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ed ecology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2초

Allelopathic Effects of Parthenium hysterophorus on Crop and Weed Plants

  • Eyini, M.;M. Jayakumar;C. Pothiraj;Kil, Bong-Seop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2권2호
    • /
    • pp.85-88
    • /
    • 1999
  • Aqueous and dichloromethane (DCM) extracts of leaves, root bark and inflorescences of Parthenium hysterophorus L. at various concentrations were used to quantify its allelopathic potential against Indigofera tinctoria, Amaranthus viridis, A. gangeticus, Phaseolus mungo (cv. CO 1), Sorghum vulgare (cv. SPT- 462). Pennisetum typhoideus (cv. WCC-75) and Eleusine corocana (cv. CO 1). The aqueous extracts were more inhibitory than the DCM extracts to the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the plants studied. The relative rate of inhibition increased in the order of inflorescences. leaves and root bark in the aqueous extracts. whereas DCM root bark and inflorescences extracts were promoted at lower concentrations.

  • PDF

B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reservation of Dokdo Island

  • Kim, Ki-Tai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5권1호
    • /
    • pp.59-62
    • /
    • 2002
  • Dokdo, which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East Sea, is a small island tilth a total area of 0.186 $\textrm{km}^2$. However, this small island, with its mild oceanic climate, has rich bio-resources and picturesque natural surroundings. Dokdo in the crystaline waters and In the central area of the deep sea is a treasury of algaes (sea oak, sea mustard, gulf weed, laver, agar-agar, etc.), molluscs (squid, ear shell, conch, etc.) and fishes (Alaska pollack, anchovy, saucy, herring, etc.). On the other hand, there are a lot of grasses and various kinds of grasses on the land of Dokdo. And a lot of back-tailed gulls (about 20,000 Individuals) live on this island. There have been disputes on the sovereignty over Dokdo between Korea and Japan. Japan has claimed sovereignty over Dokdo since Japan incorporated the island into Japanese territory in 1905 when it occupied the Korean Peninsula by force. Korea governed Dokdo not only before 1905 but also after its liberation in 1945. The Korean government, while heavily financing building facilities like pleas and quays, is endeavoring to preserve the natural surroundings of this island.

Allelopathic Potential of Select Gymnospermous Trees

  • da Silva, Jaime A. Teixeira;Karimi, Javad;Mohsenzadeh, Sasan;Dobranszki, Judit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1권2호
    • /
    • pp.109-118
    • /
    • 2015
  • Allelopathy is an ecological phenomenon that refers to the beneficial or harmful effects of one plant on another plant, both crop and weed species, by the release of organic chemicals (allelochemicals) from plant parts by leaching, root exudation, volatilization, residue decomposition in soil and other processes in both natural and agricultural systems. Allelopathy can affect many aspects of plant ecology including occurrence, growth, plant succession, the structure of plant communities, survival, dominance, diversity, and plant productivity. In this review, we describe the concept of allelopathy, some mechanisms of operation within plants and then focus on a select number of gymnospermous tree genera: Ephedra, Pinus, Taxus, Cedrus, Juniperus, Picea, Cunninghamia and Araucaria. Pinus, Taxus (yew) and Cedrus (cedar) trees have a strong negative allelopathic effect on the germination, growth, or development of other plant species in the forest community.

Prevalence of Puccinia abrupta var. partheniicola and its impact on Parthenium hysterophorus in Kathmandu Valley, Nepal

  • Maharjan, Seerjana;Devkota, Anjana;Shrestha, Bharat Babu;Baniya, Chitra Bahadur;Rangaswamy, Muniappan;Jha, ramod Kumar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4권4호
    • /
    • pp.222-228
    • /
    • 2020
  • Background: Parthenium hysterophorus is a noxious invasive weed in tropical and subtropical regions of the world, including Nepal. Among 11 species of biological control agents released to control P. hysterophorus in Ausrtalia, winter rust Puccina abrupta var. partheniicola arrived fortuitously and has established in Kathmandu Valley, Nepal, nearly a decade back. However, the prevalence and effectiveness of this rust as a biological control agent in Kathmandu remain unknown. To address this knowledge gap, a roadside survey was done at an interval of 2 ± 0.25 km in Kathmandu Valley to assess the P. abrupta var. partheniicola incidence and its impacts on P. hysterophorus. Infested individuals of P. hysterophorus were further divided into four severity classes (very low, low, medium, and high), and rust incidence was calculated. The impact of the winter rust on the growth of P. hysterophorus was assessed by comparing biomass and seed output of infested and non-infested individuals. Results: Among 81 locations where P. hysterophorus was present in the Kathmandu Valley, winter rust infestation was observed at 98% locations. At some locations within Kathmandu Valley such as Tinkune, Kirtipur, Chabahil, Buddha Chowk, and Dhobighat, the impacts of the rust on P. hysterophorus were medium to high. Aboveground biomass and seed output of P. hysterophorus were reduced by 47% and 73%, respectively, due to winter rust infestation. The study indicates that winter rust incidence is widespread in Kathmandu Valley with very low to high levels of damages to P. hysterophorus depending on the localities. Conclusion: The rust has, therefore, a potential to reduce the growth performance of P. hysterophorus, and it can be used as a component of integrated management of P. hysterophorus by introducing to other suitable areas in Nepal.

우리나라 지역별 및 농업기후지대별 논잡초 발생상황 (Occurrence Characteristics of Weed Flora by Regions and Agro-Climatic Zonal in Paddy Fields of Korea)

  • 이인용;오영주;박중수;최준근;김은정;박기웅;조승현;권오도;임일빈;김상국;성덕경;김창석;이정란;서현아;김환수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6권1호
    • /
    • pp.11-20
    • /
    • 2017
  • 우리나라 논에는 28과 90종의 논잡초가 발생하고 있다. 이것을 8개 지역별, 19개 농업기후지대별로 구분하여 잡초방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경기지역에는 20과 52종, 강원지역은 17과 37종. 충북지역은 15과 41종, 충남지역은 12과 21종, 전북지역은 13과 24종, 전남지역은 21과 54종, 경북지역은 20과 36종, 경남지역은 16과 32종이 발생하였다. 과별로 보면, 화본과 > 방동사니과 > 국화과 등으로 순이었고, 지역간에 차이는 있지만 대체로 피속류, 물달개비, 올챙이고랭이, 올방개, 벗풀 등이 우점하였다. 태백준고냉지대에서 14과 31종부터 동해안남부지대의 16과 25종까지 18개(태백고냉지대 제외) 기후지대별로 논에 발생하는 잡초는 다소 차이는 있지만, 피속류, 물달개비, 올챙이고랭이 순으로 발생되었다. 과별로는 방동사니과 > 화본과 > 국화과 등의 순으로 우점하였다. 지역별 및 기후지대별 잡초발생 상황의 차이는 지역적인 개념보다 여러 가지 기상요건에 의한 것이 크게 좌우되었고, 거기에 수반되는 재배양식 변화 그리고 제초제 사용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우리나라 잔디 생산과 재배 관리실태 (Sod Production and Current Status of Cultivation Management in Korea)

  • 배은지;이광수;김동수;한은희;이상명;이동운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1호
    • /
    • pp.95-99
    • /
    • 2013
  • 잔디 생산농가의 생산과 관리 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2010년과 2011년 57개 농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경영실태 분석 결과 주업과 겸업이 비슷한 비율로 진행되는 혼농형태의 경영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영규모별 소유형태는 0.5 ha 이상 규모에서 임차의 비율이 높았다. 잔디 생산 농가에서는 신품종, 시비와 토양 등의 집중관리, 병해충에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판매처 및 노동력 등의 문제로 인해 잔디산업의 미래에 대해서는 낙관적이지 못하였다. 잔디 재배의 정보는 이웃의 경험에 의존하는 농가가 81.8%로 가장 많았다. 품종 선호도 분석에서는 32.1%의 재배자들이 번식력이 우수한 품종에 가장 관심이 높았다. 잔디 재배농가는 정부에 대한 요구사항으로 금융지원(28.1%), 유통구조 개선(26.6%), 우수한 잔디품종 보급(23.4%) 등이었다.

잔디에 Rhizoctonia 마름병을 유발하는 Rhizoctonia spp.의 침투성 살균제에 대한 반응 (Response of Systemic Fungicides of Rhizoctonia spp. Causing Rhizoctonia Blight on Turfgrass)

  • 장태현;이승준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4호
    • /
    • pp.387-394
    • /
    • 2013
  • Rhizoctonia spp. 에 의한 Rhizoctonia 마름병은 잔디에서 중요한 병이며, 골프장에서 잔디의 좋은 품질을 유지하기 위하여 살균제를 사용하고 있다. 본시험은 포장에서 분리한 R. solani AG-1 IB, R. cerealis 및 R. solani AG2-2에 대한 침투성 살균제인 flutolanil, pyraclostrobine, and hexaconazole에 대하여 실내에서 상대적인 균사생장을 효과적으로 50%억제하는 $EC_{50}$농도를 결정하는 시험을 수행하였다. 각각 살균제에 대한 감수성은 3종의 Rhizoctonia균주에 대하여 5 수준의 농도를 사용하였다. 3종류의 살균제에 대한 $EC_{50}$ 값은 R. solani AG-1 IB에서 가장 낮았다. 하지만, R. solani AG2-2에 대한 살균제 감수성은 pyraclostrobine 과 flutolanil에서 평균 $EC_{50}$ 값이 0.026 ${\mu}g\;a.i.\;ml^{-1}$ 와 0.044 ${\mu}g\;a.i.\;ml^{-1}$ 로 가장 높았다. R. cerealis은 hexaconazole에서 $EC_{50}$ 값이 0.022 ${\mu}g\;a.i.\;ml^{-1}$로 가장 감수성이 낮았다. 각각의 살균제의 $EC_{50}$값을 사용하여 두 농약을 혼용한 3종의 조합에서 3종의 병원균에 대한 균사 생장억제율은 R. solani AG2-2에서 가장 높았다. 본 연구결과는 포장에서 Rhizoctonia 마름병을 방제하기 위하여 실내에서 침투성 살균제에 대한 반응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잔디 비료 제형의 엽면 살포가 가을철 한지형 잔디의 생장 증대 (Increase of Growth on Cool Season Turfgrass by Foliar Application of Preparations of Turfgrass Fertilizer during Fall Season)

  • 구준학;허혁재;김양선;윤정호;장석원;이승준;장태현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1호
    • /
    • pp.41-49
    • /
    • 2014
  • 액상 잔디비료의 4종류의 제형을 가을철 한지형 잔디에서 시험하였다. 상업용 제품 개발을 위한 PS-A, PS-B, PH-C 및 PH-D은 필수영양원소와 해추출액, 아미노산 및 휴믹 물질함유하고 있다. 켄터키블루그라스 혼합품종(Midnight 33%, Moonlight 33%, Prosperity 33%)과 크리핑벤트그라스 "Penn-A1" 품종에 대한 생장과 품질은 잔디색, 엽록소 함량 및 뿌리길이, 뿌리생체중 및 개체수(분얼수) 밀도로 평가하였다. 4종류의 제형을 2013년 가을철에 합천 뗏장농장에서 7일간 간격으로 3회 엽면살포를 하였다. 잔디 생장은 크리핑벤트그라스에서는 4종류 모드에서 처리간에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켄터키블루그라스에서는 PS-A에서 잔디생장이 증가하였다. 엽록소 함량과 잔디색은 PA-A를 2와 3회 살포한 크리핑벤트그라스와 켄터키블루그라스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잔디 개체수밀도는 PA-A와 PA-B를 살포한 처리구에서 살포 후 20일에 켄터키블루그라스에서 유의 차이는 보였다. 이 결과는 개발 제형을 가을철에 뗏장잔디 생산과 골프장에서 사용 할 경우 잔디색과 엽록소함량증대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한지형 잔디의 피복 율과 생육 증진을 위한 유기질비료 제제의 살포 (Application of Organic Fertilizer Preparation for Increasing of Coverage and Growth of Cool Season Turfgrasses)

  • 구준학;허혁재;김양선;윤정호;장석원;전종엽;장태현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4권3호
    • /
    • pp.268-277
    • /
    • 2015
  • 유기질비료의 원료를 이용하여 한지형 잔디의 종자 파종후 피복율, 생육 및 질의 증진을 위한 유지질비료 제제를 개발하였다. 개발 제제는 한지형 잔디의 생육에 필수적인 무기영양소와 유기물을 함유하고 있다. 유기질비료로 개발한 제제는 4종류로 creeping bentgrass "Penn-A1" 품종과 Kentucky bluegrass 혼합품종(Midnight 33%, Moonlight 33%와 Prosperity 33%)의 종자를 파종 후 50일에 1회 토양 시비로 시험하였다. creeping bentgrass와 Kentucky bluegrass의 피복율, 생장(생장지수) 및 잔디의 질은 2013년 가을부터 2014년 봄철기간 동안 경시적으로 평가를 하였다. 개발제제의 파종 후 1회 토양살포로 잔디 피복율, 잔디 엽색, 엽록소 함량 및 생장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의 차이를 보였다. creeping bentgrass와 Kentucky bluegrass의 피복율, 엽록소 함량, 잔디 엽색 및 생장은 봄철 6회 조사까지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이 결과에 의하면 일부 개발 제제의 사용은 한자형 잔디의 뗏장잔디의 생산과 잔디관리에 도움의 줄 것으로 생각한다.

식물정유의 굼벵이에 대한 살충활성 (Insecticidal Activity of Essential Oils against Whitegrub)

  • 이동곤;정영학;최대홍;최성환;추호렬;이동운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4권2호
    • /
    • pp.129-134
    • /
    • 2015
  • 굼벵이는 각종 작물과 나무에 피해를 줄 뿐만 아니라 특히 골프장 잔디에 피해를 주는 주요해충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18종의 식물정유(anise oil, camphor, castor, cinnamon, clove oil, citronella, fennel, geranium, lavender, lemongrass, linseed, neem, peppermint, pine, rosemary, tea-tree, thyme, turpentine)를 이용하여 굼벵이의 환경친화적 방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실내와 온실, 야외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Cap vial실험에서 홈줄풍뎅이 3령충에 효과가 높은 정유는 anise (88.9%)와 linseed oil (100%) 및 tea-tree oil (88.9%)이었다. 온실 pot에서 왜콩풍뎅이 3령충에 대한 anise와 linseed oil의 효과는 낮게 나타났다. 야외에서 anise와 linseed 및 tea-tree oil의 효과도 대상 굼벵이의 종류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주둥무늬차색풍뎅이 번데기에 대해서는 tea-tree oil 처리에서만 32.6%의 보정사충율을 보였으나 등얼룩풍뎅이 3령충에 대해서는 anise와 linseed, tea-tree oil이 각각 54.8%, 51.6%, 56.5%의 보정사충율을 보였다.