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hite dwarf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3초

줄납자루 Acheilognathus yamatsutae Mori(잉어과, 어강)의 두 type (Two Morphotypes in Korean Striped Bitterlins, Acheilognathus yarnutsutae Mori (Cvprinidae, Pisces))

  • Chae, Byung-Soo;Yang, Hong-Jun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49-57
    • /
    • 1994
  • In the course of an investigation on the morphological variation of Korean striped bittering, Acheilognathus vamatsutae Mori, two kinds of morrholoflical types were found. Some morphological characters were compared between them and multivariate analysis was conducted. Since the difference of the barbel length between them was very significant (p < 0.01,1-test), they should be designated as L-and 5-type Hshes: fishes with long barbels and those with should barbels, respectively. Lateral line scales, snout length and prepectoral length showed a tendency that the observation could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p < 0.05, Duncan's multiple range tests. There were no individuals over 70 mm BL in S-type and so S-type fishes were somewhat dwarf than L-type fishes. The two types were also clearly distinguished by multivariate analyses using cluster and discriminant analyses. According to the observation on the four populations of the Naktong River, the blue-green stripe on the body side and the white band on the margin of anal fin in males of S-type fishes were well developed through the year but those of males of L-type fishes completely disappeared or became slender during nonbreedins season as that of females. Of the seven localities surveved, there were no places that the two types cohabit. S-type fishes are limited only in the Kumho and Wichon River of the Naktong River system but L-type fishes are distributed more widely In the Hongchon, Mangvons, Somjin, Mirang and Panbyon River.

  • PDF

Accretion Flow and Raman-scattered O VI and C II Features in the Symbiotic Nova RR Telescopii

  • Heo, Jeong-Eun;Lee, Hee-Won;Angeloni, Rodolfo;Palma, Tali;Di Mille, Francesco
    • 천문학회보
    • /
    • 제43권2호
    • /
    • pp.39.2-39.2
    • /
    • 2018
  • RR Tel is an interacting binary system in which a hot white dwarf (WD) accretes matter from a Mira variable via gravitational capture of the stellar wind. We present a high-resolution optical spectrum of RR Tel obtained with MIKE at Magellan-Clay telescope, Chile. We find broad emission features at 6825, 7082, 7023, and $7053{\AA}$, which are formed through Raman scattering of far-UV O VI ${\lambda}{\lambda}$ 1032 and $1038{\AA}$, C II ${\lambda}{\lambda}$ 1036 and $1037{\AA}$ with atomic hydrogen. Raman O VI 6825 and 7082 features are characterized by double-peaked profiles indicative of an accretion flow with a characteristic speed ~ 30km/s, whereas the Raman C II features exhibit a single Gaussian profile with FWHM ${\sim}10{\AA}$. Monte Carlo simulations for Raman O VI and C II are performed by assuming that the emission nebula around the WD consists of the inner O VI disk with a representative scale of 1 AU and the outer part with C II sphere. The best fit for Raman profiles is obtained with an asymmetric matter distribution of the O VI disk, the mass loss rate of the cool companion ${\dot{M}}{\sim}2{\times}10^{-6}M_{{\odot}/yr}$ and the wind terminal velocity v~10 km/s. We also find O VI doublet at 3811 and $3834{\AA}$, which are blended with other emission lines. Our profile decomposition shows that the O VI ${\lambda}{\lambda}$ 3811, 3834 doublet have a single Gaussian profile with a width ~ 25 km/s. A comparison of the restored fluxes of C II ${\lambda}{\lambda}$ 1036 and 1037 from Raman C II features with the observed C II ${\lambda}1335$ leads to an estimate of a lower bound of N(CII) > $9.87{\times}10^{13}cm^{-2}$ toward RR Tel, which appears consistent with the presumed distance D ~ 2.6 kpc.

  • PDF

Observational Feature of Ejecta-Companion Interaction of A Type Ia SN 2021hpr Via The Very Early Light Curve

  • 임구;임명신;백승학;윤성철;최창수;김소피아;서진국;강원석;김태우;성현일;김용기;윤요라
    • 천문학회보
    • /
    • 제46권2호
    • /
    • pp.50.3-51
    • /
    • 2021
  • The progenitor of Type Ia supernovae is largely expected as a close binary system of a carbon/oxygen white dwarf (WD) primary and its secondary non-degenerate (single degenerate; SD) or degenerate companion (double degenerate; DD). Here we present a high-cadence monitoring observation of SN 2021hpr in a spiral galaxy, NGC 3147. SN 2021hpr shows typical characteristics as a normal type Ia supernova from its photometric (Δm15(B)=1.01±0.03, dust free MB,max=-19.45±0.02) and spectroscopic data. To investigate its progenitor system, we fit the early part of BVRI-band light curve simultaneously with a combined version of ejecta-companion and simple power-law model. As a result, we found a significant feature of an early excess possibly from a 7.63±0.52R-sized companion at the optimal viewing angle while the fit is not successful at the common viewing angle. No possible red sources brighter than F555W=-7.01 AB mag is detected at the SN location in Hubble Space Telescope (HST) pre-explosion images, excluding massive stars with initial mass of >16M as companions. We suggest the progenitor system of SN 2021hpr can be a fairly large companion such as a main sequence, a low mass subgiant, and a helium giant star. In addition, a possibility of the ejecta-Disk Originated Matter (DOM) interaction for the DD scenario considering linearly-rising early flux still remains.

  • PDF

Intensive Monitoring Survey of Nearby Galaxies (IMSNG) : Constraints on the progenitor system of a normal Type Ia SN 2019ein from its light curve at the early phase

  • 임구;임명신;김도형;백승학;최창수;김소피아;황성용
    • 천문학회보
    • /
    • 제46권1호
    • /
    • pp.55.2-56
    • /
    • 2021
  • The progenitor of Type Ia supernovae (SNe Ia) is mainly believed to be a close binary system of acarbon-oxygen white dwarf (CO WD) and non-degenerate companion (single degenerate) or another WD (double degenerate). However, it is unclear which system is more prevalent. Here, we present a high cadence optical/Near-IR light curve of normal but slightly faint type Ia SN 2019ein from IMSNG project. We fit the early light curve (t <+8.3 days from the first detection) with various models to find the shock-heated cooling emission from SN ejecta-companion interaction. No significant shock-heated cooling emission is found, from which we constrain the progenitor star size as the following. The upper limit (Rupper,*) of the companion size in R-band is ~0.2R when forcing the first light time (tfl) to have one value and ~0.9R when using the mean value of tfl from the fitting in each band. Assuming the source of the I-band curve is almost powered from the radioactive decay, we obtained Rupper,*~1.2R. The early B-V color curve is in agreement with the model color curve of the 2M main sequence companion. These results allow us to at least rule out large stars like red giants as a companion star of the binary progenitor system of this supernova. B-R and V-R color do not show any significant signs of a red bump, which shows a thin helium shell (MHe<0.1M) for the sub-Mch WD (double detonation model). In addition, we estimated the distance to NGC 5353 as 37.098±0.028Mpc.

  • PDF

Intensive Monitoring Survey of Nearby Galaxies (IMSNG) : Constraints on the Progenitor System of a Type Ia Supernova SN 2019ein from Its Early Light Curve

  • 임구;임명신;김도형;백승학;최창수;김소피아;황성용
    • 천문학회보
    • /
    • 제45권1호
    • /
    • pp.36.1-36.1
    • /
    • 2020
  • The progenitor of Type Ia supernovae (SNe Ia) is mainly believed to be a carbon/oxygen white dwarf (WD) with non-degenerate (single degenerate) or another WD companion (double degenerate). However, there is little observational evidence of their progenitor system. Recent studies suggest that shock-breakout cooling emission after the explosion can constrain the size of the progenitor system. To do so, we obtained a optical/Near-IR light curve of SN 2019ein, a normal but slightly sub-luminous type Ia supernova, from the very early phase using our high-cadence observation of Intensive Monitoring Survey of Nearby Galaxies (IMSNG). Assuming the expanding fireball model, the simple power-law fitting of the early part of the light curve gives power indices of 1.91 (B) and 2.09 (R) implying radioactive decay of 56Ni is the dominant energy source. By comparison with the expected light curve of the cooling emission, the early observation provides us an upper limit of the companion size of R∗≤1R⊙. This result suggests that we can exclude a large companion such as red giants,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study.

  • PDF

백립계 다수성 붉은곰팡이병 중도저항성 제면용 밀 신품종 "적중밀" (A New White Wheat Variety, "Jeokjoong" with High Yield, Good Noodle Quality and Moderate to Scab)

  • 박철수;허화영;강문석;이춘기;박광근;박종철;김홍식;김학신;황종진;정영근;김정곤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08-313
    • /
    • 2008
  • 호남농업연구소에서 고품질 국수용 밀 개발을 목적으로 1996년도에 고품질 다수성 백립계 금강밀에 조숙 단간이면서 내도복성인 탑동밀을 인공교배하여 SW96057조합을 육성하였다. 경기도 연천에서 집단재배 후에 계통을 전개하여 초형, 수형이 양호하고 내한성이 강한 계통인 SW96057-YB-3-5-2-1-1은 조숙계통으로 수량성이 우수하여, '03~'04년도 2년간 생산력검정을 거쳐 "익산308호"로 계통명을 부여하고, 2005년부터 3개년 동안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제면특성이 우수한 백립계 밀로 붉은곰팡이병이 중도저항성으로 생산안정성이 뛰어나고 도복에 강하고 농업형질이 우수하여 2007년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선정심의회에서 "적중밀"로 명명하고 전국의 전작 및 답리작 지역의 농가에 보급하게 되었다. 그 특성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적중밀의 출수기와 성숙기는 각각 4월 29일과 6월 7일로 금강밀보다 1일 빠르며 간장과 수장은 각각 78 cm와 7.5 cm로 금강밀과 비슷하다. 2. 적중밀의 파성은 II 형이고 붉은곰팡이병 저항성은 중 정도로 금강밀보다 강하나, 흰가루병 과 수발아는 약하고 내한성과 내도복성은 금강밀과 비슷하다. 3. 적중밀의 제분율은 금강밀보다 약간 낮지만 회분과 단백질 함량이 낮아 밀가루와 국수 색이 밝고 단백질 특성이 제면용에 적합하고 금강밀보다 부드러운 국수 식미 특성을 보인다. 4. 적중밀의 리터중과 천립중은 금강밀보다 낮지만 지역적 응성 시험에서 전작 수량은 6.19 MT/ha, 답리작 수량은 5.33 MT/ha로 금강밀보다 각각 19%와 16% 증수하였다. 5. 적중밀은 중부 산간지를 제외하고는 재배가 가능하지만, 겨울철 동해와 이른 봄 냉해에 약하고, 흰가루병에 약하므로 과다한 시비 및 밀파를 피해야 한다.

백립계 다수성 수발아 중도저항성 제면용 밀 신품종 "백중밀" (A New White Wheat Variety, "Baegjoong" with High Yield, Good Noodle Quality and Moderate to Pre-harvest Sprouting)

  • 박철수;허화영;강문석;이춘기;박광근;박종철;김홍식;김학신;황종진;정영근;김정곤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53-158
    • /
    • 2008
  • 호남농업연구소에서 고품질 국수용 밀 개발을 목적으로 1996년도에 금강밀을 모본으로 하고 올그루밀을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SW96054조합을 육성하였다. 경기도 연천에서 집단재배 후에 계통을 전개하여 초형, 수형이 양호하고 내한성이 강한 계통인 SW96054-YB-9-1-4-1-1은 조숙계통으로 수량성이 우수하여, '03~04년도 2년간 생산력검정을 거쳐 "익산307"호로 계통 명을 부여하고, 2005년부터 3개년간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제면 특성이 우수하고 백립계이면서도 수발아 중도 저항성으로 생산안정성이 뛰어나고 도복에 강하고 농업형질이 우수하여 2007년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심의회에서 "백중밀"로 명명하고 전국의 전작 및 답리작 지역의 농가에 보급하게 되었다. 그 특성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백중밀의 출수기와 성숙기는 각각 4월 30일과 6월 8일로 금강밀과 비슷하고, 간장과 수장은 각각 77 cm와 7.5 cm로 금강밀과 비슷하다. 2. 백중밀의 파성은 II형이고 백립계 수발아 중도 저항성으로 금강밀보다 강하나, 흰가루병과 붉은곰팡이병은 약하고, 내한성과 내도복성은 금강밀과 비슷하다. 3. 백중밀의 제분율과 회분 함량은 비슷하고, 단백질 함량이 낮아 밀가루와 국수 색이 밝고 단백질 특성이 제면용에 적합하고 금강밀보다 부드러운 국수 식미 특성을 보인다. 4. 백중밀의 리터중과 천립중은 금강밀보다 낮지만 지역적응성 시험에서 전작 수량은 5.88 MT/10a, 답리작 수량은 5.35 MT/10a로 금강밀보다 각각 13%와 17% 증수하였다. 5. 백중밀은 중부 산간지를 제외하고는 재배가 가능하지만, 겨울철 동해와 이른 봄 냉해에 약하고 흰가루병에 약하므로, 과다한 시비 및 밀파를 피해야 한다.

인공광원이 사과 대목 M.9 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rtificial Light Sources on the Growth of Apple Rootstock M.9 Seedling)

  • 소은희;안진희;김재경;윤여중;박수정;나종국;최기영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41-348
    • /
    • 2018
  • 본 실험은 영양번식계 사과배양묘의 규격묘 생산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순화된 사과 M.9묘의 광질 영향이 생육과 광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6주간 환경이 조절된 룸에서 재배하였다. 인공광원은 6처리[적색(R), 청색(B), 백색(W), RBUV(UV-A 함유된 R7B3), RBW(R3B1W1), SMF(고압나트륨+메탈할라이드+형광등)]이며 식물에 조사된 광량은 $154{\pm}4{\mu}mol{\cdot}m^{-2}{\cdot}s^{-1}$이였다. 사과 묘 생육 특성 반응은 3주와 6주 각각 인공광원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사과 묘 초장이 3주에는 R, RBUV, RBW, SMF 광원에서 높았으나, 6주에는 R 광원에서 높았다. 묘경은 3주째는 처리 간 차이가 없었으나, 6주째는 RBUV, RBW 광원에서 높았으며, 엽수는 3주와 6주 모두 RBUV 광원에서 가장 많았다. 엽록소 함량 SPAD 값은 3주째는 B와 RBUV 광원과 광원에서 높았으나 6주째는 차이가 없었다. 초장을 기준으로 인공광원 처리기간 중 생장율은 R 광원에서 1.12mm/day로 가장 빨랐으며, RBUV 광원(0.95mm/day), RBW 광원(0.86mm/day), SMF 광원 (0.76mm/day), W 광원(0.69mm/day), B 광원(0.44mm/day) 순 이였다. 엽면적은 RBUV, RBW 광원에서 높았고, B 광원에서 낮았으며, 비엽면적은 W 광원에서 높았으며, 생체중과 건물중은 RBUV 광원에서 높았다. 처리 6주째 광합성율은 B 광원에서 가장 높았으며, R 광원에서 낮았고, 기공전도도와 증산율은 B와 W 광원에서 높았다. 따라서 순화된 기내 배양 사과 M.9묘의 초장, 묘경, 엽수, 생체중 등 생육을 위해서는 광파장 영역이 R, R+B가 혼합비율이 높았던 R, RBUV, RBW 광원이 적합하였다.

옥수수 자식계통들에서 화학적 돌연변이 유발성질 처리에 따른 apomixis 유발과 배주발생 (Induction of Apomixis by Chemical Mutagen Treatment and Ovule Development in Inbreed lines of Corn)

  • 이호진;최근진;김태훈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476-485
    • /
    • 1992
  • 1. 옥수수의 자식계 9계통에 화학적 돌연변이 유기제를 처리하여 얻어진 M$_1$, 식물들은 형태적으로 왜성화, 백색화등 다양한 변이체로 나타났고 생식기관의 변이는 자성개체, 웅성개체, 자웅동화, 다수성들을 보였고 부임개체들이 증가하였다. 2. mutagen의 종자침지처리후 이삭에 수분방지대를 씌웠을때는 3.9-11.2%의 이삭착립율이 나타났으나 이삭당 성숙립수는 3.8-4.3게에 불과하였다. 한편 mutagen의 이삭주입처리에서는 5.1-10%의 착립이삭율과 이삭당 성숙립수는 1.7-6.3이었고 자연수분후 4시간만에 웅사를 절단하였던 이삭들은 착립이삭수가 27%로 증가하였다. 3. Mutagen처리와 수분방지처리에서 형성된 종자들의 조직학적 관찰은 aposporous apomictic reproduction이나 adventitious embryony의 가능성을 보여주었고 M2식물의 근단염색체를 조사하였을때 모두 2배체로서 확인되었다. 4. 무배합생식성 종자에서 출현된 식물들은 초장의 변이계수가 4-6%로 비교적 낮았고 외부형태상의 균일성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이들 무배합생식성과 결부된 표식형질을 발견할수는 없었다.

  • PDF

W UMa형 접촉쌍성 SS ARIETIS의 공전주기 변화 (PERIOD CHANGES OF W UMa TYPE CONTACT BINARY SS ARIETIS)

  • 김천휘;한원용;윤재혁;나일성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14권1호
    • /
    • pp.44-58
    • /
    • 1997
  • 1996년 11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열흘간 W UMa 형 접촉쌍성 SS Ari의 BVR CCDD 측광관측을 수행하였당. 이 관측으로부터 여덟 개의 새로운 극심시각을 결정하였다. 이 극심시각과 발표된 모든 극심시각을 분석하여 SS Ari의 궤도공전주기의 변화 진폭은 약 0.053일이며, 그 주기는 약 58년이다. 이 변화의 원인을 1)제 3전체에 의한 광시간 효과 2) 한 성분별에서의 주기적 자기활동에 이한 형상 변화 효과란 두 가지 관점에서 조사하였다. 전자로 해석할 경우 제 3 천체의 질량은 약 $1.3M_{\odot}$인데, 존재한다면, 백색왜성이나 쌍성일 가능성이 높다. 분광관측으로 얻은 SS Ari계의 시스템 속도는 이를 뒷받침하는 것 같다. 후자로 해석할 경우, 자기활동이 심한 별은 주성이다. 이때 이론적인 주성의 밝기 변화 요구량은 $\pm0.^m08$이다, 그러나. 관측자료의 부족으로 이를 검증할 수 없다. 결론적으로 현재의 관측자료를 가지고, 두 해석 중 어느 것이 바른 해석인지를 결론지을 수 없다. 또한, SS A갸의 공전주기의 변화에는 위의 변화 위에 약 $0.^{d}0.01$의 작은 진폭을 갖고 약 14년의 주기적 변화가 겹쳐 있다. 이 변화의 원인에 대해서도 아직 명확히 결론을 내릴 수 없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