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hey fermentation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3초

Alcohol Production from Whey in Batch and Continuous Culture of Kluyveromyces fragilis.

  • Heo, Tae-Ryeon;Kim, Jong-Soo;So, Jae-Se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4권4호
    • /
    • pp.333-337
    • /
    • 1994
  • In order to develop the whey beverage, we examined the optimum conditions for alcohol fermentation by Kluyveromyces tragilis ATCC 46537. The optimum conditions for alcohol production by K. fragilis ATCC 46537 were as follows; pH 4.5, $30^{\cir}C$, with a supplement of 50 g/l of lactose. To develop a continuous production of alcohol from whey, we compared batch fermentation with continuous iermentation in conjunction with UF system. Batch fermentation produced 11.0 g/l of alcohol, whereas pseudocontinuous and continuous fermentation with UF system produced 8.5 g/l of alcohol. To increase the alcohol production, we added 50 g/l of lactose to both fermentations. Batch fermentation with lactose supplement produced 15.7 g/l of alcohol and continuous fermentation with lactose supplement in conjunction with UF system produced 15.0 g/l of alcohol. These results clearly demonstrate that the UF system can be used to increase the alcohol production from whey, supplemented with exogenous lactose.

  • PDF

Bifidobacterial Growth Stimulation by Lactobacillus casei via Whey Fermentation

  • Moon, Gi-Seo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4권3호
    • /
    • pp.265-268
    • /
    • 2009
  • Three-hundred bacterial isolates from a natural cheese were screened for the production of bifidobacterial growth factor by whey fermentation. Based on this screen, two whey samples fermented by strains designated as CJNU 0421 and CJNU 0588 were found to effectively stimulate the growth of a bifidobacterial strain, Bifidobacterium longum FI10564, by 1.6$\sim$1.7 fold compared to a control, in which non-fermented whey medium was added. The two isolates were identified to be Lactobacillus casei (99% identity) by 16S rRNA gene sequencing and named Lactobacillus casei CJNU 0421 and CJNU 0588, respectively. The whey sample fermented by CJNU 0588 did not enhance the growth of other bacteria such as Escherichia coli and Listeria monocytogenes, suggesting that the whey fermentation metabolites from the isolate could be used for the selective stimulation of bifidobacteria.

두부폐액(廢液)의 조성(組成) 및 Saccharomyces Cerevisiae를 이용(利用)한 Alcohol 발효(醱酵) (Soybean Whey Composition and Alcohol Fermentation by Using Saccharomyces Cerevisiae)

  • 최미애;최경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31-35
    • /
    • 1982
  • 폐액으로 방류되는 두부 폐수(whey)를 이용하여 alcohol 발효를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whey중(中)에 함유(含有)된 환원당은 약 0.71%로서 이당(糖)을 이용(利用)하며 l당(當) 최대(最大) 1.86 g의 ethanol이 생산(生産)되었으나 수률(收率)이 낮아서 경제성은 희박하다. 그러나 발효에 의해서 단백질과 당이 각각 94%, 81%만큼이나 감소한 결과(結果)로 미루어 보아 두부 폐수중(廢水中)의 유기물(有機物)을 alcohol 발효(醱酵)에 이용(利用)할 수 있음을 확인(確認)하였다.

  • PDF

두부순물 첨가 동치미의 이화학적.관능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Dongchimi Added with Soybean-Curd Whey)

  • 김미리;김민정;백종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068-1075
    • /
    • 2001
  • 첨가되는 부재료의 종류와 양이 적어 다른 종류의 김치에 비해 영양가가 낮은 동치미에 영양가는 높으나 폐기되고 있는 두부순물을 첨가하여 동치미의 품질을 향상시키고자, 두부순물을 동치미에 0, 2, 5 및 10%씩 첨가하여 1$0^{\circ}C$에서 16일간 저장하면서 숙성 중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측정하여 두부순물 첨가 동치미의 품질특성을 알아보았다.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pH는 모든 첨가군에서 점차로 낮아졌는데, 두부순물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해 전반적으로 낮았다. 총산도는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두부순물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해 높았으나 숙성 말기에는 대조군이 급속히 상승하여 비슷하였다. 탁도(OD at 558 nm)는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두부순물 첨가량이 많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염도는 시료간에 유사하였다. 환원당 함량과 유산균 수는 두부순물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해 높았으며, 두부순물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많았다. 색차계에 의한 색도 L, a 및 b값은 첨가량이 많을수록 낮았으며, texture analyser에 의한 경도는 두부순물 5% 첨가군이 대조군보다 높았고, 관능검사(Scoring test : 선척도, 10점 만점) 결과, 숙성 전 기간동안 국물의 탁도, 신냄새, 탄산미 , 단맛, 감칠맛, 경도 및 전반적인 기호도의 항목에서 두부순물 5%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두부순물 5% 첨가군의 전반적인 기호도는 6.5점으로 가장 높았다(p<0.05).

  • PDF

L. acidophilus KCCM 32820과 P. freudenreichii KCCM 31227로 발효한 유청 발효물이 빵 반죽의 레올로지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hey Ferment Cultured by L. acidophilus KCCM 32820 and P. freudenreichii KCCM 31227 on Rheological Properties of Bread Dough)

  • 이정훈;이시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795-800
    • /
    • 2009
  • L. acidophilus KCCM 32820과 P. freudenreichii KCCM 31227로 발효한 유청 발효물이 빵 반죽의 레올로지 특성에 미치는 영향으로 farinograph, amylograph, extensograph, 발효팽창력, 반죽의 총산도 및 반죽의 pH 등을 측정하였다. Farinograph에서 밀가루의 흡수율에는 유청 발효물의 영향이 아주 적었으나 유청 발효물을 첨가한 반죽의 반죽생성시간은 3.2분 길었고 안정도는 16.2분 짧았다. Amylograph에서 호화개시온도와 최고점도온도에는 유청 발효물의 영향을 거의 없었으나 최고점도는 낮아졌다. Extensograph에서 반죽의 저항성과 R/E비율은 유청 발효물 첨가로 높아졌으나 신장성은 낮아졌다. 효모에 의한 발효팽창력은 유청 발효물에 의하여 감소하였고, 반죽의 총산도는 증가하였으나 pH는 낮아졌다.

Continuous Propionic Acid Production from Cheese Whey Using In Situ Spin Filter

  • Gupta, Achin;Srivastava, Ashok K.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6권1호
    • /
    • pp.1-5
    • /
    • 2001
  • The potential use of spin filter device to retain Propionibacterium acidipropionici in the bioreactor under continuous mode of fermentation, and improve acid productivity, was examined. The yield of propionic acid based on lactose concentration was 51% in batch and 54% in continuous (dilution rate = 0.05 h(sup)-1) operation. The yield in continuous fermentation with cell retention using spin filter of 10 micron size (dilution rate = 0.05 h(sup)-1) was even higher at 70% (w/w). The volumetric productivity under batch and continuous mode of operation were 0.312g L(sup)-1 h(sup)-1 and 0.718g L(sup)-1 h(sup)-1 respectively. Continuous fermentation with cell retention demonstrated even higher volumetric productivities at 0.98g L(sup)-1 h(sup)-1 with out clogging problems. It could be used for utilization of cheese whey to produce propionic acid at higher yield and productivities.

  • PDF

Alcohol Fermentation을 위한 배지로서의 Cheese Whey의 이용 (Utilization of Cheese Whey for Alcohol Fermentation Medium)

  • 김상필;박희경;김도환;허태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878-884
    • /
    • 1995
  • 본 연구는 유청을 에탄올 발효에 이용하기 위하여 유청에 함유된 유당을 ${\beta}-D-galactosidase$로 가수분해한 후 Saccharomyces cerevisiae와 Kluyveromyces fragilis의 발효 조건을 비교하였으며, 효모의 특성인 pasteur effect를 이용하여 용존 산소의 조절에 의한 유청에서의 K. fragilis와 S. cerevisiae의 에탄올 발효 조건을 실험하였다. 또한 탁주의 제조에 에탄올 발효된 유청을 용수에 혼합, 응용하기 위한 최적 조건을 조사하였다. pH6.5로 조절된 유청에 0.7%(v/v)의 ${\beta}-D-galactosidase$를 첨가하여 30분만에 93%의 유당이 가수분해 되었다. 이를 배지로 이용하여 에탄올 발효한 결과 S. cerevisiae는 galactose를 이용하지 못하므로 에탄올 생산력이 K. fragilis에 비하여 낮았으나 glucose를 첨가한 배지에서는 S. cerevisiae의 에탄올 생산량이 K. fragilis 보다 증가하였다. 용존 산소를 조절하고 glucose를 첨가하여준 실험에서는 K. fragilis와 S. cerevisiae의 에탄올 생산량이 각각 18.9 g/l와 34.5 g/l로 에탄올 생산량이 11.8% 22.1% 증가하였다. 즉 용존산소를 조절한 조건에서는 S. cerevisiae의 에탄올 생산력이 더 우수하였다. 미분을 첨가한 에탄올 발효에서는 Aspergilus oryzae가 발효 60시간만에 80% 이상의 당화력을 보였으며, 이때 생산되는 에탄올의 양은 80.2 g/l였다.

  • PDF

Kluyveromyces marxianus에 의한 유청막걸리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ey Makgeolli by Kluyveromyces marxianus)

  • 김수환;허창기;김소망;조인경;김용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28-534
    • /
    • 2015
  • 유청을 막걸리 제조시 용수로 사용하기 위해 효모에 따른 유당 분해능과 ethanol 생성능력을 측정하고, 유청 첨가 비율에 따른 막걸리를 제조하여 총산, pH, 환원당, ethanol 및 관능평가 등 품질특성을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당 분해능은 K. marxianus KCCM 35455과 K. marxianus KCCM 50700이 가장 뛰어난 유당 분해능을 보였으며, ethanol 생성능력은 K. marxianus KCCM 50700 균주의 ethanol 함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당분해능과 ethanol 생성능이 우수했던 K. marxianus KCCM 50700의 효모를 선정하여 유청 막걸리 제조 연구를 진행하였다. 유청 첨가비율에 따른 막걸리의 발효과정 중 총산은 K. marxianus KCCM 50700으로 담금한 시료구의 경우 S. cerevisiae로 담금한 막걸리의 산도보다 비교적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pH는K. marxianus KCCM 50700로 담금한 시료구의 경우 S. cerevisiae로 담금한 막걸리의 pH보다 비교적 높은 경향을 보였다. 환원당 함량은S. cerevisiae 시료구에서는 유청 첨가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환원당 함량이 높아졌으며, K. marxianus KCCM 50700 시료구에서는 큰 함량차이가 나타내지 않았다. ethanol 함량 변화는K. marxianus KCCM 50700로 담금한 시료구가 S. cerevisiae로 담금한 시료구 보다 높게 나타났다. 관능평가는 향, 색, 맛 및 종합기호도면에서 K. marxianus KCCM 50700로 담금한 유청 100% 첨가 시료구가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Kluyveromyces marxianus와 젖산균의 혼합배양에 의한 치즈 유청의 알코올 발효 (Alcohol Fermentation of Cheese Whey by Kluyveromyces marxianus and Lactic Acid Bacteria)

  • 심영섭;김재원;윤성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61-167
    • /
    • 1998
  • 치즈 제조시 생기는 부산물인 유청을 이용하여 알코올 발효 음료를 만들기 위해 유당을 이용하는 효모인 K. marxianus KCCM 32422와 유당을 이용하지 않는 S. cerevisiae KCCM 12028의 2종류의 효모 균주와 7균주의 젖산균을 혼합 배양하여 알코올 생성량 $CO_2\;gas$의 생산량, 적정산도의 변화, 그리고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K. marxianus KCCM 32422와 Lb. bulgaricus Lb-12를 혼합배양시에는 4일째 알코올 함량이 2.8%였으며, S. cerevisiae KCCM 12028과 Lb.bulgaricus Lb-12를 혼합배양시에는 4일째 알코올 함량이 0.2%였다. 효모를 첨가하는 최적시간은 K. marxianus KCCM 32422는 젖산균을 접종후 24시간에, S. cerevisiae KCCM 12028은 젖산균 접종후 16시간에 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K. marxianus KCCM 32422와 7균주의 젖산균을 혼합배양시에는 K. marxianus KCCM 32422와 L. lacis KCCM 32406가 배양 96시간에 알코올 2.3%, $CO_2\;gas$는 1.9%로 다른 젖산균에 비하여 알코올과 $CO_2\;gas$의 높은 생산량을 나타내었다. 배양 온도는 $37^{\circ}C$에서 하는 경우가 $20^{\circ}C,\;30^{\circ}C,\;42^{\circ}C$에서 발효시키는 것보다 높은 알코올과 $CO_2\;gas$생산량을 나타내었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L. lacits KCCM 32406가 신맛은 조금 강하고 쓴맛은 전혀 없으며 알코올 맛은 조금강하여 가장 적당하다고 평가되었다.

  • PDF

유청을 이용한 Bacillus subtilis와 Lactobacillus plantarum의 혼합발효를 통한 γ-aminobutyric acid와 생리활성물질 강화 (Fortification of γ-aminobutyric acid and bioactive compounds in whey by co-fermentation using Bacillus subtilis and Lactobacillus plantarum)

  • 김근영;임종순;이삼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572-580
    • /
    • 2018
  • 본 연구는 모짜렐라 치즈 제조과정에서 분리된 유청을 B. subtilis HA와 L. plantarum EJ2014의 혼합 발효를 통해 ${\gamma}$-PGA, GABA 등의 기능성 물질이 강화된 발효물을 생산하고자 하였다. 유청 B. subtilis 발효 1일차의 시료 분석결과, pH는 6.51, 산도는 0.32%, 생균수는 8.39 log CFU/mL을 나타냈으며, 점질물과 점조도는 각각 6.06%와 $4.09Pas^n$로 발효 전보다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2차 L. plantarum 발효를 통해 유청 혼합발효물의 최종 pH는 4.57까지 감소하였고 산도는 L. plantarum 발효 1일째 1.39%로 증가하여 최종 산도는 1.73%를 나타내었다. B. subtilis 생균수는 2차 L. plantarum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5.83 log CFU/mL까지 감소하였으나 L. plantarum 생균수는 5.73 log CFU/mL에서 L. plantarum 발효 1일째 9.08 log CFU/mL로 급격히 증가한 후 L. plantarum 발효 7일까지 유지하였다. TLC 정성분석한 결과 L. plantarum 발효 5일 이후 MSG가 모두 소진되어 GABA로 전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HPLC 정량분석으로 MSG는 L. plantarum 발효 초기 3.40%에서 L. plantarum 발효 7일째 거의 소진 되면서 혼합발효물의 GABA 함량은 2.21%를 보였다. 환원당과 젖당 함량은 각각 발효 전 11.07과 6.73%에서 L. plantarum 발효 7일째 각각 4.97과 3.68%로 크게 감소하는 것을 보였다. 타이로신 함량은 발효가 진행되는 동안 증가되어 L. plantarum 발효 7일째 38.24 mg%를 나타내었다. 단백질 가수분해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SDS-PAGE를 통해 발효 후 유청 단백질들이 대부분 가수분해되어 저분자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유청의 발효 전후에 따른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ABTS $RC_{50}$값은 26.81 mg/g에서 발효 후 8.78 mg/g, DPPH $RC_{50}$값 또한 발효 전 17.58 mg/g에서 발효 후 10.38 mg/g으로 감소하면서 혼합발효를 통해 전자 공여능이 향상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