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tland construction

검색결과 138건 처리시간 0.026초

농촌유역 비점오염원처리를 위한 적정 인공습지 규모결정에 관한 연구(지역환경 \circled1) (A Study of Design Conditions for Decision Area of Constructed Wetland to treat Nonpoint Source Pollution from Agricultural Area)

  • 장정렬;박종민;권순국;윤경섭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0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490-499
    • /
    • 2000
  • Several studies on development of water quality treatment systems by wetlands are on going because of their benefits of low construction cost and high efficiency of waste water treatmen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review the necessary contents of survey and design factors for constructing constructed wetlands and to examine the required wetland area to treat non-point source pollution through case studies. The measurement of water quality and quantity in precipitation period is needed to analyse the inflow characteristics of the non-point pollution and to determine the amount of design flow. The design inflow for constructing constructed wetland was determined to the total runoff from 30mm of daily rainfall in the AMC(III) condition of the SCS method and is similar 70% of the annual mean runoff. The natural type wetland system with 0.1m of water depth and 5 hours of detention time was applied. From the results of the case studies, 70% of inflow could be treated and 1∼3% of wetland area of the total basin is needed.

  • PDF

Microbial population dynamics in constructed wetlands: Review of recent advancements for wastewater treatment

  • Rajan, Rajitha J.;Sudarsan, J.S.;Nithiyanantham, S.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24권2호
    • /
    • pp.181-190
    • /
    • 2019
  • Constructed wetlands are improvised man-made systems, designed for adopting the principle of natural wetlands for purifying wastewater - the elixir of life. They are used widely as a cost-effective and energy-efficient solution for treating greywater generated from different tertiary treatment sources. It provides an elaborate platform for research activities in an attempt to recycle earth's natural resources. Among the several organic impurities removal mechanisms existing in constructed wetland systems, the earth's active microbial population plays a vital role. This review deals with the recent advancements in constructed wetland systems from a microbiological perspective to (effect/ devise/ formulate) chemical and physical treatment for water impurities. It focuses on microbial diversity studies in constructed wetlands, influence of wetland media on microbial diversity and wetland performance, role of specific microbes in water reuse, removal of trace elements, some heavy metals and antibiotics in constructed wetlands. The impurities removal processes in constructed wetlands is achieved by combined interactive systems such as selected plant species, nature of substrate used for microbial diversity and several biogeochemical effected reaction cycles in wetland systems. Therefore, the correlation studies that have been conducted by earlier researchers in microbial diversity in wetlands are addressed herewith.

습지 기능 평가의 동향 분석 및 제언 (An analysis of trends in wetland function assessments and further suggestions)

  • 홍문기;김재근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5
    • /
    • 2017
  • 습지를 대상으로 한 기능 평가는 습지의 현 상태를 면밀히 파악하기 위한 기본 단계일 뿐만 아니라 습지를 '우리에게 수많은 편익을 제공하는 하나의 자원이자 재화'로 인식하는 '생태계 서비스' 개념의 토대가 되는 중요한 과정이다. 20세기말 미국에서부터 시작된 습지 기능 평가는 WET, EMAP-wetlands 그리고 HGM의 순서로 발달하였다. 21세기에 접어들며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 가능한 RAM이 기능 평가 개발의 주류를 이루기 시작하였다. 그 이후에는 세 가지 수준의 위계를 갖는 기능 평가의 체계가 갖추어졌으며 기능 평가의 대상과 목적 등에 따라 전략적으로 활용되는 형태로 발전하였다. 우리나라 또한 미국의 HGM과 RAM을 토대로 하여 일부 항목과 내용들을 개선하는 형태로 한 기능 평가가 2001년부터 수행되기 시작하였다. 이후 HGM과 RAM의 약점과 단점을 보완할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환경 특성 및 실정에 맞게 개선된 형태의 기능 평가 도구들이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국내외 습지 기능 평가 연구 동향파악 및 선진국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국내 기능 평가에 있어 우선적으로 보완이 필요한 것들로 다음의 사항들을 제안하는 바이다: 1) 조류와 같이 우리나라의 현실을 고려한 지시자를 활용한 기능 평가 도구가 필요하다. 2) 우리나라 습지의 많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연안습지를 대상으로 하는 최적화된 기능 평가 도구 개발이 필요하다. 3) 연구자 및 정책담당자들 간의 소통과 협력 공조를 유도할 수 있는 네트워크 구축과 확장이 필요하다.

천변저류지 조성에 따른 수리.수문분석 (Hydraulic and Hydrologic Analysis by Washland Construction)

  • 김덕길;경민수;김상단;김형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1권5호
    • /
    • pp.483-489
    • /
    • 2008
  • 최근에 홍수조절 기능과 비홍수기의 생태적 측면으로써 천변저류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한 홍수방어 대안으로 천변저류지 조성방안에 대한 검토와 조성된 천변저류지에 대한 습지로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한 수리·수문 분석을 수행하였다. 대상지역은 경상남도 창녕군의 토평천 유역이다. 토평천 유역에 국내 최대 내륙 습지인 우포늪이 포함되어 있으며, 토평천은 낙동강의 지류이다. 천변저류지는 우포늪 상류와 하류에 조성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홍수기의 홍수위저감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수리분석은 HEC-RAS모형을 이용하였다. 모형의 모의는 천변저류지 조성 시나리오 7가지에 대하여 수행하였다. 그 결과 모의 시나리오 중에서 최대 0.56 m의 홍수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WAT모형을 이용하여 비홍수기에 천변저류지의 물수지 분석을 위한 수문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물수지 분석 결과 1년 동안에 천변저류지의 최저수심이 1.3 m(세진지역)정도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도습지의 생태보전 및 치수를 고려한 하천관리 방안 연구 (Study on River Management Plan Considering Ecological Preservation and Flood Control of Riverine Wetland)

  • 안병윤;김택민;홍승진;김길호;김수전;김재근;김형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63-476
    • /
    • 2014
  • 하천변에 위치한 하도습지는 치수사업을 통한 치수가치와 하도습지의 생태적 보전가치가 대립함으로써 사회적 갈등을 야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도습지의 치수가치와 생태가치에 대한 경제성 분석을 통해 두 가치 모두의 중요성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치수안전과 생태보전을 고려한 하도습지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차원 홍수피해산정방법(MD-FDA)과 조건부가치측정법(CVM)을 이용하여 임진강 하구유역의 연평균 홍수피해액과 하도습지의 생태보전가치를 산정하였다. 분석결과, 임진강 하구지역은 치수사업도 필요하고, 하도습지의 생태적 보존가치 역시 중요하여 단계별 치수사업과 하도습지의 보호를 위한 관리방안 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임진강 하도습지는 지속적으로 퇴적이 발생하고 홍수위가 상승하는 지역으로 분류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임진강 하구는 하천정비사업 시 치수안전과 생태보전을 함께 확인하며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고, 생태계 교란을 최소화하기 위한 단계적인 하천정비시행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향후 치수사업과 하도습지의 보존을 함께 고려한 하천관리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표준습지 분석을 통한 대체습지의 생태 성능 기준 개발 (Developing the Ecological Performance Standard for Replaced Wetlands by Analyzing Reference Wetlands)

  • 구본학;정진용;박미옥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1-22
    • /
    • 2011
  • This study was established to build and suggest the Ecological Performance Standards for replaced wetlands as the mitigation strategies for the construction projects. The request performance and assessment factors and standards were derived by bibliographic review and verified by the field survey for the reference wetlands. And the weights for each factor were derived by AHP(Analytical Hierarchy Process) method.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Assessment factors were induced by in-depth research of many wetland assessment models and benchmarks evaluated ecological functions. This study proposed final 12 assessment factors through ecological specialist and experts interviews added with literature analysis. 2) 10 natural wetlands were selected as Reference Wetlands as the measure to propose assessment factors and assessment criteria. Those reference wetlands are well-conserved inland natural wetlands classified to the one having worthy to conserve (grade "high") according to RAM(Rapid Assessment Method). Reference wetlands chosen by the study are Parksilji, Jeongyangji, Mulkubi, Bawineupkubi, Jilnalneup, Jinchonneup, Doomoso, Haepyung wetland, Whangjeong wetland, and Whapo wetland. The research developed assessment criteria for the performance assessment factors based on several explorations of the reference wetlands. 3) "Requiring performance" of replaced wetlands is defined as "to carry out similar or same ecological functions provided by natural wetlands", in overall. The detailed requiring performances are as follows; ${\bullet}$ to play a role of wildlife habitats ${\bullet}$ to have biological diversity ${\bullet}$ to connect with other ecosystems ${\bullet}$ to provide water environment to perform good ecological functions 4) The assessment factors for required performance are categorized by wildlife habitat function, biological diversity, connectivity of adjacent ecosystem, and water environment. Wildlife habitat category is consisted of wildlife habitat creation, size of replacement wetland, and site suitability. Biological diversity category contains the number of plant species, the number of wildlife species, and number of protected species as the sub-factors. Connectivity of adjacent ecosystem is comprised of wildlife corridor, green network and distance from other ecosystem. Finally, water environment make up with water quality, depth of water body, and shape of waterfront. 5) Finally, every assessment factors were verified and weighted by the AHP methods and the final standards were proposed. The weights of factors of requiring performance suggested as habitat (0.280), connectivity (0.261), diversity (0.260), hydraulic environment (0.199). And those of detailed sub-factors are site suitability (0.118), protected species (0.096), distance to neighbor ecosystem (0.093), habitat creating (0.091), green corridor (0.090) etc.

우리나라 습지의 환경적 가치 : 메타회귀분석 (A Meta-regression Analysis of Wetland Valuation Studies in Korea)

  • 안소은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16권1호
    • /
    • pp.65-98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수행된 습지가치추정 선행연구를 대상으로 메타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습지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규명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며, 국내 자연환경 가치추정 분야에 메타회귀분석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는 데 있다. 메타회귀분석은 기존에 축적되어 있는 연구로부터의 정보를 희귀분석을 사용하여 종합하는 기법으로써, 선행연구에서 관찰되는 가치추정치를 종속변수로 연구의 특성, 예를 들면, 대상지의 특성, 추정기법, 모집단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 등을 설명변수로 설정하여 분석한다. 이야기체 문헌검토와 비교할 때 메타회귀분석의 가장 큰 장점은 연구자의 자의적 판단을 피하고 통계적 신뢰성에 기반을 둔 객관적인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는 점이다. 실증분석 결과 우리나라의 경우 단위면적당 습지가치는 어떤 습지기능을 대상으로 하였는지보다는 어떤 가치추정기법을 사용했는지에 따라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습지면적과 습지가치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임으로써 생태학적 원칙보다는 경제학적 원칙이 적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점은 습지보호 및 관리정책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본 연구의 사례분석을 통해 메타회귀분석은 선행연구 결과를 종합하고 관련정책 수립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분석의 틀로써 충분한 활용 가능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메타분석의 활용 가능성뿐만 아니라 한계 및 불확실성의 존재를 확인하는 계기도 되었다. 메타회귀분석의 유효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관련연구의 DB 구축, 개별연구의 질 향상을 위한 노력, 추정모델의 개선을 위한 연구 등이 병행해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비점원오염 제어를 위한 인공습지의 초기단계 연구 (Early Stage Performance of Constructed Wetland System for Nonpoint Source Pollution Control)

  • 김형철;함종화;한정윤;윤춘경
    • 생태와환경
    • /
    • 제39권4호통권118호
    • /
    • pp.481-488
    • /
    • 2006
  •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유역단위로 배출되는 오염원의 4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비점오염원의 제어가 중요해졌다. 유역의 비점오염원제어를 위해 전세계적으로 인공습지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점오염원 제어를 위한 현장실험을 2002년 6월부터 2004년 6월까지 실시하였다. 인공습지와 유수지가 하나의 시설로써 각각 4개씩 조성되어있으며, 면적은 0.88 ha이다. 습지의 식생은 식재를 하지 않고, 자연적 활착을 유도하였으며, 3번의 생장기를 거친 2004년도 식생조사 결과 각 습지별로 평균 약 90% 정도의 식생피도를 나타내었다. $BOD_5$, TSS, TN, TP의 평균 제거율은 각각 5.6%, 46.6%, 45.7%, 54.8%로 나타났다. $BOD_5$의 제거율은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유입수의 농도가 낮기 때문에 제거효율이 낮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유수지-습지의 배치가 습지-유수지 배치보다 전체적으로 더 좋은 수질을 나타내었다. 일차반응모형 (First-order analysis)결과 TP는 온도에 많은 영향을 받지 않으며, $BOD_5$와 TSS는 TN보다는 온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인공습지는 유역에서 유입되는 비점오염원의 처리시설로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식생습지와 개방수역의 배열에 따른 인공습지의 수처리 특성 (Water Treatment Characteristics by Const ucted Wetland with Different Vegetation - Open Water Arrangements)

  • 장정렬;최선화;권순국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22-130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water treatmen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vegetated wetland(V) and open water(O) arrangements in free water surface constructed wetland. Three pilot-scale wetlands, V-V, O-V and V-O, were built and operated. $BOD_5$ was a slightly reduced at all the arrangements because the influent concentration was so low as background concentration of constructed wetlands. While T-N and T-P removal efficiency showed higher than 50% for all cases. The O-V arrangement showed the highest removal efficiency: 20% for $BOD_5$, 56% for SS, 59% for T-N and 72% for T-P. Effluent concentration of the O-V were significantly low compared with those from the V-O. O-V arrangement would be beneficial in the light of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as well as construction cost.

표토침식에 따른 내륙습지 훼손 가능성 평가 (Potential damage assessment of inland wetlands by topsoil erosion)

  • 김성원;정안철;이대업;이기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3권7호
    • /
    • pp.521-531
    • /
    • 2020
  • 본 연구는 강우로부터 나타나는 표토침식과 퇴적의 영향을 고려하여 습지 훼손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가 가능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용담댐 상류에 위치하고 있는 천천유역은 16개의 습지가 존재하며, 습지훼손 가능성에 대한 평가는 호수형습지와 소택지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2002년, 2003년에 발생한 태풍사상을 적용한 결과, 벽남제습지의 경우 상류유역에서 유입되는 토사량은 저수용량의 2.30%(22,548 ㎥)로 가장 높았다. 산지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소택지의 평균 유입토사량은 저수용량의 0.03%로 나타났으며 비교적 넓은 유역을 가지는 호수형습지보다 훼손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넓은 면적이 농경지로 사용되고 있는 호수형습지는 모형의 결과에서 토사유입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토양침식에 의한 습지훼손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