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ight matrix

검색결과 885건 처리시간 0.027초

자계면 T-접합을 이용한 무궁화 III호 위성체용 다이플렉서의 설계 및 제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and Fabrication of Diplexer Using H-plane T-junction for KOREASAT-III Transponder)

  • 이용민;홍완표;신철재;강준길;나극환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582-593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무궁화 III호 위성체용 Ka-밴드 다이플렉서의 설계를 위해 모드매칭법에 의해 산란행렬을 계산하여 설계한 필터의 전달특성을 분석하고, 대칭적 유도성 아이리스 구조와 전계면 금속삽입 구조로 설계된 2개의 대역통과 필터를 자계면 T-접합에 의한 합성방법으로 Ka 밴드 위성체용 다이플렉서를 설계, 제작 하여 그 설계 방법에 대한 타당성 여부를 검증하였다 제작된 다이플렉서는 위성체에서 송.수선 펼터의 개별 사용에 따른 크기 및 무게의 증가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송선필터의 경우 아이리스를 도파관 자계변 외벽으로 돌출시키는 구조로 설계함으로써 펼터 자체가 방열판 구실을 하여 고전력 전송에 따른 펼터 의 특성 변화를 최소화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도파관 펼터에서 동작특성을 보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미세 보정 나사의 사용을 배제함으로써 제작의 단순화와 위성체용으로서의 내구성과 선뢰도를 향상시켰다. 제작된 Ka-밴드 위성체용 다이플렉서는 2개의 펼터(Rx : $30.485\pm0.4 GHz$, Tx : $20.755\pm0.4 GHz$) 모두 통과대역에 서 1.2 dB 미만의 삽입손실(insertion loss)과 15dB 보다 좋은 반사손실(return loss) 특성을 얻었고, 송.수신 필터간 65dB 이상의 분리도(isolation)를 나타내었다.

  • PDF

기능성 나노 제올라이트가 분산된 친수성 복합막 제조 및 탈수 투과증발 특성 연구 (Characteristic of Water Pervaporation Using Hydrophilic Composite Membrane Containing Functional Nano Sized NaA zeolites)

  • 오덕규;이용택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1권1호
    • /
    • pp.98-105
    • /
    • 2013
  • NaA 제올라이트 입자들을 폴리비닐알콜(PVA) 고분자에 분산시키어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나노 크기의 NaA 입자들을 연구실에서 합성하였으며, 그 평균 크기는 대략 60 nm이었다. 제조한 혼합 매트릭스 분리막을 이용하여 0.01 부터 0.05 몰분율 농도 범위의 에탄올 수용액으로부터 물을 선택적으로 분리하고자 공급 수용액의 농도 및 첨가한 제올라이트 함유량을 0 에서 5 wt% 내에서 조절하면서 투과증발 특성을 고찰하였다. 상호 비교 목적으로 평균 $5{\mu}m$ 크기의 NaA 입자들을 분산시킨 복합막의 투과 증발 특성도 함께 조사하였다. 공급된 에탄올 농도가 0.01 몰분율인 실험조건에서 분리막 내의 나노 NaA 입자들의 첨가량이 0 wt%에서 5 wt%로 증가함에 따라 물의 투과플럭스는 $600g/m^2/hr$에서 $2,000g/m^2/hr$로 크게 증가하였으며, 물 선택성은 1.5에서 7.9로 5배 이상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나노 입자들이 분산된 분리막을 통한 물 투과플럭스는 마이크로 입자들이 분산된 분리막을 통한 물 투과플럭스보다 전반적으로 약 15% 이상 증가한 반면, 선택도는 약 5% 정도 증가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마이크로 입자보다는 나노 입자의 혼합으로 인한 투과플럭스나 선택도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기 때문에 나노 입자가 더 효율적이라고 사료된다.

치경부 심미수복재의 잇솔질 마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OOTHBRUSH ABRASION OF CERVICAL RESTORATIVE MATERIALS)

  • 백병주;양정숙;이두철;김재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18-128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치경부의 심미수복에 이용되고 있는 7종의 재료를 시험재료로 선택한 다음 잇솔질이 이들 수복재료의 마모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전동식 마모시험기를 이용하여 잇솔질 하중 2.0N으로 100,000회의 잇솔질을 시행한 다음 각 시편의 평균 두께 감소와 표면조도를 측정하였고, 표면경도가 연마성 마모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누프 경도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누프 경도값은 F2000 군에서 79.7로 가장 높고 Heliomolar 군에서 20.0으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으며, Tukey 다중범위검증법에 의해서 각 군 사이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Compoglass 군과 Dyract AP 군을 제외 한 모든 군들 사이에서 상호간에 유의 한 차이를 보였다(p<0.05). 2. 표면조도는 Improved Fuji II LC 군에서 가장 높고 UniFil F군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Tukey 다중범위검증법에 의해서 각 군사이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Improved Fuji II LC군, F2000 군과 UniFil F군 사이에서만 상호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3. 표면조도와 마모도는 치약으로 유치용의 겔 형 페이스트인 Tom & Jerry를 사용한 경우보다 성인용의 페이스트인 Perio $A^+$를 사용한 경우에 높게 나타났다(p<0.05). 4. 연마면에서는 기질레진의 선택적인 마모에 의한 필러의 돌출로 인해 표면조도가 증가된 양상이 관찰되었다.

  • PDF

섬유강화재 함유율에 따른 FRTP의 기계적 특성 및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chanical and Combus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Fiber Reinforcements Weight Fraction of FRTP)

  • 김경진;엄상용;김기환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3호
    • /
    • pp.21-2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섬유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료(Fiber Reinforced thermo plastics, FRTP)의 기계적 특성 및 화재 위험성 예측을 위한 연소특성을 평가하였다. 폴리카보네이트와 나일론에 섬유강화재로 유리섬유와 탄소섬유를 각각 0~40 wt% 혼합하여 특성변화를 실험한 결과, 섬유강화재의 함유율이 증가할수록 비강도와 열변형 온도가 증가하였고 난연성은 유리섬유 함유율이 30 wt% 이상인 경우 V-0 등급을 보였다. 연소특성의 경우 섬유강화재의 함유율이 증가함에 따라 착화시간도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최대 열방출율은 섬유강화재를 40 wt% 함유 시 함유하지 않았을 때보다 폴리카보네이트는 약 51%, 나일론은 약 24% 수준으로 낮아졌다. CO 발생율은 일정시간까지 감소하다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불완전연소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CO2 발생율은 열방출율과 매우 유사한 경향을 보이며, 최대 CO2 발생율은 섬유강화재를 40 wt% 함유 시 함유하지 않았을 때보다 폴리카보네이트는 약 50%, 나일론은 약 28% 수준으로 낮아졌다.

해저 동력케이블 보호를 위한 대상 선박 선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lection of Target Ship for the Protection of Submarine Power Cable)

  • 이윤석;김승연;유용웅;윤귀호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662-669
    • /
    • 2018
  • 최근 제주도를 비롯한 도서지역의 전력 사용량 증가 및 해상풍력 발전단지 개발 등으로 인해 해저 동력케이블의 신규 설치가 검토되고 있다. 해저에 설치되는 동력케이블의 보호를 위해서는 선박의 투묘, 주묘, 어로 작업 등에 대한 특성을 기반으로 매설 깊이를 산출해야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해저 동력케이블 보호를 위한 대상 선박의 규모와 관련된 설계기준이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저 동력케이블과 유사한 국내 해저배관의 보호를 위한 설계기준을 분석하고, 동력케이블의 설치 환경을 고려한 긴급 투묘의 형태별 분류를 토대로 위험도 매트릭스 모델을 개발하여 보호 대상 선박의 규모를 해당 해역을 통항하는 선박의 크기별 누적함수 규모에 따라 설계하였다. 해저 동력케이블 보호 기준에는 설치 해역의 수심과 조류 등의 환경 조건, 투묘와 주묘 등과 같은 해양사고 조건 등을 연계하였고, 선박의 운항 환경을 항계, 연안해역과 근해해역으로 구분하여 동력케이블의 구체적인 보호 대상 선박의 규모를 검토하였다. 대상 선박의 규모 결정에 대한 적정성 및 유용성 차원에서 완도에서 제주구간에 신설 예정인 제3호 해저 동력케이블에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이러한 해저 동력케이블과 해저배관 등의 보호를 위한 대상 선박의 선정 기준은 향후 매설깊이 설정에 따른 앵커 중량 선정은 물론 해저케이블 물리적 보호시스템 개발에도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서남해안 관측자료를 활용한 OI 자료동화의 최적 매개변수 산정 연구 (Experimental Study of Estimating the Optimized Parameters in OI)

  • 구본호;우승범;김상일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31권6호
    • /
    • pp.458-467
    • /
    • 2019
  • 본 연구는 자료동화에 필요한 매개변수의 최적화된 값를 산정하기 위해 서남해안을 포함하는 한반도 중심해역에 해양순환수치모델 FVCOM(Finite Volume Community Ocean Model)을 구축 및 검증하고 이에 연속관측된 수층별 유속자료와 OI(Optimal Interpolation)를 자료동화하였다. 자료동화에는 서남해안에 위치한 4정점에서 ADCP(Acoustic Doppler Current Profiler)을 통해 관측된 수층별 유속자료를 사용하였다. 자료동화에 사용된 배경 모델은 복잡하고 불규칙한 지형적 특성을 가진 서남해안 중심의 한반도 해역을 비구조격자체계의 해양순환수치모델인 FVCOM으로 구성하고 이를 조석검증하였다. 최적내삽법의 Correlation length와 Scale factor는 자료동화 과정에서 관측값의 영향 범위를 결정하고 오차를 보정할 수 있는 매개변수다. 자료동화기법 내 매개변수는 연구 지역에 존재하는 해양학적 특성에 따라 능동적으로 변동되기 때문에 이를 토대로 경험적인 산정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서남해안에서 요구되는 각 매개변수들을 Taylor diagram을 활용하여 관측정점별로 분석하고 최적값을 산정하였다. 산정된 최적매개변수는 관측정점마다 요구되는 값이 상이하며 연안에서 외해로 갈수록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추가로 조석검증 전과 후에 따른 배경 모델이 갖는 정확성이 자료동화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조석검증을 통해 정확성이 높아진 배경 모델은 배경오차공분산이 상대적으로 감소됨에 따라서 총 비중 함수가 0에 가까워지고 결과적으로 최적매개변수값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최적매개변수는 광역 모델이 갖고 있는 연안역까지 도달하는 개방경계의 한계점을 완화시켜줄 것으로 기대하며 향후 관측정점별로 요구되는 최적매개변수값을 독립적으로 적용하도록 개선한다면 향상된 해양예측 시스템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실험감염 스파르가눔의 마우스체내 이행경로 및 분포 (Migration and Distribution of Spargana in Body of Experimentally Infected Mice)

  • 최원진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2권2호
    • /
    • pp.229-237
    • /
    • 1984
  • 마우스를 실험동물로 하여 스파르가눔(sparganum)을 경구감염시킨 후 충체의 이행과정 및 충체분포를 관찰함으로써 스파르가눔의 병원성을 이해하고 실험적 스파르가눔토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이 연구를 실시 하였다. 스파르가눔은 강원도 횡성군에서 포획한 유혈목이(Matrix tigrina lateralis)의 피하조직 및 내장에서 회득한 것을 사용하였고 ICR계 마우스 21∼259정도의 수컷 28마리에 대하여 각각 5마리의 스파르가눔 두절(scolex) 및 경부(neck)를 경구감염시킨 후 10분후부터 14일까지 도살하고 전신부검을 실시하여 충체 이행 과정 및 분포를 관찰한 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스파르가눔은 감염 10분후 이미 마우스 십이지사의 장벽을 관통하고 있는 것이 관찰되었고 30분 이내에 관통을 끝낸 다음 복륙내에 주로 분포하였다. 특히 장벽을 관통할 때에는 계관에서 복륙쪽으로 직접 뚫고 나오는 것이 관찰되었다. 2. 감염 1시간부터 1일까지는 대부분의 충체가 복륙내에서 발견되었고 1일에 근육이나 피하조직으로 이행한 것도 관찰되었다. 3. 충체가 대부분 피하조직으로 이행한 것은 감염 7일이내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감염 14일까지 관찰한 바 피하 또는 근금조직에서 고수된 28마리의 충체는 마우스 경부(neck) 주위조직에 13마리, 체간부(trunk)에 12마리, 두부(head)에 3마리가 분포하였고 이들중 하악골하부 및 견갑하부의 피하조직에서 가장 많은 충체가 발견되었다. 이들 피하조직 또는 장관벽의 조직반응은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4. 마우스에 감염된 스파르가눔은 처음에 평균 4mm이던 것이 7일후 평균 12mm, 14일후 평균 35mm로 성장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볼 때 마우스에 경구감염된 스파르가눔은 10∼30분후에 위 또는 십이지사벽을 관통하여 복륙으로 나온 후 롱격막 또는 복막을 뚫고 7R이내에 주로 경부 및 그 주위조직으로 이행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Whole-genome association and genome partitioning revealed variants and explained heritability for total number of teats in a Yorkshire pig population

  • Uzzaman, Md. Rasel;Park, Jong-Eun;Lee, Kyung-Tai;Cho, Eun-Seok;Choi, Bong-Hwan;Kim, Tae-Hu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4호
    • /
    • pp.473-479
    • /
    • 2018
  • Objective: The study was designed to perform a genome-wide association (GWA) and partitioning of genome using Illumina's PorcineSNP60 Beadchip in order to identify variants and determine the explained heritability for the total number of teats in Yorkshire pig. Methods: After screening with the following criteria: minor allele frequency, $MAF{\leq}0.01$; Hardy-Weinberg equilibrium, $HWE{\leq}0.000001$, a pair-wise genomic relationship matrix was produced using 42,953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A genome-wide mixed linear model-based association analysis (MLMA) was conducted. And for estimating the explained heritability with genome- or chromosome-wide SNPs the genetic relatedness estimation through maximum likelihood approach was used in our study. Results: The MLMA analysis and false discovery rate p-values identified three significant SNPs on two different chromosomes (rs81476910 and rs81405825 on SSC8; rs81332615 on SSC13) for total number of teats. Besides, we estimated that 30% of variance could be explained by all of the common SNPs on the autosomal chromosomes for the trait. The maximum amount of heritability obtained by partitioning the genome were $0.22{\pm}0.05$, $0.16{\pm}0.05$, $0.10{\pm}0.03$ and $0.08{\pm}0.03$ on SSC7, SSC13, SSC1, and SSC8, respectively. Of them, SSC7 explained the amount of estimated heritability along with a SNP (rs80805264) identified by genome-wide association studies at the empirical p value significance level of 2.35E-05 in our study. Interestingly, rs80805264 was found in a nearby quantitative trait loci (QTL) on SSC7 for the teat number trait as identified in a recent study. Moreover, all other significant SNPs were found within and/or close to some QTLs related to ovary weight, total number of born alive and age at puberty in pigs. Conclusion: The SNPs we identified unquestionably represent some of the important QTL regions as well as genes of interest in the genome for various physiological functions responsible for reproduction in pigs.

폴리우레탄으로 개질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강인성 (Toughness of Polyurethane-Modified Unsaturated Polyester Resin)

  • 황영근;민경은;최관영;김우식;이동호;박이순;서관호;강인규;전일련
    • 폴리머
    • /
    • 제25권1호
    • /
    • pp.71-77
    • /
    • 2001
  •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unsaturated polyester,UP)는 대표적인 열경화성 수지로 점도가 낮아 다양한 복합재료 공정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어 범용 복합재료 수지로 많이 쓰이고 있다. 그러나 UP는 경화 후 부피가 5-8%정도 감소하고 알칼리에 약하며 brittle하다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첨가제와의 블렌딩을 통하여 해결하려는 연구들이 수행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UP말단에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을 도입하여 강인성을 향상시키고 이때 폴리우레탄의 soft segment인 폴리올이 UP/PU 고분자 네트워크 혼합체의 강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UP 말단 히드록실기에 메틸디이소시아네이트(methyldiisocyanate, MDI)를 먼저 반응시킴으로써 PU를 UP말단에 도입할 수 있었다. UP에 대한 PU의 함량이 2 wt%일 때가 가장 높은 강인성 값을 보였다. 이는 UP와 PU의 결합에 의한 효과이며 그 이상일 때 강인성 값들이 감소하는 것은 미반응물로 존재하는 폴리올 때문인 것으로 보여진다. 그리고 폴리올의 분자량이 증가할수록 분자의 움직임이 떨어지게 되어 충분히 반응에 참여하지 못하기 때문에 강인성 값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수소 장입된 Zircaloy-4 합금에서의 부식거동 (The Corrosion Behavior of Hydrogen-Charged Zircaloy-4 Alloys)

  • 김선재;김경호;백종혁;최병권;정요환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68-273
    • /
    • 1998
  • Zircaloy-4 합금판재에 230-250ppm의 수소를 장입시키고 $400^{\circ}C$에서 72시간동안 균질하게 수소화물을 형성시킨후 $350^{\circ}C$의 static autoclave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농도의 LiOH 부식용액조건에서 부식시험을 수행하였다. 부식평가는 시간에 따른 무게증가의 변화로서 측정하였고, 시편의 미세구조는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부식시험 후 형성된 산화막에서의 H와 Li의 분포를 확인하기 위해 secondary ion mass spectrometry(SIMS)를 이용해 각 원소의 분포를 두께방향에서 측정하였다. 여러 가지 농도의 LiOH 수용액조건에서 Li+ 이온의 용액농도가 30ppm 이상으로 증가하면 합금의 부식은 급격히 가속화되었다. 이것은 $Li^{+}$가 산화막 내의 $Zr^{4+}$ 자리를 치환함에 따라 산소공공이 증가로 산화반응이 증가되고, 이로 인해 형성되는 수소화물의 양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LiOH용액조건에서 부식시험 전에 시편 내에 수소를 장입시켜 수소화물을 형성시키면 수소를 장입하지 않은 시편보다 부식이 더 빨리 가속되지만, 시험기간이 길어지면 오히려 수소를 미리 장입시키지 않은 시편의 부식속도가 더 빨라진다. 이것은 부식시험 전에 수소를 시편에 미리 장입을 시키면 이때 형성된 수소화물에 의해 초기에 부식이 빨리 가속되지만 이미 고용도 이상의 수소가 금속 내부에 존재하므로 부식과정 중에 생기는 수소가 금속의 내부로 확산되어 들어오는 것이 억제되어 부식속도가 둔화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