Thus, that research is required for protection area management in the future.

습지보호지역의 습지보전·이용시설 현황에 관한 기초 연구 - 5개 습지보호지역을 대상으로 - (Fundamental Research of Preservation & Utility Facilities in Wetland Protected Area - 5 Wetland Protected Areas were Used as Main Subjects -)

  • 조동길;박용수;심윤진;이지현;이동진;김상혁;차진열;박미영;송유진;남춘희;김종철;문상균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5-43
    • /
    • 2016
  • This research was completed to provide fundamental data regarding the guidelines to installing and managing utility facilities & structures in wetland protected area to advance the functions and sustainable use of ecology services by preserving the ecology within wetland protected area. There were 5 on-site researching areas that were used as the main subject with these areas chosen and considered from 21 inland wetlands that have been designated and are being managed from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by their designated dates as a wetland protected area. The utility facilities in these wetland areas were categorized by their types and a detailed on-site investigation was proceeded with investigation items chosen whereas these facilities are working by their roles from their location, size, used materials, types, information contents and etc., The results showed that regarding informational structures, several locations of information boards were distanced from the main exploring routes which did not consider the visitor's eye level which had their readability dropped and by sunlight, time lapse and water penetration, many information boards were damaged or corrupted so that it was hard to confirm the information noticed or understanding an image. Insufficient observation and educational structures were installed that considered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wild animals and their living conditions. Regarding convenience facilities, there were parking lots that were installed on the fore-land and to decrease non-point solution sources, some parking lots needed to be located in protected lowlands while some facilities' shape and colors did not harmonize with their natural surroundings, creating a sense of awareness, which will need some more consideration. As for safety facilities, they were very insufficient compared to other facilities. This means that additional safety structures are needed so that related personnel can be aware of where a visitor is located when an accident occurs. Protectional facilities strongly needed new structures and a management system to cut off entrances and do surveillance so that visitors do not go into areas outside of the managed areas and bring damages to restricted locations. Research labs needed to expand the use of automatic weather systems and water gauge equipments to build fundamental data regarding floodgates that are intimated to the forming of wetlands. Sensor cameras and other types of monitoring systems are needed to monitor the majority types of animals living in the wetlands as well.

Salmonella typhi의 시스테인 영양요구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동정 및 특성 연구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Genes Involved in Cysteine Auxotrophy in Salmonella typhi)

  • 이상호;김삼웅;유종언;유아영;김영희;오정일;백창호;강호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1호
    • /
    • pp.1507-1512
    • /
    • 2008
  • 오랜 기간 동안의 연구에도 불구하고 사람에 특이적으로 장티푸스를 유발하는 S. typhi는 실험동물을 대상으로 하는 감염모델이 확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S. typhi의 병원성 유발기작에 관한 정보는 부족하다. S. typhi Ty2 균주는 최소배지에서 시스테인의 영양요구성을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시스테인 영양요구성이, S. typhi Ty2 균주가 실험동물에서 균체형성을 하는데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시스테인 영양요구성을 상보할 수 있는 유전자를 찾고자 하였다. S. typhimurium의 genomic library로 형질전환된 S. typhi 균들 중 시스테인을 함유하지 않은 최소배지에서 생육을 하는 3개의 형질전환 균주를 선별하였으며, 이들 중 2개는 S. typhi의 시스테인 영양요구성을 아주 약하게 상보하였고 하나는 명확하게 시스테인의 영양요구성을 상보하였다. 이 클론에 포함되어져 있는 3개의 ORF의 시스테인 영양요구성을 분석한 결과, STM1490을 가진 클론이 S. typhi의 시스테인 영양요구성을 상보하였다. 비록 S. typhi에도 STM1490에 해당하는 유전자가 존재하지만 S. typhimurium의 STM1490에 해당하는 ORF와 비교하였을 때 2개의 아미노산 잔기가 서로 달랐다. 이들의 차이가 시스테인 영양요구성을 보이는 것은 아닌지 확인하기 위해 Overlapping PCR을 통해 S. typhimurium의 STM1490 아미노산(H229Y, C246W)을 치환하였다. 아미노산을 바꾼 돌연변이체도 역시 시스테인 영양요구성을 상보할 수 있어서 아미노산의 차이는 아닌 것을 확인되었으므로 그 외의 다른 인자들이 영양요구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고 후속연구에서 그인자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 국립공원 내 야생동물과 농작물 피해 (Crop Loss Survey by Wildlife in National Parks of Korea)

  • 윤성일
    • 환경생물
    • /
    • 제25권3호
    • /
    • pp.223-227
    • /
    • 2007
  • 산악형 국립공원지역 내에서 일부 야생동물종이 빠르게 증식하고 있다. 규모가 작고 공원 내 1/3이상의 면적이 사유지인 우리나라 국립공원의 특성상 서식동물수의 증가와 함께 이로 인한 농작물 피해도 함께 급증하고 있다. 농작물에 가장 많은 피해를 주는 위해조수종은 멧돼지 (Sus scrofa)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농작물 채식, 농경지 밟음 등이 대표적인 피해유형으로 나타났다. 이외 고라니 (Hydropotes inermis), 너구리 (Nyctereutes procyonoides), 오소리 (Meles meles)등에 의한 피해도 조사되었다. 대부분의 피해작물은 옥수수, 고구마, 배추 등의 밭작물로서 전체 피해작물의 76.9%에 이르고 있다. 야생동물에 의한 피해는 매년 6월경부터 시작되어 11월까지 계속되었으며 이는 산림 내에서 구할 수 있는 먹이원의 수급현황 및 기후조건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피해방제에 대한 자구책으로는 경작지 곳곳에 기피제를 설치하는 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n=54) 발성체 및 허수아비 등을 설치하는 경우가 있었으나 실제 효과는 극히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조사가구의 92.4% (n=187)가 경작면적 1ha이하의 텃밭 수준의 소규모 영농을 하고 있으며 일부 농민들을 제외하고는 피해발생에 대한 민원은 거의 없었다. 이는 야생동물 피해에 대한 법적 제도적 보상체계가 미비되어 있음에 기인하며 객관적인 피해현황 분석기법의 확립과 이를 통한 보상대책과 관리방안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