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hite spot syndrome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5초

2018년 국내 연근해 수산생물의 전염병 모니터링 (Disease monitoring of wild marine fish and crustacea caught from inshore and offshore Korea in 2018)

  • 황성돈;이다원;천원주;전해련;김동준;황지연;서정수;권문경;지환성;김정년;지보영
    • 환경생물
    • /
    • 제37권4호
    • /
    • pp.474-482
    • /
    • 2019
  • 자연수계 수산생물의 전염병 모니터링은 자연수계 및 양식 수산생물의 질병 관련성 및 상관관계 구명은 질병 발생 예방 및 확산 방지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2018년 해구 64개소에서 어류 39종 977마리 및 갑각류 14종 287마리를 선정하여 총 1,264마리에 대하여 병원체 감염 여부를 조사하였다. 어류는 법정전염병 2종(VHS, RSIVD) 및 비법정전염병 3종(MABVD, HRVD, LCD)을 분석하고 갑각류는 법정전염병 6종(WSD, IHHN, TS, IMN, YHD, WTD)을 분석하였다. 조사한 모든 시료에서 전염병이 검출되지 않았지만, 우리나라에서 조사한 자연수계 수산생물이 무병하여 청정국 또는 청정지위 선언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축제식 양식장에서의 대하, 흰다리새우와 황복의 복합양식 (Polyculture of Fleshy Shrimp Fenneropenaeus chinensis and White Shrimp Litopenaeus vannamei with River Puffer Takifugu obscurus in Shrimp Ponds)

  • 장인권;전제천;조국진;조영록;서형철;김봉래;김종식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78-288
    • /
    • 2007
  • 새우양식은 90년대 서해안을 중심으로 빠르게 발달하여 2001년에는 2,605ha의 면적에서 3,268톤이 생산되었으나 2004년에는 2,368톤으로 해마다 감소되고 있다. 이러한 원인 중의 하나는 흰반점바이러스(WSSV)에 의한 대량폐사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흰반점바이러스는 현재 세계적으로 새우양식산업에 심각한 피해를 입히는 바이러스로 우리나라에는 1993년 처음 보고된 후 해마다 새우양식장에 반복적인 대량폐사를 유발시킨다. 축제식 새우양식장의 질병 피해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서 새우와 어류, 패류, 해조류를 함께 복합양식하는 방법이 많은 연구되어 있으며 또한 육식성 어류와의 복합양식은 질병새우를 선택적으로 포식함으로써 새우의 바이러스 발병을 지연 혹은 억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새우양식장에 육식성 어류인 황복 Takifugu obscurus을 복합적으로 사육함으로써 바이러스 억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면적 $1,616{\sim}1,848\;m^2$의 4개 축제식 양식장에 각각 흰다리새우($46.9/m^2$), 흰다리새우($43.4/m^2$)+황복($0.22/m^2$), 대하($24.6/m^2$), 대하($30.3/m^2$)+황복($0.25/m^2$)의 밀도로 입식하고 95일간 사육하였다. 대하 단독구와 복합구는 각각 51일, 57일째 WSSV 발병으로 전량 폐사하였다. 흰다리새우 단독구의 생존율은 18.2%인 반면 복합구의 생존율은 32.4%이며 단위생산량은 단독구에 비해 69.2%가 높아 흰다리새우는 황복과 복합양식이 단독양식에 비해 훨씬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육수의 영양염(TAN, $NO_2-N,\;NO_3-N$) 농도는 복합구가 단독구에 비해 2배 이상 높았으나 전체적으로 새우의 성장에 적정범위를 유지하였다. 대하는 흰다리새우에 비해 WSSV에 대한 감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대하와의 복합양식은 이러한 점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Expression Profiling of WSSV ORF 199 and Shrimp Ubiquitin Conjugating Enzyme in WSSV Infected Penaeus monodon

  • Jeena, K.;Prasad, K. Pani;Pathan, Mujahid Khan;Babu, P. Girees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8호
    • /
    • pp.1184-1189
    • /
    • 2012
  • White spot syndrome virus (WSSV) is one of the major viral pathogens affecting shrimp aquaculture. Four proteins, WSSV199, WSSV 222, WSSV 249 and WSSV 403, from WSSV are predicted to encode a RING-H2 domain, which in presence of ubiquitin conjugating enzyme (E2) in shrimp can function as viral E3 ligase and modulate the host ubiquitin proteasome pathway. Modulation of host ubiquitin proteasome pathway by viral proteins is implicated in viral pathogenesis. In the present study, a time course expression profile analysis of WSSV Open Reading Frame (ORF) 199 and Penaeus monodon ubiquitin conjugating enzyme (PmUbc) was carried out at 0, 3, 6, 12, 24, 48 and 72 h post WSSV challenge by semi-quantitative RT-PCR as well as Real Time PCR. EF1${\alpha}$ was used as reference control to normalize the expression levels. A significant increase in PmUbc expression at 24 h post infection (h.p.i) was observed followed by a decline till 72 h.p.i. Expression of WSSV199 was observed at 24 h.p.i in WSSV infected P. monodon. Since the up-regulation of PmUbc was observed at 24 h.p.i where WSSV199 expression was detected, it can be speculated that these proteins might interact with host ubiquitination pathway for viral pathogenesis. However, further studies need to be carried out to unfold the molecular mechanism of interaction between host and virus to devise efficient control strategies for this chaos in the shrimp culture industry.

금강 하구 자연수계 생물체의 군집 분석 및 질병 원인체 검사 (Community Analysis and Pathogen Monitoring in Wild Cyprinid Fish and Crustaceans in the Geum River Estuary)

  • 김소연;허준욱;차승주;박명애;최혜승;권준영;권세련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48-253
    • /
    • 2018
  • Freshwater farms are primarily located adjacent to rivers and lakes, facilitating the introduction and spread of pathogens into natural system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monitor natural aquatic organisms, the breeding environment, and infection rates by pathogenic organisms. Fish and crustaceans were sampled 4 times in the Geum River estuary in 2016. The samples were analyzed for the presence of pathogens for reportable communicable diseases, including KHVD (koi herpesvirus disease), SVC (spring viraemia of carp), EUS (epizootic ulcerative syndrome) and WSD (white spot disease); parasite abundance was also examined. The dominant fish species were deep body bitterling Acanthorhodes macropterus (21.4%), followed by skygager Erythroculter erythropterus (12.7%). For crustaceans, Palaemon paucidens and Chinese mitten crab Eriocheir sinensis were dominant. Sixty fish and 36 crustacean species were examined for reportable communicable diseases. When using a specific primer set for each disease, PCR analysis did not detect any reportable communicable diseases in the samples. Some instances of Dactylogyrus, copepods, nematodes and metacercaria were detected. However, the PCR results indicated that the metacercaria were not Clonorchis sinensis.

2016년 소양호에서 채집한 자연산 잉어과 어류와 갑각류의 법정전염병 및 기생충성 질병 모니터링 (Monitoring Pathogen Infection of Freshwater Cyprinid Fish and Crustacean in Soyang Lake in 2016)

  • 문성희;허준욱;차승주;황성돈;손맹현;권준영;권세련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47-53
    • /
    • 2018
  • The presence of pathogens in wild fish is a potential threat to the fish being raised nearby fish farm. Surveillance of these pathogens in the wild is, thus, highly important to keep fish in the farm safe from serious communicable diseases. Fish and crustacean were sampled 4 times at Soyang Lake in 2016. Pathogens for five reportable communicable diseases including KHVD (koi herpesvirus disease), SVC (spring viraemia of carp), EUS (epizootic ulcerative syndrome) and WSD (white spot disease), and parasites were investigated. In Soyang Lake, pale chub Zacco platypus was the most abundant. Forty seven pale chub, 8 Korea piscivorous chub Opsarichthys uncirostris, 3 oily shiner Sarcocheilichthys variegatus wakiyae and 2 crucian carp Cyprinus carassius were investigated for detection of target diseases of fish. Seventeen Caridina denticulata denticulata, 12 Oriental river prawn Macrobrachium nipponense and 1 Chinese mitten crab Eriocheir sinensis were used for detection of WSD. As the result, reportable communicable diseases were not detected in all the freshwater animals. Dactylogyrus was detected in Korea piscivorous chub. Copepoda was also detected in pale chub and Korea piscivorous chub. Metacercaria was detected in the pale chub sampled in September and October. Those were not metacercaria of liver fluke Clonorchis sinensis.

전북지역 도축돈 호흡기질병 조사 (Seasonal survey on the respiratory diseases of slaughtered pigs in Jeonbuk, Korea)

  • 임미나;김철민;박영민;송주태;진재권;조현웅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31-237
    • /
    • 2016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lesion of red internal organs in slaughtered pigs and provided assistant data for pig farms. During March to December 2015, a total of 1,160 lung samples out of 58 herds were collected randomly from pigs slaughtered in Jeonbuk province. In addition, 290 hilar lymph nodes from pig with pneumonic lung lesion (5 samples per herd) were screened for selected viral and bacterial pathogens. Gross lesions of lungs such as swine enzootic pneumonia (SEP), pleuritis, pleuropneumonia, pericarditis and liver white spots were examined. The overall prevalence of SEP was 64.3% (746/1,160). In the analysis of seasonal prevalence, there was an increase of occurrence during the spring months (287/400, 71.8%) and decrease during the fall months (93/200, 46.5%) among the whole herds. The mean number of SEP score per pig was $1.20{\pm}1.28$. The prevalence of pleuropneumonia, pleuritis, pericarditis, and milk spot was 25.5% (296/1,160), 44.1% (512/1,160), 3.8% (44/1,160) and 17.6% (204/1,160), respectively. The most frequent region with lung lesion was diaphragmatic lobes (left 17.1%, right 17.3%). In the detection of viral pathogens by PCR, porcine circovirus type2 (PCV2) was positive in 86.9% (252/290), while 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virus (PRRSV) was not detected, In the case of bacterial pathogens, 50 microorganisms were isolated by PCR and/or microbiological test. The most frequently isolated bacteria was Streptococcus suis (20, 34.4%), followed by Pasteurella multocida (17, 29.3%), Streptococcus spp. (11, 3.4%), Actinobacillus pleuropneumoniae (2, 8.9%).

2021년 서해권역 실내 바이오플락 양식기술(Bioflocs Technology)로 사육한 흰다리새우(Litopenaeus vannamei) 병원체 모니터링 (Monitoring of Pacific Whiteleg Shrimp Litopenaeus vannamei Pathogens Cultured with Biofloc Technology on the West Coast of Korea, 2021)

  • 계현정;김수경;강희웅;정현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133-139
    • /
    • 2023
  • The advantage of biofloc technology (BFT) in aquaculture is in the prevention of pathogenic transmission. In this study, we performed an investigation on viral, bacterial, and microsporidian parasite infections targeting a total of 194 whiteleg shrimp Litopenaeus vannamei reared in seven BFT-farms on the west coast of Korea in 2021. Hepatopancreatic and cuticular epithelium and pereiopods tissues of shrimp were tested for the four pathogens, Enterocytozoon hepatopenaei (EHP), Vibrio parahaemolyticus causing Acute Hepatopancreatic necrosis disease (VPAHPND), white spot syndrome virus (WSSV), and hepatopancreatic parvovirus (HPV). The microsporidian parasite EHP was detected in the hepatopancreatic tissue of BFT whiteleg shrimp in the Ganghwa region, whereas no other pathogenic bacteria or virus was detected on the shrimp in the seven BFT-farms. As a result of bacterial flora in the rearing water of BFT whiteleg shrimp using DNA microbiome technology, V. chemaguriensis and V. alfacsensis were contained at 0.05% and 0.01%, respectively, but no VPAHPND was detected. These findings will serve as a basis for supporting safe BFT-aquaculture of whiteleg shrimp.

한강 하구에 서식하는 수산생물의 법정전염병 및 기생충 감염 조사 (Investigation of Reportable Communicable Diseases and Parasites in Aquatic Organisms Living in the Estuary of the Han River)

  • 김진희;송준영;이정호;허준욱;권세련;권준영
    • 생태와환경
    • /
    • 제52권4호
    • /
    • pp.306-315
    • /
    • 2019
  • 한강 하구는 오염물질과 병원성 미생물의 유입 및 확산 가능성으로 인해 이곳에 서식하는 수산생물에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이 지역 서식 생물에 대한 법정전염병 병원체 감염 여부가 조사된 자료는 찾아보기 힘들다. 본 연구에서는 한강 하구 전류리에 서식하는 수산 생물 중 잉어과 어류와 갑각류를 대상으로 법정전염병(잉어봄바이러스병, SVC; 잉어허피스바이러스병, KHVD; 유행성궤양증후군, EUS; 흰반점병, WSD) 및 기생충의 감염 여부를 조사하였다. 전류리 유역에서 채집된 어류는 잉어과 어류가 가장 많았으며 주연성 어류와 일차 담수어가 같이 관찰되었고, 갑각류는 해산종이 채집되었다. 채집된 잉어과 어류와 갑각류에 대해 PCR을 이용한 법정전염병 검사 결과 이들 질병에 감염된 개체는 없었다. 기생충성 질병 검사 결과 공중보건상 위협요인인 간흡충이 검출되지는 않았지만 일부 어류에서 다른 흡충류의 metacercaria와 nematode, cestode, copepod, 단생충 및 구두충 등의 감염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아직 한강 하구가 주요 수산생물 전염병 병원체에 심각하게 오염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한강의 수질 상태는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수서 생태계에 대한 전염병의 파괴력은 예측하기 힘들 정도로 위험하므로, 지속적인 방역 노력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조사 지역을 전류리뿐만 아니라 이곳보다 상류로 확대하고 조사 개체 수를 늘려서 질병모니터링을 실시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사료급이(oral feeding)에 의한 vaccination을 통한 흰반점바이러스(WSSV)에 대한 재조합단백질 rVP19+28의 백신효능의 확인 (Vaccination of Shrimp (Litopenaeus vannamei) against White Spot Syndrome Virus (WSSV) by Oral Vaccination of Recombinant Fusion Protein, rVP19+28)

  • 응위엔 호아이;김영진;최미란;김성구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8호
    • /
    • pp.1181-1185
    • /
    • 2010
  • 본 연구는 WSSV의 주요 구조단백질인 VP19와 VP28을 모두 포함하는 VP19+28 fusion protein을 제조하여, Litopenaeus vannamei에서 WSSV에 대한 백신으로서의 효능을 평가하고자 수행하였다. VP19와 VP28 유전자를 fusion하여 제작한 VP19+28 유전자를 pET-28a(+) vector에 삽입하고 단일단백질로서 제작된 VP19+28 유전자를 E. coli BL21 (DE3)에서 발현시켰다. 백신실험을 위해 새우에게 2주 동안 실험용 사료를 급이하였으며, 그 후 바이러스액($1{\times}10^2$배로 희석한 WSSV)을 이용하여 새우에게 주사 감염에 의해 in vivo 공격실험(challenge test)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vaccination을 하지 않은 새우들은 감염 후 11일째에 100%의 누적폐사율을 보였으며, host control로써 E. coli BL21을 사용하여 vaccination한 새우들은 감염 후 17일째에 100%의 누적폐사율을 보였다. rVP19, rVP28, rVP19+28을 이용하여 vaccination한 새우들의 경우 감염 후 21일째에 각각 66.7%, 41.7%, 41.7%의 누적폐사율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rVP28과 rVP19+28이 WSSV에 대해 높은 백신효능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감염 후 21일째에 fusion protein rVP19+28과 rVP28의 누적폐사율은 동일하였지만 공격실험기간 동안 폐사율이 rVP19+28을 투여 한 실험군이 낮게 나타나는 것을 보아 WSSV에 대한 새우의 방어효능은 rVP19+28이 더 높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2001년 농작물 병해 발생개황 (Review of Disease Incidence of Major Crops in 2001)

  • 김충희
    • 식물병연구
    • /
    • 제8권1호
    • /
    • pp.1-10
    • /
    • 2002
  • 2001년 기상의 특징은 3월부터 5월까지 계속된 극심한 가뭄과 생육기간 내내 계속된 고온현상 그리고 별다른 태풍의 내습 없이 9, 10월 수확기 맑은날의 지속으로 요약할 수 있다. 벼는 순조로운 기상 때문에 잎, 이삭도열병, 세균성벼알마름병, 흰잎마름병, 잎집무늬마름병의 발생이 예년에 비해 경미하였으나, 감비추진 정책에 의해 생육후기 깨씨무늬병이 발생하여 전국적으로 문제시되었으며 그동안 발생이 적었던 줄무늬잎마름병이 경기, 충청, 호남 서해안지역을 중심으로 많이 발생하였다. 고추는 생육기 비가 많이 왔던 전남북 지역에서 역병 발생이 심하였으며 토마토와 오이는 대부분 예년에 비해 병발생이 적었다. 수박의 경우는 꽃자리 부분이 썩는 푸른곰팡이병이 전국적으로 발생하였으며 CGMMV는 전년에 비해 상당폭 발생면적이 감소하였고 노지재배의 경우 탄저병 발생이 예년에 비해 심하였다. 참외와 딸기도 전년에 비하여 병발생이 경미하였으며 예년에 발생이 많았던 참외의 급성위조증상도 발생이 대폭 감소하였다. 마늘·양파의 흑색썩음균핵병은 봄철의 가뭄과 고온현상으로 병발생의 전년의 절반수준으로 감소하였다. 감자의 풋마름병은 발병포장이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고구마의 덩굴쪼김병도 발생이 감소하였다. 사과의 경우 전반적으로 병 발생이 예년에 비해 경미하였으며 배는 흰가루병이 많이 발생하였다. 맥류의 붉은곰팡이병은 예년처럼 거기 발생이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