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ek key

검색결과 174건 처리시간 0.032초

이전 학년의 교과서를 활용한 수학 학습 부진아 지도에 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eaching Mathematics U nderachievers Using the Textbooks of the Previous Grades)

  • 최정현;김상룡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4권1호
    • /
    • pp.81-95
    • /
    • 2011
  • 수학적 힘과 수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진 21세기에 적합한 인간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학생 개개인의 능력과 수준에 맞는 균등한 학습의 기회가 제공되어야 하며, 특히 학습 부진아들에게는 이러한 수학 교육이 더욱 절실하다. 본 연구는 각 단계의 최적의 학습 자료라 할 수 있는 교과서를 활용하여 이전 학년의 교과서를 분석하고, 점검하는 활동이 학생의 수학 학습 능력과 수학적 성향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지에 대해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이전 학년의 교과서를 활용한 수학 학습 부진아 지도 방법이 수학 학습 부진아에게 할 수 있다는 신념을 갖게 하고 수학적 연결성을 강화시켜 주며, 핵심적인 내용을 스스로 파악하는 습관을 가지게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서울주걱흡충의 재감염이 흰쥐 소장의 조직병리 및 미소융모막효소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infection with Neodiplostomum seoulensis on the histopathology and activities of brush border membrane bound enzymes in the rat small intestine)

  • 유재란;홍성태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3권1호
    • /
    • pp.37-44
    • /
    • 1995
  • 서울주걱흡충(Neodiplostomum seoulensis)재감염시 숙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충체 회수율 소장의 조직병리 및 미소응모막효소 활성도를 관찰하였다. 자연감염된 뱀에서 피낭유충을 얻어 500개씩 흰쥐에 감염시키고 20일 후에 프라지콴텔로 치료하였다. 치료후 3주째에 피낭유충 500개씩 경구투여하여 재감염 시킨다음 3일. 1주. 2주 후에 도살하여 일차감염군과 비교하였다. 충체회수율은 일차감염시 각각 32.8%. 59.2%, 41.5%에서 재감염시 25.9%, 35.7%. 7.6%로 감소되었는데 특히 2주후에 급격히 감소되었다. 십이지장의 조직병리 소견은 일차감염시 1주 후부 터 융모의 응합 단축등의 퇴행성 변화와. 선와의 증식. 기질층의 염증세포 침윤 등이 나타나 2주까지 지속되었으나 재감염시는 3일 후부터 병변이 나타나다가 1주째부터 회복되었다. 미소응모막효소 활성도 측정결과 십이지장에서 일차감염시 alkaline phosphatase와 자당분해효소의 활성도가 대조군의 절반수준으로 감소하였으나 재감염시에는 대조군 수준과 동일하거나 오히려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이 흡충의 재감염시 충체의 배출이 빨라짐과 동시에 형태학적으로 회복이 빨리 이루어지며 기능적으로도 소장의 미소응모막효소 활성도의 회복이 빠르게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 PDF

비파엽(枇杷葉)의 항당뇨병약리활성(抗糖尿病藥理活性)과 IL-1β유발당뇨병(誘發糖尿病) 마우스의 췌장(膵臟) 인산화효소(燐酸化酵素)에 미치는 효과(效果)에 관(關)한 연구(硏究) (Anti-diabetic effect and effect on glucose-phosphorylase activities of the leaf of Eriobotryae folium on diabetes mellitus mice induced by interleukin-1β)

  • 윤철호;정지천;김철호
    • 동국한의학연구소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75-86
    • /
    • 1998
  • 청양생진(淸凉生津), 해갈지구(解渴止嘔)의 효능이 있으며, 한국등에서 항당뇨병성 한약으로서 사용되어 온 비파엽의 열수출물의 당뇨병치료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alloxan으로 유발된 당뇨병흰쥐의 혈장포도당농도 및 인슈린농도를 측정하였다. 비파엽처리군의 혈장 포도당농도는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혈장인슈린농도는 크게 감소하지 않았다. 한편, 당뇨병유발의 내재적인 요소로 알려진 사이토카인인 $IL-1{\beta}$로 당뇨병을 유발한 뒤 그 효과를 검정했다. 즉, 실험동물을 interleukin-$1{\beta}$로 처리하여 실험적으로 당뇨병을 유발한 후 glucose의 린산화(燐酸化)에 관여하는 glucokinase와 hexokinase의 활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비파엽엑기스는 interleukin-$1{\beta}$과잉투여 당뇨병으로 인하여 증가된 혈액내glucose농도를 감소시키고 insulin과잉분비를 정상으로 회복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동시에 $IL-1{\beta}$에 의해 유도된 당뇨마우스에 대한 비파엽(批把葉)엑기스 투여(投與)가 췌장glucokinase와 hexokinase의 활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나 $IL-1{\beta}$유발 당뇨병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가격 및 인지도가 화장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ice and Brand Names on the Evaluation of Cosmetics)

  • 임효정;김주덕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17-126
    • /
    • 2007
  • 본 논문은 가격과 인지도가 소비자의 화장품 평가에 실제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이다. 주로 서울 및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20 대에서 50 대 사이의 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지에 대한 설명과 시제품에 대한 가격과 인지도 정보를 각각 다르게 제공한 후 일주일 이상의 사용 기간을 주고 설문을 회수하여 총 363 명의 응답을 받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할 수 있다. 화장수, 로션에 대한 사용 평가는 인지도 변인이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크림에 대한 사용평가에서는 '향'에 관한 질문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가격 변인에 있어 화장수, 로션, 크림에 대한 평가는 가격이 매우 비싼 제품이라는 사전 정보를 받은 집단이 저가 제품이란 사전정보를 받은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점수가 높았다. 인지도와 가격 변화에 따라 집단 간 만족도를 비교해 본 결과 가격 정보나 인지도 정보가 어떻게 주어지는가에 따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화장품의 효능평가에 있어서도 인지도와 가격에 모두 의미있게 작용한다. 효능평가에 있어서는 가격과 인지도 변인의 상호작용 효과가 존재했는데, 두 변수의 결합효과가 효능지각에 대해 미치는 영향이 각각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비자 행동이나 의사결정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마케팅 전략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유리단 국소의치에서 Suprabulge Clasp와 Infrabulge Clasp가 지대치 동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 of Suprabulge Clasp and Infrabulge Clasp on the Mobility of Abutment Teeth for Distal 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s)

  • 임순호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9-45
    • /
    • 1981
  • Distal-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s have long been implicated in the increase in mobility and the destruction of the supporting structures of the primary abutment teeth. Various clasping systems have traditionally been used to retain distal 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s, and other designs have been proposed to minimize torquing forces on the abutment teeth. Most recent studies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removable partial dentures on abutment teeth have been performed in it laboratory setting. Results obtained from in vitro research have given dentists insight into removable partial denture design, but laboratory test model cannot be constructed that simulates actual functional or parafunctiona1 movements and for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inically evaluate the degree of tooth mobility produced by two clasping systems (suprabulge type and infrabulge type) used for distal 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s. Akers clasp and R.P.I. system were selected for the evaluation, and four patients required a distal 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 on the mandibular arch were selected for participation in the study. Two partial dentures were constructed in the same condition expect the design of clasp. All abutments in the study were mandibular first or second premolars. Measurements of mobility were made with a research tool designed by $M\"{u}hlemann$. This instrument, periodontometer, measures tooth mobility in the mouth by means of a dial gauge accurated to 0.01mm when the tooth is stressed with a force meter. Lingual and buccal deflection of abutment tooth was measured using buccal and lingual pressure. The amount of force applied was 500gm. Tooth mobility tests were made at four key stages; 1. Before insertion of the first removable partial denture, baseline mobility was establsihed. 2. After wearing of the first prosthesis, measurement was made at weekly intervals for 4 weeks. 3. The removable partial denture was then taken from the patient, and tooth mobility was measured again at weekly intervals until the patient's established baseline mobility had returned. 4. The second prosthesis of different clasp design was worn for a month and evalua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The sequence of placement of clasping system was alternated between patient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rom this study; 1. The mobility of abutment tooth increased during the initial stage of wear and returned to baseline mobility after removal of removable partial dentures. 2. The mobility of abutment tooth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Akers clasp and I-bar clasp during the 4-week test period. 3. All teeth tested showed greater mobility toward the buccal than the lingual direction.

  • PDF

Effects of a gintonin-enriched fraction on hair growth: an in vitro and in vivo study

  • Lee, Na-Eun;Park, Sang-Deuk;Hwang, Hongik;Choi, Sun-Hye;Lee, Ra Mi;Nam, Sung Min;Choi, Jong Hee;Rhim, Hyewhon;Cho, Ik-Hyun;Kim, Hyoung-Chun;Hwang, Sung-Hee;Nah, Seung-Yeol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4권1호
    • /
    • pp.168-177
    • /
    • 2020
  • Background: Ginseng has been widely used as a health-promoting tonic. Gintonin present in ginseng acts as a lysophosphatidic acid (LPA) receptor ligand that activates six LPA receptor subtypes. The LPA6 subtype plays a key role in normal hair growth, and mutations in the LPA6 receptor impair normal human hair growth. Currently, human hair loss and alopecia are concerning issues that affect peoples' social and day-to-day lives. Objective: We investigated the in vitro and in vivo effects of a gintonin-enriched fraction (GEF) on mouse hair growth. Methods: Human hair follicle dermal papilla cells (HFDPCs) and six-week-old male C57BL/6 mice were used. The mice were divided into the four groups: control, 1% minoxidil, 0.75% GEF, and 1.5% GEF. The dorsal hair was removed to synchronize the telogen phase. Each group was treated topically, once a day, for 15 days. We analyzed hair growth activity and histological changes. Results: GEF induced transient [Ca2+]i, which stimulated HFDPC proliferation and caused 5-bromo-2'-deoxyuridine (BrdU) incorporation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GEF-mediated HFDPC proliferation was blocked by the LPA receptor antagonist and Ca2+ chelator. HFDPC treatment with GEF stimulate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release. Topical application of GEF and minoxidil promoted hair growth in a dose-dependent manner. Histological analysis showed that GEF and minoxidil increased the number of hair follicles and hair weight. Conclusion: Topical application of GEF promotes mouse hair growth through HFDPC proliferation. GEF could be one of the main components of ginseng that promote hair growth and could be used to treat human alopecia.

감마선 조사와 아스코르브산 첨가가 소시지의 발암성 N-Nitrosamine 파괴 및 생성억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and Ascorbic Acid on Reducing N-Nitrosamines in Pork Sausage)

  • 안현주;김재현;조철훈;권종숙;송현파;김희연;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84-388
    • /
    • 2002
  • 유화형 소시지의 휘발성 N-nitrosamine 생성에 대한 감마선 조사, 환원제 첨가 및 포장방법에 따른 영향을 저 장기간에 따라 조사하였다. 소시지는 아스코르브산을 첨가하거나 혹은N-nitrosamine 생성을 최대화하기 위해 첨가하지 않은 모델시스템 소시지를 제조하여 함기포장 및 진공포장을 한 후, 0, 5, 10 및 20 kGy의 선량으로 감마선 조사하였다. 아스코르브산 첨가구는 제조 직후 감마선 조사에 의한 NDMA 및 NPYR 함량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저장 4주째에는 조사구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아스코르브산 비첨가구의 경우 제조 직후 NDMA 및 NPYR 함량이 각각 5및 10kGy이상의 선량에서 감소하였고, 저장 4주 후에도 비조사구에 비해 감마선 조사시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포장방법은 소시지의 N-nitrosamine 함량에 대한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오르막차로 일시 폐쇄를 위한 교통운영기준 사례연구 (중부내륙고속도로 낙동JC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Traffic Operational Guidance for Temporary Closure of Climbing Lane; Focusing on Nakdong JC at Jungbunaeryuk Expressway)

  • 최윤혁;이승준;배영석;고한검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17-28
    • /
    • 2010
  • 오르막차로는 오르막 구간에서 속도 감소가 큰 대형차의 혼입률이 증가하여 교통용량의 감소가 크게 예상되는 경우, 고속 교통류에서 저속 교통류를 분리하기 위해서 설치된다. 오르막차로와 관련된 기존의 연구는 오르막차로의 구간선정, 시종점 위치, 설치방법 등 주로 도로설계기준과 관련된 내용에 집중되어 왔다. 그러나, 교통운영측면에서 오르막차로는 교통량이 증가할 경우 주요한 병목지점이 된다고 알려져 있는 바, 본 연구에서는 교통운영측면에서 교통량(v/c), 중차량비, 종단경사에 따라 오르막차로 일시 폐쇄가 혼잡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아울러 적절한 교통운영기준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중부내륙고속도로 낙동분기점 부근의 오르막구간(136.9K~133.3K, 길이 3.6km, 구배 3.7%)을 대상구간으로 선정하여 교통운영변수에 따른 시뮬레이션 분석을 수행한 결과, 교통량과 중차량비가 오르막차로의 주요한 교통운영기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오르막차로로 인한 혼잡을 막기 위해서는 교통량비가 0.8이고 중차량비 50%일 때 종단경사와 상관없이 폐쇄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교통량비 1.0일 경우에는 중차량비, 종단경사와 상관없이 오르막차로 폐쇄가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반적인 소통상황에서는 오르막차로 운영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나, 교통량 및 중차량비의 변화에 따라 오르막차로의 탄력적 운영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계기로 도로시설의 탄력적 운영기준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EID3 Promotes Glioma Cell Proliferation and Survival by Inactivating AMPKα1

  • Xiang, Yaoxian;Zhu, Lei;He, Zijian;Xu, Lei;Mao, Yuhang;Jiang, Junjian;Xu, Jianguang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5권6호
    • /
    • pp.790-800
    • /
    • 2022
  • Objective : EID3 (EP300-interacting inhibitor of differentiation) was identified as a novel member of EID family and plays a pivotal role in colorectal cancer development. However, its role in glioma remained elusive. In current study, we identified EID3 as a novel oncogenic molecule in human glioma and is critical for glioma cell survival, proliferation and invasion. Methods : A total of five patients with glioma were recruited in present study and fresh glioma samples were removed from patients. Four weeks old male non-obese diabetic severe combined immune deficiency (NOD/SCID) mice were used as transplant recipient models. The subcutaneous tumor size was calculated and recorded every week with vernier caliper. EID3 and AMP-activated protein kinase α1 (AMPKα1) expression levels were confirmed by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Western blot assays. Colony formation assays were performed to evaluate cell proliferation. Methyl thiazolyl tetrazolium (MTT) assays were performed for cell viability assessment. Trypan blue staining approach was applied for cell death assessment. Cell Apoptosis DNA ELISA Detection Kit was used for apoptosis assessment. Results : EID3 was preferentially expressed in glioma tissues/cells, while undetectable in astrocytes, neuronal cells, or normal brain tissues. EID3 knocking down significantly hindered glioma cell proliferation and invasion, as well as induced reduction of cell viability, apoptosis and cell death. EID3 knocking down also greatly inhibited tumor growth in SCID mice. Knocking down of AMPKα1 could effectively rescue glioma cells from apoptosis and cell death caused by EID3 absence, indicating that AMPKα1 acted as a key downstream regulator of EID3 and mediated suppression effects caused by EID3 knocking down inhibition. These findings were confirmed in glioma cells generated patient-derived xenograft models. AMPKα1 protein levels were affected by MG132 treatment in glioma, which suggested EID3 might down regulate AMPKα1 through protein degradation. Conclusion : Collectively, our study demonstrated that EID3 promoted glioma cell proliferation and survival by inhibiting AMPKα1 expression. Targeting EID3 might represent a promising strategy for treating glioma.

크나이프 요법이 HRV에 미치는 효과: 산림 환경에서 적용한 최초의 예비적 검증 (Effects of Kneipp therapy on HRV: the First Preliminary Validation in Forest Environment)

  • 홍금나;신방식;송규진;손정희;김현석;최민주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8
    • /
    • 2022
  • 배경: 독일 크나이프 요법을 국내에서 적용하기 위해 검증 연구가 필요하다. 목적: 국내산림 환경에서 적용한 크나이프 요법이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방법: 크나이프 요법 중 4가지 요소('움직임', '삶의 질서', '음식섭취', '치유식물')를 고려한 중재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성인 40명을 10명씩네그룹으로나눠 3회(주1회, 5시간씩) 적용했다. 중재 전과 후에 맥파측정기(uBioMacpa)를 이용하여 HRV(TP, VLF, LF, HF, LF/HF, CSI: Cumulative Stress Index)를 측정하고 비교 분석했다. 결과: 잡파 혼입이 있는 7명의 데이터를 제외한 33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 중재 후 연구대상자의 TP(8.64%, p < .001), VLF(6.96%, p < .05), LF(15.86%, p < .001), HF(8.46%, p < .01), LF/HF(5.77%, p < .05)는유의하게증가하였고, CSI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16.06% p < .001). 결론:국내 산림 환경에서 적용한 크나이프 요법은 자율신경계를 전체적으로 활성화하고, 교감과 부교감신경의 활성도를 높여 심장활동을 촉진시키며, 누적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크나이프 요법이 국내 산림 환경에서 치유 프로그램으로 활용되어 스트레스 해소를 포함한 자율 신경계의 긍정적인 효과를 제시한 초기적인 최초의 증거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