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New White Wheat Variety, "Jeokjoong" with High Yield, Good Noodle Quality and Moderate to Scab

백립계 다수성 붉은곰팡이병 중도저항성 제면용 밀 신품종 "적중밀"

  • Received : 2008.08.07
  • Published : 2008.09.10

Abstract

"Jeokjoong", a white winter wheat (Triticum aestivum L.) variety was developed from the cross "Keumkang"/"Tapdong". "Jeokjoong" is an awned, semi-dwarf and soft white winter wheat, similar to "Keumkang" (check variety). The heading and maturing date of "Jeokjoong" were similar to "Keumkang". Culm and spike length of "Jeokjoong" were 78 cm and 7.5 cm, similar to "Keumkang". "Jeokjoong" had lower test weight (800 g) and lower 1,000-grain weight (40.1 g) than "Keumkang" (811 g and 44.0 g, respectively). It had resistance to winter hardiness, wet-soil tolerance and lodging tolerance. "Jeokjoong" showed moderate to scab in test of specific character although "Keumkang" is susceptible to scab. "Jeokjoong" had lower flour yield (69.2%) and ash content (0.36%) than "Keumkang" (72.0% and 0.41%, respectively) and similar flour color to "Keumkang". It showed lower protein content (8.9%) and SDS-sedimentation volume (36.8 ml) and shorter mixograph mixing time (3.5 min) than "Keumkang" (11.0%, 59.7 ml and 4.5 min, respectively). Amylose content and pasting properties of "Jeokjoong" were similar to "Keumkang". "Jeokjoong" had softer and more elastic texture of cooked noodles than "Keumkang". Average yield of "Jeokjoong" in the regional adaptation yield trial was 6.19 MT ha-1 in upland and 5.33 MT/ha in paddy field, which was 19% and 16% higher than those of "Keumkang" (5.21 MT/ha and 4.58 MT/ha, respectively). "Jeokjoong" would be suitable for the area above the daily minimum temperature of $-10^{\circ}C$ in January in Korean peninsula.

호남농업연구소에서 고품질 국수용 밀 개발을 목적으로 1996년도에 고품질 다수성 백립계 금강밀에 조숙 단간이면서 내도복성인 탑동밀을 인공교배하여 SW96057조합을 육성하였다. 경기도 연천에서 집단재배 후에 계통을 전개하여 초형, 수형이 양호하고 내한성이 강한 계통인 SW96057-YB-3-5-2-1-1은 조숙계통으로 수량성이 우수하여, '03~'04년도 2년간 생산력검정을 거쳐 "익산308호"로 계통명을 부여하고, 2005년부터 3개년 동안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제면특성이 우수한 백립계 밀로 붉은곰팡이병이 중도저항성으로 생산안정성이 뛰어나고 도복에 강하고 농업형질이 우수하여 2007년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선정심의회에서 "적중밀"로 명명하고 전국의 전작 및 답리작 지역의 농가에 보급하게 되었다. 그 특성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적중밀의 출수기와 성숙기는 각각 4월 29일과 6월 7일로 금강밀보다 1일 빠르며 간장과 수장은 각각 78 cm와 7.5 cm로 금강밀과 비슷하다. 2. 적중밀의 파성은 II 형이고 붉은곰팡이병 저항성은 중 정도로 금강밀보다 강하나, 흰가루병 과 수발아는 약하고 내한성과 내도복성은 금강밀과 비슷하다. 3. 적중밀의 제분율은 금강밀보다 약간 낮지만 회분과 단백질 함량이 낮아 밀가루와 국수 색이 밝고 단백질 특성이 제면용에 적합하고 금강밀보다 부드러운 국수 식미 특성을 보인다. 4. 적중밀의 리터중과 천립중은 금강밀보다 낮지만 지역적 응성 시험에서 전작 수량은 6.19 MT/ha, 답리작 수량은 5.33 MT/ha로 금강밀보다 각각 19%와 16% 증수하였다. 5. 적중밀은 중부 산간지를 제외하고는 재배가 가능하지만, 겨울철 동해와 이른 봄 냉해에 약하고, 흰가루병에 약하므로 과다한 시비 및 밀파를 피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2000. Approved Methods of the AACC. 10th ed. The Association: St. Paul, MN
  2. Axford DWE, McDermott EE, Redman DG. 1979. Note on the sodium Dodecyl Sulfate test of breadmaking quality: Comparison with Pelschenke and Zeleny tests. Cereal Chem. 56(4):582-584
  3. Gibson TS, Solah VA, McCleary BV. 1997. A procedure to measure amylose in cereal starches and flours with concanavalian A. J. Cereal Sci. 25(2):111-119 https://doi.org/10.1006/jcrs.1996.0086
  4. Kang CS, Park KS, Park JC, Kim HS, Cheong YK, Kim JG, Park CS. 2008. Flour and end-use quality of "Charmdlerak", a new high quality Korean wheat brand.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Submitted
  5. Nam JH, Song HS, Park HH, Heo HY, Park MW, Park KH, Rho CW, Nam SY, Ju JI, Park CB, Lee YS, Park SG Kim DH. 1998. A new high milling, early maturing, semi-dwarf and white grain wheat variety "Keumkangmil" with good bread quality. RDA J Crop Sci. 40(2):81-87
  6. 농림부. 2007. 농림업 주요통계. pp246-289
  7. 농촌진흥청. 2003. 농업과학기술 연구조사분석기준. pp. 291-310
  8. 농촌진흥청. 2005. 밀 우량 계통 지역 적응시험: 2005년도 동계 작물 신품종 개발 공동 연구 보고서, 80-96p
  9. 농촌진흥청. 2006. 밀 우량 계통 지역 적응시험: 2006년도 동계 작물 신품종 개발 공동 연구 보고서, 75-91p
  10. 농촌진흥청. 2007. 밀 우량 계통 지역 적응시험: 2007년도 동계 작물 신품종 개발 공동 연구 보고서, 75-91p
  11. Park CS, Baik BK, Kang MS, Park JC, Park JG, Choung MG, Lim JD. 2006. Flour characteristics and end-use quality of Korean wheats with 1Dx2.2+1Dy12 subunits in high molecular weight glutenin. J Food Sci Nutr. 11(4) :243-252 https://doi.org/10.3746/jfn.2006.11.3.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